천연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재료는 친환경성, 생분해성, 경량성, 저렴한 가격과 같은 탁월한 특징으로 인해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으나 물성이 열악하여 기계적 물성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천연섬유와 합성섬유를 조합하여 하이브리드 에폭시 복합재료를 만들면 천연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재의 기계적 물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제적으로 주목받는 황마(J)/유리(G), /탄소(C) 섬유 하이브리드 에폭시 라미네이트 복합재의 인터플라이 및 앵글플라이 배치에서의 인장 및 굴곡 특성에 초점을 두고 제작하여, 이러한 물성에 대한 섬유의 적층 순서와 방향성의 영향을 평가했다. 복합재의 배열순서의 효과를 보면, JCGs의 배열의 경우가 GJCs 배열의 경우 보다, 섬유층의 0° 및 45°/-45° 배향 모두에서, 우수한 인장 및 굴곡 특성을 가졌다. 또한, 인장 강도, 인장 탄성률, 굴곡 강도, 굴곡 탄성률, 강성 및 연성의 경우에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비교적 약한 물성을 가지는 천연섬유를 포함한 복합재료 제조시, 동일한 재료의 조합이지만, 오직 배열의 순서만 바꾸어서, 보다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가지는 복합재료를 제조할 수 있어,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가지는 친환경 하이브리드 에폭시 복합재료의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title":"Influence of Stacking Sequence and Orientation on Tensile and Flexural Properties of Jute/glass/carbon Fiber Epoxy-based Hybrid Composites","authors":"Kumar Dewangan Rajesh, Singh Samarjit, Das Biplab, Bhaskar Manish, Patanwar Pradeep, Kumar Gupta Pankaj, Sung-Soo Han, Rakesh Bhaskar","doi":"10.7317/pk.2023.47.5.574","DOIUrl":"https://doi.org/10.7317/pk.2023.47.5.574","url":null,"abstract":"천연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재료는 친환경성, 생분해성, 경량성, 저렴한 가격과 같은 탁월한 특징으로 인해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으나 물성이 열악하여 기계적 물성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천연섬유와 합성섬유를 조합하여 하이브리드 에폭시 복합재료를 만들면 천연섬유 강화 에폭시 복합재의 기계적 물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제적으로 주목받는 황마(J)/유리(G), /탄소(C) 섬유 하이브리드 에폭시 라미네이트 복합재의 인터플라이 및 앵글플라이 배치에서의 인장 및 굴곡 특성에 초점을 두고 제작하여, 이러한 물성에 대한 섬유의 적층 순서와 방향성의 영향을 평가했다. 복합재의 배열순서의 효과를 보면, JCGs의 배열의 경우가 GJCs 배열의 경우 보다, 섬유층의 0° 및 45°/-45° 배향 모두에서, 우수한 인장 및 굴곡 특성을 가졌다. 또한, 인장 강도, 인장 탄성률, 굴곡 강도, 굴곡 탄성률, 강성 및 연성의 경우에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비교적 약한 물성을 가지는 천연섬유를 포함한 복합재료 제조시, 동일한 재료의 조합이지만, 오직 배열의 순서만 바꾸어서, 보다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가지는 복합재료를 제조할 수 있어,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가지는 친환경 하이브리드 에폭시 복합재료의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PeriodicalId":20441,"journal":{"name":"Polymer-korea","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24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4,"RegionCategory":"化学","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09-30DOI: 10.7317/pk.2023.47.5.553
Dian Chen Li, Guang Liang Qu, Shan Long Che, Yi-Ming Wang, Ding Jin
Fused deposition modeling (FDM) is the most widely used in three-dimensional printing (3D printing) field. As the main raw material for FDM,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 has many excellent characteristics and evident price advantages. It is used in production and usually has certain special requirements, of which heat-resistance is the most common. This paper is intended to summarize the latest research status and achievements of FDM and the heat-resistant modifiers of ABS resin used for FDM. These researches are important in improving the whole properties expanding and enriching the applications of FDM 3D-printed ABS parts. This paper is aimed to give some help and references to the researchers who are specializing in 3D printing and polymer blending fields.
