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 Date : 2017-09-01DOI: 10.17935/Chinan.2017.32..113
유일동, 김종근
{"title":"A Study on the Influence of Purchasing Intention and Support of Fandom on Characteristic of Wanghong in China","authors":"유일동, 김종근","doi":"10.17935/Chinan.2017.32..113","DOIUrl":"https://doi.org/10.17935/Chinan.2017.32..113","url":null,"abstract":"","PeriodicalId":117855,"journal":{"name":"China and Sinology","volume":"6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9-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443222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7-09-01DOI: 10.17935/Chinan.2017.32..57
No Suyeon, 김성옥
{"title":"A Study on Mechanism of Smart City Construction in Hangzhou City, China - A Case of City Brain Project","authors":"No Suyeon, 김성옥","doi":"10.17935/Chinan.2017.32..57","DOIUrl":"https://doi.org/10.17935/Chinan.2017.32..57","url":null,"abstract":"","PeriodicalId":117855,"journal":{"name":"China and Sinology","volume":"5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9-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668959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7-05-01DOI: 10.17935/chinan.2017.31..181
이태형
{"title":"중국 남송대 호방사인의 새로운 글쓰기 언어문화전략","authors":"이태형","doi":"10.17935/chinan.2017.31..181","DOIUrl":"https://doi.org/10.17935/chinan.2017.31..181","url":null,"abstract":"","PeriodicalId":117855,"journal":{"name":"China and Sinology","volume":"4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5-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660092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7-05-01DOI: 10.17935/chinan.2017.31..69
이승은
{"title":"‘중국적 통치성’으로 바라본 현대 중국의 ‘사회영역’ 담론 변화 - 조화사회, 사회관리, 사회치리 -","authors":"이승은","doi":"10.17935/chinan.2017.31..69","DOIUrl":"https://doi.org/10.17935/chinan.2017.31..69","url":null,"abstract":"","PeriodicalId":117855,"journal":{"name":"China and Sinology","volume":"12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5-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407470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7-05-01DOI: 10.17935/CHINAN.2017.31..155
Suhan Kim, 민귀식
{"title":"중국 징진지 도시군 지역발전과 산업 특징에 관한 연구 - 역내 산업구조 및 특화도 비교 분석 -","authors":"Suhan Kim, 민귀식","doi":"10.17935/CHINAN.2017.31..155","DOIUrl":"https://doi.org/10.17935/CHINAN.2017.31..155","url":null,"abstract":"","PeriodicalId":117855,"journal":{"name":"China and Sinology","volume":"3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5-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489255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7-05-01DOI: 10.17935/Chinan.2017.31..219
최병헌
{"title":"Corporate Strategy of Baidu, Alibaba, Tencent for Electric Vehicle (EV) Business","authors":"최병헌","doi":"10.17935/Chinan.2017.31..219","DOIUrl":"https://doi.org/10.17935/Chinan.2017.31..219","url":null,"abstract":"","PeriodicalId":117855,"journal":{"name":"China and Sinology","volume":"1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5-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117225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7-05-01DOI: 10.17935/chinan.2017.31..33
유정원
{"title":"중국 에너지 담론의 변화","authors":"유정원","doi":"10.17935/chinan.2017.31..33","DOIUrl":"https://doi.org/10.17935/chinan.2017.31..33","url":null,"abstract":"","PeriodicalId":117855,"journal":{"name":"China and Sinology","volume":"2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5-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717105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6-09-01DOI: 10.17935/Chinan.2016.29..135
김상욱
본 연구는 LQ를 이용하여 문화산업의 지역화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기존 연구와 달리 문화산업을 문화제조업과 문화서비스업으로 구분하고 있다. 그리고 LQ의 추계에는 종사자 수와 영업수입 두 가지 자료를 이용한다. 문화제조업의 종사자 수의 LQ가 1보다 큰 지역은 천진시(天津市), 절강성(浙江省), 복건성(福建省), 강소성(江苏省), 강서성(江西省), 호남성(湖南省), 산동성(山东省) 그리고 광동성(广东省)이 있다. 문화서비스업의 LQ가 1보다 큰 지역은 북경시(北京市), 상해시(上海市), 천진시(天津市), 강소성(江苏省), 절강성(浙江省), 요녕성(辽宁省), 호북성(湖北省), 광동성(广东省) 그리고 해남성(海南省)이 있다. 종사자 수의 LQ 분석결과는 두 가지 특징을 가진다. 첫째는 지역화의 특징이 강한 지역은 대부분이 동부 연해안 지역에 입지하고 있다. 즉 지역경제발전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이다. 둘째 문화제조업과 문화서비스업의 특징이 다르게 나타난다. 즉 북경시와 상해시 등의 대도시는 문화서비스업의 지역화가 더욱 강하게 나타난다. 영업수입의 LQ 분석결과는 종사자 수의 LQ 분석결과와 비슷하다.
