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 Date : 2023-09-30DOI: 10.7317/pk.2023.47.5.678
Juyoung Hwang, Mun Ho Kim, Minseok Kwak, Mhamdi Rim, Banyu Firdaus Soeriawidjaja, Min-Chan Kim, Pradyasti Astrini, Thanh Pham Chung, Kyu Hyun, Hyun Jung Kim, Songyi Lee
본 연구는 피부조직을 모방한 아크릴아마이드 기반 팬텀을 사용하여 광열치료에서 근적외선 빛이 얼마나 깊이 투과하는지를 평가하였다. 인도시아닌그린, IR788, PA2, 금 나노 막대와 같은 다양한 광열제를 팬텀에 첨가하였다. 근적외선 레이저 조사하에서 광열제의 온도 변화를 다양한 팬텀 뚜껑의 높이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온도감소는 뚜껑의 두께와 비례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온도변화와 투과율이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었으며, Pearson상관계수 또한 높은 값을 가졌다. 광열제의 광열 전환 효율을 계산하였고, 그 중 금 나노 막대가 팬텀에서 근적외선레이저 조사로부터 가장 에너지 흡수율이 높았다. 이 결과로부터 아크릴아마이드 기반 팬텀은 조직 조건하에서의 광열치료에서 광열제의 성능을 연구하기 위한 중요한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itle":"Assessment of Near-infrared Penetration Depth and Photothermal Efficiency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in Tissue-mimicking Phantoms","authors":"Juyoung Hwang, Mun Ho Kim, Minseok Kwak, Mhamdi Rim, Banyu Firdaus Soeriawidjaja, Min-Chan Kim, Pradyasti Astrini, Thanh Pham Chung, Kyu Hyun, Hyun Jung Kim, Songyi Lee","doi":"10.7317/pk.2023.47.5.678","DOIUrl":"https://doi.org/10.7317/pk.2023.47.5.678","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피부조직을 모방한 아크릴아마이드 기반 팬텀을 사용하여 광열치료에서 근적외선 빛이 얼마나 깊이 투과하는지를 평가하였다. 인도시아닌그린, IR788, PA2, 금 나노 막대와 같은 다양한 광열제를 팬텀에 첨가하였다. 근적외선 레이저 조사하에서 광열제의 온도 변화를 다양한 팬텀 뚜껑의 높이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온도감소는 뚜껑의 두께와 비례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온도변화와 투과율이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었으며, Pearson상관계수 또한 높은 값을 가졌다. 광열제의 광열 전환 효율을 계산하였고, 그 중 금 나노 막대가 팬텀에서 근적외선레이저 조사로부터 가장 에너지 흡수율이 높았다. 이 결과로부터 아크릴아마이드 기반 팬텀은 조직 조건하에서의 광열치료에서 광열제의 성능을 연구하기 위한 중요한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PeriodicalId":20441,"journal":{"name":"Polymer-korea","volume":"3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25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4,"RegionCategory":"化学","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09-30DOI: 10.7317/pk.2023.47.5.650
Dong-Won Shin, Miran Kim, Minjin Kang, Young-Jin Kim, Hyun-Mee Lee, Ki-Hong Kim, Yoon-Soo Han
광투과율이 97%(550 nm), 산소투과성이 40.78 barrer 및 함수율이 38.4%인 실리콘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를 합성하였으며, 제조된 렌즈의 낮은 함수율을 보완하고 착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80% 이상의 함수율을 갖는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SCMC) 가교막을 렌즈표면에 공유결합으로 도입하였다. 가교제인 glutaraldehyde(GA), poly(vinyl alcohol) 및 실리콘 하이드로젤 렌즈를 반응시켜 렌즈 표면에 히드록시기를 다량 생성시킨 후, 이를 GA가교제 존재 하에서 SCMC와 20-80분간 반응시켰을 때 0.35-2.50 μm 두께의 SCMC 표면층을 형성할 수 있었다. 가교된 SCMC 표면층 형성 전후의 물 접촉각을 측정한 결과 표면층이 없는 렌즈는 90.25°로 나타났으며, SCMC가교막의 형성에 의해 접촉각이 43.80°로 크게 감소하였다.