{"title":"Critical Review of Heat-resistant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crylonitrile -butadiene-styrene (ABS) Modification for Fused Deposition Modeling (FDM)","authors":"Dian Chen Li, Guang Liang Qu, Shan Long Che, Yi-Ming Wang, Ding Jin","doi":"10.7317/pk.2023.47.5.553","DOIUrl":"https://doi.org/10.7317/pk.2023.47.5.553","url":null,"abstract":"Fused deposition modeling (FDM) is the most widely used in three-dimensional printing (3D printing) field. As the main raw material for FDM,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 has many excellent characteristics and evident price advantages. It is used in production and usually has certain special requirements, of which heat-resistance is the most common. This paper is intended to summarize the latest research status and achievements of FDM and the heat-resistant modifiers of ABS resin used for FDM. These researches are important in improving the whole properties expanding and enriching the applications of FDM 3D-printed ABS parts. This paper is aimed to give some help and references to the researchers who are specializing in 3D printing and polymer blending fields.","PeriodicalId":20441,"journal":{"name":"Polymer-korea","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06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4,"RegionCategory":"化学","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09-30DOI: 10.7317/pk.2023.47.5.582
Guk-Young Ahn, Inseong Choi, Se Hee Hwang, Jong-Hwa Seo, Eun-Seo Kim, Do-Hyun Oh, Young-Hyun Ryu, Min-Ho Kang, Sung-Wook Choi
50 μm의 내경과 150 μm의 외경을 갖는 원형 실리카 캐필러리와 200 혹은 300 μm의 내경을 갖는 정사각형유리 캐필러리를 사용하여 동축으로 정렬된 미세유체장치를 제작하였다. 실리카 캐필러리와 유리 캐필러리의 동축정렬이 200 μm의 내경을 갖는 유리 캐필러리에서 더 유리하였으며, 300 μm 내경 보다 균일한 에멀젼 형성이 가능하였다. 장시간 에멀젼 형성 실험에서 폴리비닐 알코올로 친수성 개질된 유리 캐필러리를 사용할 경우 6시간 동안 안정적이고 균일한 에멀젼 형성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조한 폴리비닐 알코올로 표면 개질된 유리 캐필러리와 실리카 캐필러리를 이용한 미세유체장치는 장시간 동안 균일한 에멀젼을 제조하기 위한 플랫폼으로 활용될 수 있다.
{"title":"Coaxial Capillary Microfluidic Chips Modified with Poly(vinyl alcohol) for the Long-term Production of Uniform Oil Droplets","authors":"Guk-Young Ahn, Inseong Choi, Se Hee Hwang, Jong-Hwa Seo, Eun-Seo Kim, Do-Hyun Oh, Young-Hyun Ryu, Min-Ho Kang, Sung-Wook Choi","doi":"10.7317/pk.2023.47.5.582","DOIUrl":"https://doi.org/10.7317/pk.2023.47.5.582","url":null,"abstract":"50 μm의 내경과 150 μm의 외경을 갖는 원형 실리카 캐필러리와 200 혹은 300 μm의 내경을 갖는 정사각형유리 캐필러리를 사용하여 동축으로 정렬된 미세유체장치를 제작하였다. 실리카 캐필러리와 유리 캐필러리의 동축정렬이 200 μm의 내경을 갖는 유리 캐필러리에서 더 유리하였으며, 300 μm 내경 보다 균일한 에멀젼 형성이 가능하였다. 장시간 에멀젼 형성 실험에서 폴리비닐 알코올로 친수성 개질된 유리 캐필러리를 사용할 경우 6시간 동안 안정적이고 균일한 에멀젼 형성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조한 폴리비닐 알코올로 표면 개질된 유리 캐필러리와 실리카 캐필러리를 이용한 미세유체장치는 장시간 동안 균일한 에멀젼을 제조하기 위한 플랫폼으로 활용될 수 있다.","PeriodicalId":20441,"journal":{"name":"Polymer-korea","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24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4,"RegionCategory":"化学","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09-30DOI: 10.7317/pk.2023.47.5.634
Jae-Hun Kim, Young-Jin Kim, Yoon-Seong Choi, Hye-Won Lee, Ji-Yoon Kim, Sula Han, Jin-Hyun Choi
나노섬유 소재는 박테리아나 바이러스와 같은 미생물에 대한 뛰어난 차단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생리활성과 생체적합성을 보유하는 천연물을 복합화하여 그 기능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옥수수 속대 추출물(Zea mays cob extract, ZME)과 polyurethane(PU)을 복합 전기방사하여 ZME/PU 나노섬유 웹을 제조하고, 이의 물리적 특성 및 생리활성을 고찰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ZME/PU 나노섬유의 직경과 기공의 크기는 PU나노섬유 대비 감소하였다. PU 나노섬유 웹은 젖음성이 거의 없는 반면, ZME/PU 나노섬유 웹의 수분 접촉각은 10초내에 80° 이하로 급격히 감소하여 일정 수준의 흡수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ZME/PU 나노섬유 웹은 항산화 활성을 보유할 뿐만 아니라, 99.9%의 항균성을 가지면서도 세포독성을 전혀 나타내지 않아, 항노화 또는 상처 치유 관련 헬스케어 및 바이오메디컬 소재로의 응용이 기대된다.
