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 Date : 2017-01-28DOI: 10.5392/JKCA.2017.17.01.387
B. Young
{"title":"The Understanding of a Social Enterprise from the Christian Perspective: Focused on a Missional Church","authors":"B. Young","doi":"10.5392/JKCA.2017.17.01.387","DOIUrl":"https://doi.org/10.5392/JKCA.2017.17.01.387","url":null,"abstract":"","PeriodicalId":120903,"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volume":"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1-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416938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7-01-28DOI: 10.5392/JKCA.2017.17.01.025
S. Kang, H. Chon
본 연구는 비 원어민 화자의 영어발화시 나타나는 백채널 토큰 uh, um(uhm), and and hm 의 현상과 기능에 대하여 분석하고 가능성 있는 학습 전략의 현상으로 제안하였다. 특히 기존의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백채널 토큰 연구에 대한 결과들을 고찰하고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들과 비교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의 결과들을 토대로 전통적인 담화 분석 기법을 응용하여 채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모국어 발화에서 나타나는 토픽 마커 ‘은’(-un), 과 ‘는’(-nun) 이 초급과 중급 수준 영어 화자의 발화에서도 전이되어 나타났고 제2외국어에서 백채널 토큰 은 오직 명사 앞에서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모국어로 회귀하여 번역될 때에도 ‘은’(-un), 과 ‘는’(-nun)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을 위하여 백채널 토큰 분석결과를 토대로 가능한 학습 전략을 논의하였다. 궁극적으로 백채널 토큰에 대한 향후 연구가 더 진행되어 백채널 토큰 현상이 영어 학습자에게 방해 요인이 아닌 영어 능력 향상 과정에서 나타나는 긍정적인 요인으로 이해되어지기를 제안한다.
{"title":"Investigating the Function of Backchannel Tokens, uh, um(uhm), and and hm as a Positive Influence in Second Language Learning","authors":"S. Kang, H. Chon","doi":"10.5392/JKCA.2017.17.01.025","DOIUrl":"https://doi.org/10.5392/JKCA.2017.17.01.025","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비 원어민 화자의 영어발화시 나타나는 백채널 토큰 uh, um(uhm), and and hm 의 현상과 기능에 대하여 분석하고 가능성 있는 학습 전략의 현상으로 제안하였다. 특히 기존의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백채널 토큰 연구에 대한 결과들을 고찰하고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들과 비교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의 결과들을 토대로 전통적인 담화 분석 기법을 응용하여 채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모국어 발화에서 나타나는 토픽 마커 ‘은’(-un), 과 ‘는’(-nun) 이 초급과 중급 수준 영어 화자의 발화에서도 전이되어 나타났고 제2외국어에서 백채널 토큰 은 오직 명사 앞에서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모국어로 회귀하여 번역될 때에도 ‘은’(-un), 과 ‘는’(-nun)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을 위하여 백채널 토큰 분석결과를 토대로 가능한 학습 전략을 논의하였다. 궁극적으로 백채널 토큰에 대한 향후 연구가 더 진행되어 백채널 토큰 현상이 영어 학습자에게 방해 요인이 아닌 영어 능력 향상 과정에서 나타나는 긍정적인 요인으로 이해되어지기를 제안한다.","PeriodicalId":120903,"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volume":"1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1-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128815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7-01-28DOI: 10.5392/JKCA.2017.17.01.550
Donghee Don Shin, Hoyoun Cho
최근 헬스케어 산업의 증가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건강 관련 모니터링 기술의 발전은 자신의 행동을 측정하고 계량화하는 자아정량화 운동의 부흥을 촉진시키고 있다. 퍼스널 헬스케어를 통해 사용자들은 자신의 건강관련 행동을 정량적으로 인지하고 건강관련 인식을 향상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건강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을 찾고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어플리케이션에서 피드백 유형(feedback type)의 비교반응과 정보 제공형태(presentation mode)의 심리적 효과에 대한 실험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위해 피험자들의 건강 자가보존 성향을 측정하였다. 실험연구 결과, 비교조건과 텍스트 조건에서 사용자의 개인정량화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피험자의 건강관련 자가 인지에 따라 건강 자가보존 성향 역시 증가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 분석은 사용자의 건강관련 행동 변화 유도의 관점에서 건강정보학 분야 연구의 사용자 행동유도성에 관한 학술적 방법론에 기여할 수 있으며 개인정보학 어플리케이션 설계 및 개발에 의미있는 기여를 할 수 있다. 또한 연구결과는 향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지속적인 사용을 위한 요인 분석과 개인 트래킹 데이터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건강관리 등 헬스케어 산업에 새로운 통찰을 제공할 것이다.