{"title":"Prepar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a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 with a High-water-content Cellulose Surface Layer","authors":"Dong-Won Shin, Miran Kim, Minjin Kang, Young-Jin Kim, Hyun-Mee Lee, Ki-Hong Kim, Yoon-Soo Han","doi":"10.7317/pk.2023.47.5.650","DOIUrl":"https://doi.org/10.7317/pk.2023.47.5.650","url":null,"abstract":"광투과율이 97%(550 nm), 산소투과성이 40.78 barrer 및 함수율이 38.4%인 실리콘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를 합성하였으며, 제조된 렌즈의 낮은 함수율을 보완하고 착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80% 이상의 함수율을 갖는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SCMC) 가교막을 렌즈표면에 공유결합으로 도입하였다. 가교제인 glutaraldehyde(GA), poly(vinyl alcohol) 및 실리콘 하이드로젤 렌즈를 반응시켜 렌즈 표면에 히드록시기를 다량 생성시킨 후, 이를 GA가교제 존재 하에서 SCMC와 20-80분간 반응시켰을 때 0.35-2.50 μm 두께의 SCMC 표면층을 형성할 수 있었다. 가교된 SCMC 표면층 형성 전후의 물 접촉각을 측정한 결과 표면층이 없는 렌즈는 90.25°로 나타났으며, SCMC가교막의 형성에 의해 접촉각이 43.80°로 크게 감소하였다.","PeriodicalId":20441,"journal":{"name":"Polymer-korea","volume":"2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06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4,"RegionCategory":"化学","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09-30DOI: 10.7317/pk.2023.47.5.590
Young-Rae Kim, Jin-Hee Noh, Jineun Lee, Heesang Kim, Hyojin Kim, Hoon-Moh Seong, Dong-Cheul Han, Giseop Kwak
방향족 다이아민과 이무수산을 단위체로 사용하여 화학적 이미드화법으로부터 설폰함유 방향족 폴리이미드를 제조하였다.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바인더로써의 잠정적인 사용을 위해 다양한 단위체 조합을 기반으로 한 분자설계를 통해 폴리머를 합성하였다. 슬러리제조를 위한 NMP에 대한 용해성, 전해액에 대한 불용성, 집전체에 대한 결착력, 다양한 공정조건과 환경에서의 안정적인 사용을 위한 폭넓은 범위에서의 유리전이온도(TSUBg/SUB)를 평가하였다. 생성 폴리머는 모두 전해액에 불용이었고 구리와 알루미늄박에 강하게 부착되었다. 폴리머 사슬의 회전자유도와 굴곡성이 증가할수록 NMP에 대한 용해도는 증대되었고 TSUBg/SUB는 감소하였다. 특히, 폴리머 사슬의 회전자유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합중심원소의 혼성상태”와 굴곡성에 영향을 미치는 “연결위치”를 임의로 수치화하여 TSUBg/SUB와의 연관성을 밝혔다. 본 연구는 설폰함유 폴리이미드의 분자구조와 물성 간의 상관관계를 명확히 함으로써 이차전지 바인더 소재의 라이브러리 구축을 위한 핵심 분자설계지침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itle":"Correlation Between Structure and Physical Properties of Sulfone-Containing Aromatic Polyimides","authors":"Young-Rae Kim, Jin-Hee Noh, Jineun Lee, Heesang Kim, Hyojin Kim, Hoon-Moh Seong, Dong-Cheul Han, Giseop Kwak","doi":"10.7317/pk.2023.47.5.590","DOIUrl":"https://doi.org/10.7317/pk.2023.47.5.590","url":null,"abstract":"방향족 다이아민과 이무수산을 단위체로 사용하여 화학적 이미드화법으로부터 설폰함유 방향족 폴리이미드를 제조하였다.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바인더로써의 잠정적인 사용을 위해 다양한 단위체 조합을 기반으로 한 분자설계를 통해 폴리머를 합성하였다. 슬러리제조를 위한 NMP에 대한 용해성, 전해액에 대한 불용성, 집전체에 대한 결착력, 다양한 공정조건과 환경에서의 안정적인 사용을 위한 폭넓은 범위에서의 유리전이온도(TSUBg/SUB)를 평가하였다. 생성 폴리머는 모두 전해액에 불용이었고 구리와 알루미늄박에 강하게 부착되었다. 폴리머 사슬의 회전자유도와 굴곡성이 증가할수록 NMP에 대한 용해도는 증대되었고 TSUBg/SUB는 감소하였다. 특히, 폴리머 사슬의 회전자유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합중심원소의 혼성상태”와 굴곡성에 영향을 미치는 “연결위치”를 임의로 수치화하여 TSUBg/SUB와의 연관성을 밝혔다. 본 연구는 설폰함유 폴리이미드의 분자구조와 물성 간의 상관관계를 명확히 함으로써 이차전지 바인더 소재의 라이브러리 구축을 위한 핵심 분자설계지침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PeriodicalId":20441,"journal":{"name":"Polymer-korea","volume":"3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06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4,"RegionCategory":"化学","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09-30DOI: 10.7317/pk.2023.47.5.613