{"title":"Zea Mays Cob Extract-containing Polyurethane Nanofiber Webs","authors":"Jae-Hun Kim, Young-Jin Kim, Yoon-Seong Choi, Hye-Won Lee, Ji-Yoon Kim, Sula Han, Jin-Hyun Choi","doi":"10.7317/pk.2023.47.5.634","DOIUrl":"https://doi.org/10.7317/pk.2023.47.5.634","url":null,"abstract":"나노섬유 소재는 박테리아나 바이러스와 같은 미생물에 대한 뛰어난 차단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생리활성과 생체적합성을 보유하는 천연물을 복합화하여 그 기능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옥수수 속대 추출물(Zea mays cob extract, ZME)과 polyurethane(PU)을 복합 전기방사하여 ZME/PU 나노섬유 웹을 제조하고, 이의 물리적 특성 및 생리활성을 고찰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ZME/PU 나노섬유의 직경과 기공의 크기는 PU나노섬유 대비 감소하였다. PU 나노섬유 웹은 젖음성이 거의 없는 반면, ZME/PU 나노섬유 웹의 수분 접촉각은 10초내에 80° 이하로 급격히 감소하여 일정 수준의 흡수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ZME/PU 나노섬유 웹은 항산화 활성을 보유할 뿐만 아니라, 99.9%의 항균성을 가지면서도 세포독성을 전혀 나타내지 않아, 항노화 또는 상처 치유 관련 헬스케어 및 바이오메디컬 소재로의 응용이 기대된다.","PeriodicalId":20441,"journal":{"name":"Polymer-korea","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06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4,"RegionCategory":"化学","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09-30DOI: 10.7317/pk.2023.47.5.628
Su-Jong Bae, Myoungsoo Shin, Seungmin Yoo, Woo-Jin Song
리튬이온전지는 폴리올레핀계 분리막의 낮은 열안정성으로 인해 폭발, 화재 등의 안전성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glycidyloxypropyl)trimethoxysilane(GPTMS)로 표면개질한 ethylene-vinyl alcohol(EVOH)고분자를 nonsolvent-induced phase separation(NIPS)방법을 이용해 분리막을 제작하였으며, 리튬이온전지 내에서 분리막의 전기화학적 성능을 평가하였다. EVOH 분리막 필름 제작 시 GPTMS로 표면 개질함으로써 향상된 물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용매 및 비용매의 선별을 통해 균일한 기공 크기를 갖는 (GPTMS-treated EVOH) (G-EVOH) 분리막을 제작했다. 이 분리막은 polypropylene(PP) 분리막 대비 향상된 전해질 젖음성과 열안정성(at 140 ℃)을 가지는것을 확인하였다. LiCoO2|Graphite 전극 구성과 G-EVOH분리막의 조합으로 완전셀을 제작하였으며, 2C에서 수명특성 평가를 진행한 결과 90싸이클 이후 용량유지율이 PP대비 75% 향상되었다.