{"title":"Explicating Personal Health Informatics Experience","authors":"Donghee Don Shin, Hoyoun Cho","doi":"10.5392/JKCA.2017.17.01.550","DOIUrl":"https://doi.org/10.5392/JKCA.2017.17.01.550","url":null,"abstract":"최근 헬스케어 산업의 증가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건강 관련 모니터링 기술의 발전은 자신의 행동을 측정하고 계량화하는 자아정량화 운동의 부흥을 촉진시키고 있다. 퍼스널 헬스케어를 통해 사용자들은 자신의 건강관련 행동을 정량적으로 인지하고 건강관련 인식을 향상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건강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을 찾고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어플리케이션에서 피드백 유형(feedback type)의 비교반응과 정보 제공형태(presentation mode)의 심리적 효과에 대한 실험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위해 피험자들의 건강 자가보존 성향을 측정하였다. 실험연구 결과, 비교조건과 텍스트 조건에서 사용자의 개인정량화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피험자의 건강관련 자가 인지에 따라 건강 자가보존 성향 역시 증가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 분석은 사용자의 건강관련 행동 변화 유도의 관점에서 건강정보학 분야 연구의 사용자 행동유도성에 관한 학술적 방법론에 기여할 수 있으며 개인정보학 어플리케이션 설계 및 개발에 의미있는 기여를 할 수 있다. 또한 연구결과는 향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지속적인 사용을 위한 요인 분석과 개인 트래킹 데이터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건강관리 등 헬스케어 산업에 새로운 통찰을 제공할 것이다.","PeriodicalId":120903,"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volume":"44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1-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173633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7-01-28DOI: 10.5392/JKCA.2017.17.01.137
Y. Yun, S. Chien
Face detection is still a challenging task under severe face pose variations in complex background. This paper proposes an effective algorithm which can detect single or multiple faces based on skin color detection and depth information. We introduce Gaussian mixture model(GMM) for skin color detection in a color image. The depth information is from three dimensional depth sensor of Kinect V2 device, and is useful in segmenting a human body from the background. Then, a labeling process successfully removes non-face region using several featur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face detection algorithm can provide robust detection performance even under variable conditions and complex background.
{"title":"Face Detection Algorithm using Kinect-based Skin Color and Depth Information for Multiple Faces Detection","authors":"Y. Yun, S. Chien","doi":"10.5392/JKCA.2017.17.01.137","DOIUrl":"https://doi.org/10.5392/JKCA.2017.17.01.137","url":null,"abstract":"Face detection is still a challenging task under severe face pose variations in complex background. This paper proposes an effective algorithm which can detect single or multiple faces based on skin color detection and depth information. We introduce Gaussian mixture model(GMM) for skin color detection in a color image. The depth information is from three dimensional depth sensor of Kinect V2 device, and is useful in segmenting a human body from the background. Then, a labeling process successfully removes non-face region using several featur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face detection algorithm can provide robust detection performance even under variable conditions and complex background.","PeriodicalId":120903,"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volume":"2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1-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958107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7-01-28DOI: 10.5392/JKCA.2017.17.01.222
Min A Joo, H. Park
본 연구는 국악장단을 이용한 음악치료가 치매노인의 상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 다. 연구 참여자는 B시에 소재하는 요양원의 장기요양보호 적용을 받고 있는 만 65세 이상의 치매진단 환 자 13명이며, 상지기능평가(MFT), 일상생활동작, 인지기능검사(관리기능)에 대해 음악치료 전.후의 점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악장단의 청각적 자극은 치매노인의 상지기능 향상에 유의한 변화를 가져 왔으며, 일상생활은 물론 치매평가의 관리기능까지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임상현장에 서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국악장단을 활용한 음악중재의 타당성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으며, 또한 치매노인을 위한 음악치료프로그램의 개발 시 국악장단이 이들의 신체기능 뿐만 아니라 인지기능에 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itle":"Effect of Music Therapy Using Korean Traditional Rhythmic Modes o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of Elderly People with Dementia","authors":"Min A Joo, H. Park","doi":"10.5392/JKCA.2017.17.01.222","DOIUrl":"https://doi.org/10.5392/JKCA.2017.17.01.222","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국악장단을 이용한 음악치료가 치매노인의 상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 다. 