S. Dhanasekar, M.S. Ravi Theja, S. Baskar, S. Vishvanathperumal
The final performance of polymer-based composites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surface modification of fillers, filler dispersion, and interfacial adhesion. In this contribution, silica is modified by polymethylhydrosiloxane (PMHS) using a quick and effective tris(pentafluorophenyl)borane-catalyzed functionalization that can be finished at room temperature in a few minutes. The modified silica exhibits both unaltered reactivity and a highly hydrophobic surface. A comparison of composites containing extracted silica and modified silica reveals that the PMHS modification can improve silica dispersibility by lowering the interfacial energy, as well as enhance interfacial interaction due to the reactivity of the remaining Si-H bonds. The modified composite shows remarkable improvements in mechanical properties with a PMHS grafting percentage as low as 1.5 wt% (63% increase in tensile strength, 12% increase in elongation at break, and 23% increase in modulus). We believe that the hydrosilane-modified silica offers enormous promise for the creation of high-performance polymer composites, owing to the improved overall performance of the modified composites and the ease and speed of the modification process.
{"title":"Effects of Nanosilica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Swelling Resistance of EPDM/NBR Nanocomposites","authors":"S. Dhanasekar, M.S. Ravi Theja, S. Baskar, S. Vishvanathperumal","doi":"10.7317/pk.2023.47.5.613","DOIUrl":"https://doi.org/10.7317/pk.2023.47.5.613","url":null,"abstract":"The final performance of polymer-based composites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surface modification of fillers, filler dispersion, and interfacial adhesion. In this contribution, silica is modified by polymethylhydrosiloxane (PMHS) using a quick and effective tris(pentafluorophenyl)borane-catalyzed functionalization that can be finished at room temperature in a few minutes. The modified silica exhibits both unaltered reactivity and a highly hydrophobic surface. A comparison of composites containing extracted silica and modified silica reveals that the PMHS modification can improve silica dispersibility by lowering the interfacial energy, as well as enhance interfacial interaction due to the reactivity of the remaining Si-H bonds. The modified composite shows remarkable improvements in mechanical properties with a PMHS grafting percentage as low as 1.5 wt% (63% increase in tensile strength, 12% increase in elongation at break, and 23% increase in modulus). We believe that the hydrosilane-modified silica offers enormous promise for the creation of high-performance polymer composites, owing to the improved overall performance of the modified composites and the ease and speed of the modification process.","PeriodicalId":20441,"journal":{"name":"Polymer-korea","volume":"6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624833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4,"RegionCategory":"化学","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09-30DOI: 10.7317/pk.2023.47.5.686