{"title":"Fabrication of Porous EVOH Separator Membrane Using NIPS Process for Next-Generation Lithium-ion Battery","authors":"Su-Jong Bae, Myoungsoo Shin, Seungmin Yoo, Woo-Jin Song","doi":"10.7317/pk.2023.47.5.628","DOIUrl":"https://doi.org/10.7317/pk.2023.47.5.628","url":null,"abstract":"리튬이온전지는 폴리올레핀계 분리막의 낮은 열안정성으로 인해 폭발, 화재 등의 안전성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glycidyloxypropyl)trimethoxysilane(GPTMS)로 표면개질한 ethylene-vinyl alcohol(EVOH)고분자를 nonsolvent-induced phase separation(NIPS)방법을 이용해 분리막을 제작하였으며, 리튬이온전지 내에서 분리막의 전기화학적 성능을 평가하였다. EVOH 분리막 필름 제작 시 GPTMS로 표면 개질함으로써 향상된 물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용매 및 비용매의 선별을 통해 균일한 기공 크기를 갖는 (GPTMS-treated EVOH) (G-EVOH) 분리막을 제작했다. 이 분리막은 polypropylene(PP) 분리막 대비 향상된 전해질 젖음성과 열안정성(at 140 ℃)을 가지는것을 확인하였다. LiCoO2|Graphite 전극 구성과 G-EVOH분리막의 조합으로 완전셀을 제작하였으며, 2C에서 수명특성 평가를 진행한 결과 90싸이클 이후 용량유지율이 PP대비 75% 향상되었다.","PeriodicalId":20441,"journal":{"name":"Polymer-korea","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06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4,"RegionCategory":"化学","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09-30DOI: 10.7317/pk.2023.47.5.660
Ju-Eon Jung, Yujin Song, Sung-Min Kang
기능성 미세입자는 스마트 약물전달 분야에서 큰 가능성을 보여준다. 하지만 다양한 약물전달 시스템으로 응용을 위한 경제적 합성기술 개발 및 이를 통한 다기능성 미세입자 제조에 한계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원심력기반 미세유체 반응기를 통해 칼슘-알긴산/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미세입자를 합성함으로써 서로 다른 pH 조건에서 약물의 전달 및 방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원심분리 미세유체 반응기를 통한 미세입자의 합성은 간단하고 단시간에 단분산성 입자제조가 가능하였다. 그리고 칼슘-알긴산/PEO 미세입자는 중성 및 알칼리성 조건에서 선택적 pH 반응성을 확인하였으며, 알부민을 함입시켜 차세대 약물소재로 활용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능성 스마트 소재 개발 및 표적 약물전달 시스템에 대한 발전을 기대한다.
{"title":"Generation of pH-responsive Ca-alginate/polyethylene Oxide Hydrogel Microspheres for Oral Drug Delivery System","authors":"Ju-Eon Jung, Yujin Song, Sung-Min Kang","doi":"10.7317/pk.2023.47.5.660","DOIUrl":"https://doi.org/10.7317/pk.2023.47.5.660","url":null,"abstract":"기능성 미세입자는 스마트 약물전달 분야에서 큰 가능성을 보여준다. 하지만 다양한 약물전달 시스템으로 응용을 위한 경제적 합성기술 개발 및 이를 통한 다기능성 미세입자 제조에 한계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원심력기반 미세유체 반응기를 통해 칼슘-알긴산/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미세입자를 합성함으로써 서로 다른 pH 조건에서 약물의 전달 및 방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원심분리 미세유체 반응기를 통한 미세입자의 합성은 간단하고 단시간에 단분산성 입자제조가 가능하였다. 그리고 칼슘-알긴산/PEO 미세입자는 중성 및 알칼리성 조건에서 선택적 pH 반응성을 확인하였으며, 알부민을 함입시켜 차세대 약물소재로 활용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능성 스마트 소재 개발 및 표적 약물전달 시스템에 대한 발전을 기대한다.","PeriodicalId":20441,"journal":{"name":"Polymer-korea","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06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4,"RegionCategory":"化学","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09-30DOI: 10.7317/pk.2023.47.5.643
Sang-Ha Hwang, Young-Sil Lee, Kwan-Han Yoon
Poly(L-lactide)(PLLA)의 L-lactyl 반복단위와 poly(D-lactide)(PDLA)의 D-lactyl 반복단위의 강한 상호작용을 통해 입체 복합화된 결정구조가 형성됨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퀀스 단위의 상호작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PLLA-b-PDLA 블록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접근법을 사용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용융된 PLLA상에서 D-lactide를 중합하는 in-situ 중합법을 활용하였다. 비록 PLLA의 높은 점도로 인한 유동성의 저하로 D-lactide의 반응 전환율은 상대적으로 낮게 측정되었으나 약 6시간의 중합 반응을 통해 PLLA-b-PDLA 블록 공중합체가 효과적으로 형성됨이 관찰되었고 이를 통해 열변형온도가 약 63.5 ℃에서 130.5 ℃로 두배 가까이 상승함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meso-lactide의 함량 별 첨가를 통해 PLLA와 PDLA의 입체규칙성과 그 유사성이 입체복합화에 가장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으며 sc-PLA의 가공성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Poly(L-lactide)(PLLA)的L-lactyl重复单位和Poly(D-lactide)(PDLA)的D-lactyl重复单位之间的强烈相互作用形成了立体复合化的晶体结构。为了最大限度地扩大序列单位的相互作用,本研究使用了PLLA-b-PDLA块空中合体的方法,并使用了在熔融的PLLA上聚合D-lactide的in-situ聚合法。虽然plla的高,这也是导致流动性下降d - lactide的转换反应率测量得相对较低,但通过约6小时的聚合反应,plla - b - pdla街区空中随着联合体的有效形成观察了,通过这一高调型温度约63.5℃在130为5℃,确认上涨了1倍。另外,通过添加meso-lactide的含量,确认了PLLA和PDLA的立体规律性及其相似性是立体复合化最重要的因素,并证明了可以成为改善sc-PLA加工性的方案。