연구 참여자는 B시에 소재하는 요양원의 장기요양보호 적용을 받고 있는 만 65세 이상의 치매진단 환 자 13명이며, 상지기능평가(MFT), 일상생활동작, 인지기능검사(관리기능)에 대해 음악치료 전.후의 점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악장단의 청각적 자극은 치매노인의 상지기능 향상에 유의한 변화를 가져 왔으며, 일상생활은 물론 치매평가의 관리기능까지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임상현장에 서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국악장단을 활용한 음악중재의 타당성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으며, 또한 치매노인을 위한 음악치료프로그램의 개발 시 국악장단이 이들의 신체기능 뿐만 아니라 인지기능에 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PeriodicalId":120903,"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volume":"10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1-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635445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7-01-28DOI: 10.5392/JKCA.2017.17.01.485
이지윤, KimYoungjoo
{"title":"Analytic Review of Research Trends on Recycling of Construction Wastes: 1995-2016","authors":"이지윤, KimYoungjoo","doi":"10.5392/JKCA.2017.17.01.485","DOIUrl":"https://doi.org/10.5392/JKCA.2017.17.01.485","url":null,"abstract":"","PeriodicalId":120903,"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volume":"13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1-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194343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7-01-28DOI: 10.5392/JKCA.2017.17.01.001
H. Jang, G. Noh
{"title":"The Effect of Health Consciousness and Playfulness on Intention to Use Tangible Fitness Game: Extended TAM","authors":"H. Jang, G. Noh","doi":"10.5392/JKCA.2017.17.01.001","DOIUrl":"https://doi.org/10.5392/JKCA.2017.17.01.001","url":null,"abstract":"","PeriodicalId":120903,"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volume":"1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1-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248559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7-01-28DOI: 10.5392/JKCA.2017.17.01.728
Jeongmoon Kim
이 연구는 노인계층의 재정적 자립과 지속적 사회생활을 통해 그들이 주체적 삶을 살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직업능력개발이 필요하다고 보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직업능력개발 평생교육프로그램의 지향 방향 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시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직업능력개발 평생교육프로그램 과 일자리 간 연계가, 노인들이 안정적인 일자확보와 더불어 고령화로 인한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해 중요 하게 확인되어야 할 것으로 보고, 이에 대한 탐색을 통해 향후 프로그램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의 일자리 기회가 비숙련직 중심으로 열려있으므로 표준화된 정규 편성된 프로그램과 연계 되지 못하였고, 이는 프로그램의 전문성 및 지속성의 부족으로 인한 고용불안으로 이어졌다. 또한 노년층의 직업능력개발이 경제활동 목적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는 것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부족하여, 직업능력개발 관련 프로그램들이 취업과 직접 연계되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노인의 신체적 사회적 문제 를 공감할 수 있는 기회를 줄 연계프로그램을 확대하고, 노인직업능력개발을 위한 프로그램을 확대 및 표준 화하여 프로그램의 전문성 및 지속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를 통해 노인의 고용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직업능력개발 평생교육프로그램을 관리·지원하여 교육기관과 일자리 간 연계가 이뤄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title":"Exploring Development Directions of Lifelong Educational Program for Cultivating Vocational Competence of Older Adult","authors":"Jeongmoon Kim","doi":"10.5392/JKCA.2017.17.01.728","DOIUrl":"https://doi.org/10.5392/JKCA.2017.17.01.728","url":null,"abstract":"이 연구는 노인계층의 재정적 자립과 지속적 사회생활을 통해 그들이 주체적 삶을 살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직업능력개발이 필요하다고 보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직업능력개발 평생교육프로그램의 지향 방향 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시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노인계층의 직업능력개발 평생교육프로그램 과 일자리 간 연계가, 노인들이 안정적인 일자확보와 더불어 고령화로 인한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해 중요 하게 확인되어야 할 것으로 보고, 이에 대한 탐색을 통해 향후 프로그램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의 일자리 기회가 비숙련직 중심으로 열려있으므로 표준화된 정규 편성된 프로그램과 연계 되지 못하였고, 이는 프로그램의 전문성 및 지속성의 부족으로 인한 고용불안으로 이어졌다. 또한 노년층의 직업능력개발이 경제활동 목적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는 것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부족하여, 직업능력개발 관련 프로그램들이 취업과 직접 연계되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노인의 신체적 사회적 문제 를 공감할 수 있는 기회를 줄 연계프로그램을 확대하고, 노인직업능력개발을 위한 프로그램을 확대 및 표준 화하여 프로그램의 전문성 및 지속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를 통해 노인의 고용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직업능력개발 평생교육프로그램을 관리·지원하여 교육기관과 일자리 간 연계가 이뤄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PeriodicalId":120903,"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volume":"7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1-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410676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7-01-28DOI: 10.5392/JKCA.2017.17.01.166