Chae-Jun Lim, Min-A Kang, Min-Young Lyu
본 연구에서는 사각 홀이 있는 사각시편에서 polyphenylene sulfide 수지의 성형조건에 따른 성형수축을 조사하였다. 사용한 수지는 유리섬유(GF)를 40 wt% 함유한 수지(E1040S)와 GF 35 wt%와 탄산칼슘 30 wt%를 함유한 수지(E5060G)이다. 두 수지에서 캐비티 내 흐름 패턴이 달랐으며 E1040S보다 E5060G에서 성형수축이 작았다. 캐비티 내에서 수지의 수축으로 외곽 치수는 감소하였으나 내부 치수는 증가하였으며 내부 치수가 성형조건에 더 민감하게 나타났다. 시편의 치수 중 게이트에 가까운 부분은 수축이 작았고 게이트에서 먼 부분은 수축이 컸다. 외곽 치수의 경우 두 수지에서 흐름방향의 수축이 흐름 직각방향보다 작게 나타났다. 내부 치수의 성형수축에서 E5060G는 흐름방향으로 수축이 작았으나 E1040S는 흐름방향과 흐름 직각방향의 수축차이가 거의 없었다. 성형에서 나타나는 수축으로 인해
{"title":"Mold Shrinkage of PPS Resin According to Injection Molding Condition for the Rectangular Specimen with Rectangular Hole","authors":"Chae-Jun Lim, Min-A Kang, Min-Young Lyu","doi":"10.7317/pk.2023.47.5.686","DOIUrl":"https://doi.org/10.7317/pk.2023.47.5.686","url":null,"abstract":"본 연구에서는 사각 홀이 있는 사각시편에서 polyphenylene sulfide 수지의 성형조건에 따른 성형수축을 조사하였다. 사용한 수지는 유리섬유(GF)를 40 wt% 함유한 수지(E1040S)와 GF 35 wt%와 탄산칼슘 30 wt%를 함유한 수지(E5060G)이다. 두 수지에서 캐비티 내 흐름 패턴이 달랐으며 E1040S보다 E5060G에서 성형수축이 작았다. 캐비티 내에서 수지의 수축으로 외곽 치수는 감소하였으나 내부 치수는 증가하였으며 내부 치수가 성형조건에 더 민감하게 나타났다. 시편의 치수 중 게이트에 가까운 부분은 수축이 작았고 게이트에서 먼 부분은 수축이 컸다. 외곽 치수의 경우 두 수지에서 흐름방향의 수축이 흐름 직각방향보다 작게 나타났다. 내부 치수의 성형수축에서 E5060G는 흐름방향으로 수축이 작았으나 E1040S는 흐름방향과 흐름 직각방향의 수축차이가 거의 없었다. 성형에서 나타나는 수축으로 인해","PeriodicalId":20441,"journal":{"name":"Polymer-korea","volume":"3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06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4,"RegionCategory":"化学","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In this study, polymeriz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risalicyl borate (TSB) with epoxidized soybean oil (ESO) was evaluated. Synthesis of TSB is involved by the reaction between boric acid and salicylic acid at the first step of the reaction. Then TSB was polymerized with ESO at 95 ℃ for 6 hours. All the compounds synthesized were characterized by FTIR and 1H NMR techniques. Characteristic bands of the boron esters appeared at 1644, 1610, 1578, 1472, 1276, 784, 757, 656, and 530 cm-1. 1H NMR technique indicated that hydrogens of the free carboxyl groups revealed at 10.8 ppm. The resultant polymers of TSB and ESO were rubbery materials. Mechanical, therm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TSB-ESO polymer was determined. They exhibit small stress at break values with high strain percentages. Thermal and mechanical characterization of the polymers were perform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and Stress-Strain tests. It was found that TSB-ESO polymer exhibited highest swelling ratio in toluene. The TSB-ESO polymer was a rubbery material that showed 0.1 MPa stress at break value with 240% elongation. Thermal properties of the synthesized polymer were evaluated with DSC and TGA methods. TSB-ESA showed one Tg at -2 ℃ and a melting peak at 92 ℃. TGA plot showed 2 segmental weight loss. As an indicator for thermal stability, 5% weight loss temperature was measured as 112 ℃. Additionally, DC analysis reveals that the resistivity and conductivity of the polymeric sample is measured as 2.375 MΩm and 0.401 μS/m respectively.