{"title":"중국의 지역별 문화산업의 지역화 비교","authors":"김상욱","doi":"10.17935/Chinan.2016.29..135","DOIUrl":"https://doi.org/10.17935/Chinan.2016.29..135","url":null,"abstract":"본 연구는 LQ를 이용하여 문화산업의 지역화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기존 연구와 달리 문화산업을 문화제조업과 문화서비스업으로 구분하고 있다. 그리고 LQ의 추계에는 종사자 수와 영업수입 두 가지 자료를 이용한다. 문화제조업의 종사자 수의 LQ가 1보다 큰 지역은 천진시(天津市), 절강성(浙江省), 복건성(福建省), 강소성(江苏省), 강서성(江西省), 호남성(湖南省), 산동성(山东省) 그리고 광동성(广东省)이 있다. 문화서비스업의 LQ가 1보다 큰 지역은 북경시(北京市), 상해시(上海市), 천진시(天津市), 강소성(江苏省), 절강성(浙江省), 요녕성(辽宁省), 호북성(湖北省), 광동성(广东省) 그리고 해남성(海南省)이 있다. 종사자 수의 LQ 분석결과는 두 가지 특징을 가진다. 첫째는 지역화의 특징이 강한 지역은 대부분이 동부 연해안 지역에 입지하고 있다. 즉 지역경제발전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이다. 둘째 문화제조업과 문화서비스업의 특징이 다르게 나타난다. 즉 북경시와 상해시 등의 대도시는 문화서비스업의 지역화가 더욱 강하게 나타난다. 영업수입의 LQ 분석결과는 종사자 수의 LQ 분석결과와 비슷하다.","PeriodicalId":117855,"journal":{"name":"China and Sinology","volume":"2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6-09-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172761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6-09-01DOI: 10.17935/Chinan.2016.29..83
嵇友军, Hyukku Lee
본 논문은 중국 북위시기의 균전제를 분석 대상으로 신제도주의 경제학의 제도변천 이론을 적용하여 균전제의 생성 및 쇠퇴를 분석하였으며, 균전제의 제도변천 속에서 현재 시행되고 있는 중국의 농촌 토지제도 개혁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문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먼저, 균전제의 변천 방식을 볼 때 균전제의 변천은 단일한 것이 아니라, 유도적 제도변천과 강제적 제도변천의 결과물이란 점이다. 또한 균전제가 이룬 제도적 균형에서 볼 때, 제도적 안배는 제도 자체의 규칙 속에서 각각의 경제주체의 이익이 일치될 수 있는 가를 고려해야 하며, 동시에 서로 다른 제도와의 상호 관계에 대해 고려해야 한다. 현재 중국 농촌의 토지제도 개혁은 역사적으로 중요한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토지 공유제 특징을 고수하면서 경지를 확보하고, 농민의 이익이 침해되지 않는 조건하에 서로 다른 이익 주체 간 새로운 균형을 이루는 것이 개혁 성패의 관건이라고 할 수 있다.
{"title":"중국 고대 토지제도 “균전제”의 제도변천 :신제도주의 경제학 관점을 중심으로","authors":"嵇友军, Hyukku Lee","doi":"10.17935/Chinan.2016.29..83","DOIUrl":"https://doi.org/10.17935/Chinan.2016.29..83","url":null,"abstract":"본 논문은 중국 북위시기의 균전제를 분석 대상으로 신제도주의 경제학의 제도변천 이론을 적용하여 균전제의 생성 및 쇠퇴를 분석하였으며, 균전제의 제도변천 속에서 현재 시행되고 있는 중국의 농촌 토지제도 개혁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문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먼저, 균전제의 변천 방식을 볼 때 균전제의 변천은 단일한 것이 아니라, 유도적 제도변천과 강제적 제도변천의 결과물이란 점이다. 또한 균전제가 이룬 제도적 균형에서 볼 때, 제도적 안배는 제도 자체의 규칙 속에서 각각의 경제주체의 이익이 일치될 수 있는 가를 고려해야 하며, 동시에 서로 다른 제도와의 상호 관계에 대해 고려해야 한다. 현재 중국 농촌의 토지제도 개혁은 역사적으로 중요한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토지 공유제 특징을 고수하면서 경지를 확보하고, 농민의 이익이 침해되지 않는 조건하에 서로 다른 이익 주체 간 새로운 균형을 이루는 것이 개혁 성패의 관건이라고 할 수 있다.","PeriodicalId":117855,"journal":{"name":"China and Sinology","volume":"10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6-09-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500123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6-09-01DOI: 10.17935/Chinan.2016.29..103
Jongcook Byun, 정예
{"title":"The Announcement Effect of Public Placement of SEO on Stock Prices in China","authors":"Jongcook Byun, 정예","doi":"10.17935/Chinan.2016.29..103","DOIUrl":"https://doi.org/10.17935/Chinan.2016.29..103","url":null,"abstract":"","PeriodicalId":117855,"journal":{"name":"China and Sinology","volume":"10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6-09-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678364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