Eun-ju Park, Hyung-Mi Chun
{"title":"A Qualitative Study of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the Reemployment Process :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Career-interrupted Women and Recruiters","authors":"Eun-ju Park, Hyung-Mi Chun","doi":"10.5392/JKCA.2017.17.01.166","DOIUrl":"https://doi.org/10.5392/JKCA.2017.17.01.166","url":null,"abstract":"","PeriodicalId":120903,"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volume":"1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1-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493173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7-01-01DOI: 10.5392/JKCA.2017.17.02.198
Lim You-Ji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competence of health care(PCHC) and quality of life among middle-aged adults.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from 412 middle-aged parents of university stud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CHC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 family support, monthly income, exercise over 3times a week, subjective health status. However, religion and drinking made a differece only in PCHC on the other hand, sex and disease affected quality of life. All subdomains of PCHC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quality of life. Factors predicting quality of life among subdomains of PCHC were health perception, sociocultural relationship and socioeconomical involvement, which explained about 50.3%. These results indicate a need to develop programs to improve health perception, sociocultural and socioeconomical competence for middle-aged adults. ■ keyword :∣Personal Competence of Health Care∣Quality of Life∣Middle-Aged Adult∣Adult ∣ * 이 논문은 2015년도 광주보건대학교 교내연구비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3015020 ) 접수일자 : 2016년 12월 09일 수정일자 : 2017년 01월 03일 심사완료일 : 2017년 01월 20일 교신저자 : 임유진, e-mail : yjlim@ghu.ac.kr 중년기 성인의 건강관리역량과 삶의 질의 관계 199
{"title":"Correlation between Personal Competence of Health Care and Quality of Life among Middle-Aged Adults","authors":"Lim You-Jin","doi":"10.5392/JKCA.2017.17.02.198","DOIUrl":"https://doi.org/10.5392/JKCA.2017.17.02.198","url":null,"abstract":"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competence of health care(PCHC) and quality of life among middle-aged adults.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from 412 middle-aged parents of university stud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CHC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 family support, monthly income, exercise over 3times a week, subjective health status. However, religion and drinking made a differece only in PCHC on the other hand, sex and disease affected quality of life. All subdomains of PCHC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quality of life. Factors predicting quality of life among subdomains of PCHC were health perception, sociocultural relationship and socioeconomical involvement, which explained about 50.3%. These results indicate a need to develop programs to improve health perception, sociocultural and socioeconomical competence for middle-aged adults. ■ keyword :∣Personal Competence of Health Care∣Quality of Life∣Middle-Aged Adult∣Adult ∣ * 이 논문은 2015년도 광주보건대학교 교내연구비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3015020 ) 접수일자 : 2016년 12월 09일 수정일자 : 2017년 01월 03일 심사완료일 : 2017년 01월 20일 교신저자 : 임유진, e-mail : yjlim@ghu.ac.kr 중년기 성인의 건강관리역량과 삶의 질의 관계 199","PeriodicalId":120903,"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volume":"2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534417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