{"title":"Characterization and Investigation of Electrical Properties of Epoxidized Soybean Oil-tri Salicyl Borate Polymer","authors":"Çayli Gökhan, Hüseyin Esen, Demet Gürbüz, Polat Uzunoğlu Cengiz, Çinarli Adem, Kahraman Cengiz","doi":"10.7317/pk.2023.47.5.606","DOIUrl":"https://doi.org/10.7317/pk.2023.47.5.606","url":null,"abstract":"In this study, polymeriz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risalicyl borate (TSB) with epoxidized soybean oil (ESO) was evaluated. Synthesis of TSB is involved by the reaction between boric acid and salicylic acid at the first step of the reaction. Then TSB was polymerized with ESO at 95 ℃ for 6 hours. All the compounds synthesized were characterized by FTIR and 1H NMR techniques. Characteristic bands of the boron esters appeared at 1644, 1610, 1578, 1472, 1276, 784, 757, 656, and 530 cm-1. 1H NMR technique indicated that hydrogens of the free carboxyl groups revealed at 10.8 ppm. The resultant polymers of TSB and ESO were rubbery materials. Mechanical, therm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TSB-ESO polymer was determined. They exhibit small stress at break values with high strain percentages. Thermal and mechanical characterization of the polymers were perform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and Stress-Strain tests. It was found that TSB-ESO polymer exhibited highest swelling ratio in toluene. The TSB-ESO polymer was a rubbery material that showed 0.1 MPa stress at break value with 240% elongation. Thermal properties of the synthesized polymer were evaluated with DSC and TGA methods. TSB-ESA showed one Tg at -2 ℃ and a melting peak at 92 ℃. TGA plot showed 2 segmental weight loss. As an indicator for thermal stability, 5% weight loss temperature was measured as 112 ℃. Additionally, DC analysis reveals that the resistivity and conductivity of the polymeric sample is measured as 2.375 MΩm and 0.401 μS/m respectively.","PeriodicalId":20441,"journal":{"name":"Polymer-korea","volume":"3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06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4,"RegionCategory":"化学","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05-31DOI: 10.7317/pk.2023.47.3.309
Ui-Chan Nam, Bo-Kyoung Park, Tae-Joon Park, Sung-Il Yoon, Jae-Hoon Kim, E-Joon Choi
액정(LC)의 전기광학적 특성을 실용 장치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방향자의 균일한 배향이 요구된다. 최근 LC 소자에서 배향막의 표면고정에너지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반응성 메조겐(RM)을 도입한 보고가 있었다. 지금까지 막대형 RM의 도입에 따른 수평배향 모드의 방위각 고정에너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다. 본 연구에서는 비대칭적 굽은핵 RM-유사선형 하키스틱형 RM-의 도입이 수직배향(VA) 모드의 편극 고정에너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합성한 RM 분자들의 구조는 1H NMR 및 FTIR 분광분석법과 원소분석법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시차주사열량분석기(DSC)를 사용하여 열전이 거동을 조사하고, 편광현미경(POM)을 사용하여 광학조직을 관찰하였다. 하키스틱형 RM과 폴리이미드(PI)계 수직배향제의 혼합물을 스핀코팅시켜 VA 셀을 제작하였으며, 음의 유전률 상수를 갖는 LC를 주입하고 광경화를 실시하여 VA-모드 셀을 제작한 후 전기광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title":"Synthesis and Surface Anchoring Property of Partially Fluorinated Hockey Stick-Shaped Reactive Mesogens","authors":"Ui-Chan Nam, Bo-Kyoung Park, Tae-Joon Park, Sung-Il Yoon, Jae-Hoon Kim, E-Joon Choi","doi":"10.7317/pk.2023.47.3.309","DOIUrl":"https://doi.org/10.7317/pk.2023.47.3.309","url":null,"abstract":"액정(LC)의 전기광학적 특성을 실용 장치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방향자의 균일한 배향이 요구된다. 최근 LC 소자에서 배향막의 표면고정에너지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반응성 메조겐(RM)을 도입한 보고가 있었다. 지금까지 막대형 RM의 도입에 따른 수평배향 모드의 방위각 고정에너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다. 