{"title":"Enhanced Thermomechanical Properties of Stereo-complexed PLA Copoymer via In-situ Polymerization","authors":"Sang-Ha Hwang, Young-Sil Lee, Kwan-Han Yoon","doi":"10.7317/pk.2023.47.5.643","DOIUrl":"https://doi.org/10.7317/pk.2023.47.5.643","url":null,"abstract":"Poly(L-lactide)(PLLA)의 L-lactyl 반복단위와 poly(D-lactide)(PDLA)의 D-lactyl 반복단위의 강한 상호작용을 통해 입체 복합화된 결정구조가 형성됨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퀀스 단위의 상호작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PLLA-b-PDLA 블록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접근법을 사용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용융된 PLLA상에서 D-lactide를 중합하는 in-situ 중합법을 활용하였다. 비록 PLLA의 높은 점도로 인한 유동성의 저하로 D-lactide의 반응 전환율은 상대적으로 낮게 측정되었으나 약 6시간의 중합 반응을 통해 PLLA-b-PDLA 블록 공중합체가 효과적으로 형성됨이 관찰되었고 이를 통해 열변형온도가 약 63.5 ℃에서 130.5 ℃로 두배 가까이 상승함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meso-lactide의 함량 별 첨가를 통해 PLLA와 PDLA의 입체규칙성과 그 유사성이 입체복합화에 가장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으며 sc-PLA의 가공성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PeriodicalId":20441,"journal":{"name":"Polymer-korea","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24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4,"RegionCategory":"化学","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09-30DOI: 10.7317/pk.2023.47.5.598
Liulan Lin, Weixuan Xu, Guomin Liu
The properties of polyvinyl alcohol (PVA)/short carbon fibers (SCFs) electroactive shape memory composites after the addition of Tween80 were studi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ddition of Tween80 caused a decrease in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composites, and the conductivity of the composites decreased gradually with the increase of the Tween80 content. The addition of Tween80 significantly improved the deposition of SCFs in the matrix, which had a certain effect on the homogeneity of the composites. When the addition of Tween80 was 4%, it had the best tensile strength. The composite still showed good shape recovery properties under conductive conditions, while the shape fixity ratio has decreased. In addition, a smart gripper which could realize grasping action under electric stimulation was designed. The above results indicated that PVA/SCFs composites with appropriate Tween80 content could provide greater possibility for the potential application in the field of soft grippers.
{"title":"Study on the Effect of Tween80 on the Properties of PVA/SCFs Composites","authors":"Liulan Lin, Weixuan Xu, Guomin Liu","doi":"10.7317/pk.2023.47.5.598","DOIUrl":"https://doi.org/10.7317/pk.2023.47.5.598","url":null,"abstract":"The properties of polyvinyl alcohol (PVA)/short carbon fibers (SCFs) electroactive shape memory composites after the addition of Tween80 were studi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ddition of Tween80 caused a decrease in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composites, and the conductivity of the composites decreased gradually with the increase of the Tween80 content. The addition of Tween80 significantly improved the deposition of SCFs in the matrix, which had a certain effect on the homogeneity of the composites. When the addition of Tween80 was 4%, it had the best tensile strength. The composite still showed good shape recovery properties under conductive conditions, while the shape fixity ratio has decreased. In addition, a smart gripper which could realize grasping action under electric stimulation was designed. The above results indicated that PVA/SCFs composites with appropriate Tween80 content could provide greater possibility for the potential application in the field of soft grippers.","PeriodicalId":20441,"journal":{"name":"Polymer-korea","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24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4,"RegionCategory":"化学","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09-30DOI: 10.7317/pk.2023.47.5.669
Hyo-Jun Kim, Geon-Uk Park, Jae-Keun Yu, Sung-hyun Choi, Min-Young Shon, Myung-Jun Moon
본 연구에서는 ethylene-co-methacrylic acid copolymer(EMAA)의 가교제로 zinc oxide(ZnO)와 dicumyl peroxide(DCP)를 적용하여 시간에 따른 가교 거동 특성을 oscillating disc rheometer(ODR)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molded-in foaming(MIF) 공정에 적합한 가교시스템을 찾고자 하였다. DCP의 경우, 초기 토크 상승 속도가 빨라 MIF 공정에 적합하지 않았다. ZnO의 경우, 5 phr 이상에서 유의미한 토크변화가 관찰되었으며 DCP와 유사한 최대토크 값을 나타낸 경우라도 초기 토크 값 상승 속도가 낮아 DCP보다 MIF 공정에 더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ZnO15 phr에 DCP를 첨가한 경우, 초기 토크 값 상승을 낮게 유지하면서도 최대 토크 값 상승이 가능해 DCP 및 ZnO 단독보다는 ZnO/DCP 복합 가교 시스템이 MIF 공정에 더 유용하다고 판단되었다.