본 연구에서는 비대칭적 굽은핵 RM-유사선형 하키스틱형 RM-의 도입이 수직배향(VA) 모드의 편극 고정에너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합성한 RM 분자들의 구조는 1H NMR 및 FTIR 분광분석법과 원소분석법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시차주사열량분석기(DSC)를 사용하여 열전이 거동을 조사하고, 편광현미경(POM)을 사용하여 광학조직을 관찰하였다. 하키스틱형 RM과 폴리이미드(PI)계 수직배향제의 혼합물을 스핀코팅시켜 VA 셀을 제작하였으며, 음의 유전률 상수를 갖는 LC를 주입하고 광경화를 실시하여 VA-모드 셀을 제작한 후 전기광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PeriodicalId":20441,"journal":{"name":"Polymer-korea","volume":"29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5-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39497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4,"RegionCategory":"化学","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05-31DOI: 10.7317/pk.2023.47.3.348
Haneul Kwon, Mirim Ham, Hyunjung Lee
최근 에너지 절약에 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전기 변색 스마트 윈도우 시장이 주목받고 있다. 최근 고분자 섬유형 전기 변색 소자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공정 과정이 복잡하고 느린 변색 시간, 낮은 전기 변색 효율로 인한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변색 특성 및 안정성이 뛰어난 텅스텐 산화물(WO₃) 전기 변색 물질과 전기 방사 매질 및 이온 전달 물질인 poly(ethylene oxide)(PEO) 혼합 용액을 전기 방사하여 WO₃@PEO 섬유층을 제작하였다. 형태학적으로 균일한 WO₃@PEO 섬유층 제작을 위해 PEO의 분자량, 전기 방사 시 인가 전압을 조절하였으며, 최적화된 전기 변색 특성을 위해 WO₃와 PEO의 비율 및 전기 방사 시간을 조절하였다. 이같이 제조된 WO₃@PEO 섬유층은 고온공정 없이 전기방사법으로 제조되어 낮은 공정 가격 및 대면적 생산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높은 다공성으로 인해 섬유층의 두께와 관계없이 동일한 변색 시간으로 높은 투과도 차이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title":"Electrochromic Characterization of WO₃@PEO Fiber by Controlling the Solution and Electrospinning Conditions","authors":"Haneul Kwon, Mirim Ham, Hyunjung Lee","doi":"10.7317/pk.2023.47.3.348","DOIUrl":"https://doi.org/10.7317/pk.2023.47.3.348","url":null,"abstract":"최근 에너지 절약에 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전기 변색 스마트 윈도우 시장이 주목받고 있다. 최근 고분자 섬유형 전기 변색 소자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공정 과정이 복잡하고 느린 변색 시간, 낮은 전기 변색 효율로 인한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변색 특성 및 안정성이 뛰어난 텅스텐 산화물(WO₃) 전기 변색 물질과 전기 방사 매질 및 이온 전달 물질인 poly(ethylene oxide)(PEO) 혼합 용액을 전기 방사하여 WO₃@PEO 섬유층을 제작하였다. 형태학적으로 균일한 WO₃@PEO 섬유층 제작을 위해 PEO의 분자량, 전기 방사 시 인가 전압을 조절하였으며, 최적화된 전기 변색 특성을 위해 WO₃와 PEO의 비율 및 전기 방사 시간을 조절하였다. 이같이 제조된 WO₃@PEO 섬유층은 고온공정 없이 전기방사법으로 제조되어 낮은 공정 가격 및 대면적 생산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높은 다공성으로 인해 섬유층의 두께와 관계없이 동일한 변색 시간으로 높은 투과도 차이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PeriodicalId":20441,"journal":{"name":"Polymer-korea","volume":"1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5-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39497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4,"RegionCategory":"化学","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2-02-15DOI: 10.1515/9781503629851-015
{"title":"11 Establishment of Two Korean States, 1945–1960","authors":"","doi":"10.1515/9781503629851-015","DOIUrl":"https://doi.org/10.1515/9781503629851-015","url":null,"abstract":"","PeriodicalId":20441,"journal":{"name":"Polymer-korea","volume":"67 1","pages":""},"PeriodicalIF":0.4,"publicationDate":"2022-02-15","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732125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4,"RegionCategory":"化学","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2-02-15DOI: 10.1515/9781503629851-012
{"title":"8 Late Chosŏn Renovation and Decline, 1724–1864","authors":"","doi":"10.1515/9781503629851-012","DOIUrl":"https://doi.org/10.1515/9781503629851-012","url":null,"abstract":"","PeriodicalId":20441,"journal":{"name":"Polymer-korea","volume":"42 1","pages":""},"PeriodicalIF":0.4,"publicationDate":"2022-02-15","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672005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4,"RegionCategory":"化学","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