{"title":"Study on the Crosslinking System for Molded-In Foaming (MIF) Process","authors":"Hyo-Jun Kim, Geon-Uk Park, Jae-Keun Yu, Sung-hyun Choi, Min-Young Shon, Myung-Jun Moon","doi":"10.7317/pk.2023.47.5.669","DOIUrl":"https://doi.org/10.7317/pk.2023.47.5.669","url":null,"abstract":"본 연구에서는 ethylene-co-methacrylic acid copolymer(EMAA)의 가교제로 zinc oxide(ZnO)와 dicumyl peroxide(DCP)를 적용하여 시간에 따른 가교 거동 특성을 oscillating disc rheometer(ODR)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molded-in foaming(MIF) 공정에 적합한 가교시스템을 찾고자 하였다. DCP의 경우, 초기 토크 상승 속도가 빨라 MIF 공정에 적합하지 않았다. ZnO의 경우, 5 phr 이상에서 유의미한 토크변화가 관찰되었으며 DCP와 유사한 최대토크 값을 나타낸 경우라도 초기 토크 값 상승 속도가 낮아 DCP보다 MIF 공정에 더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ZnO15 phr에 DCP를 첨가한 경우, 초기 토크 값 상승을 낮게 유지하면서도 최대 토크 값 상승이 가능해 DCP 및 ZnO 단독보다는 ZnO/DCP 복합 가교 시스템이 MIF 공정에 더 유용하다고 판단되었다.","PeriodicalId":20441,"journal":{"name":"Polymer-korea","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06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4,"RegionCategory":"化学","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09-30DOI: 10.7317/pk.2023.47.5.565
Hayeemasae Nabil, Irfan Fathurrohman Mohamad, Abdulhakim Masa Abdulhakim
Influences of maleic anhydride (MA) contents (1-10 wt%) on the properties of natural rubber (NR) grafted with MA – or maleated natural rubber (MNR) –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rheometric tests, the scorch and cure times of MNRs were longer than that of NR, because the acidity of MA slowed down crosslinking reactions and decreased grafting efficiency of MA onto the NR. The maximum torque and torque difference of MNRs were improved over NR due to the maleated linkages formation. These maleated linkages induced greater crosslink density and shifted thermo-stability of NR toward higher temperature. A dramatic increase in crosslink density was attained in the MNR containing 1% MA, having also the highest thermomechanical properties and tensile strength. The thermostability and tensile strength of the MNR containing 1% MA were improved by about 10 ℃ and 53% over those of the NR.
{"title":"Effects of Maleic Anhydride Content on Thermomechan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Maleated Natural Rubber","authors":"Hayeemasae Nabil, Irfan Fathurrohman Mohamad, Abdulhakim Masa Abdulhakim","doi":"10.7317/pk.2023.47.5.565","DOIUrl":"https://doi.org/10.7317/pk.2023.47.5.565","url":null,"abstract":"Influences of maleic anhydride (MA) contents (1-10 wt%) on the properties of natural rubber (NR) grafted with MA – or maleated natural rubber (MNR) –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rheometric tests, the scorch and cure times of MNRs were longer than that of NR, because the acidity of MA slowed down crosslinking reactions and decreased grafting efficiency of MA onto the NR. The maximum torque and torque difference of MNRs were improved over NR due to the maleated linkages formation. These maleated linkages induced greater crosslink density and shifted thermo-stability of NR toward higher temperature. A dramatic increase in crosslink density was attained in the MNR containing 1% MA, having also the highest thermomechanical properties and tensile strength. The thermostability and tensile strength of the MNR containing 1% MA were improved by about 10 ℃ and 53% over those of the NR.","PeriodicalId":20441,"journal":{"name":"Polymer-korea","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25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4,"RegionCategory":"化学","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