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 Date : 2017-01-28DOI: 10.5392/JKCA.2017.17.01.183
Keun-young Yang
{"title":"A Study on Preference of Smoking Booth Design","authors":"Keun-young Yang","doi":"10.5392/JKCA.2017.17.01.183","DOIUrl":"https://doi.org/10.5392/JKCA.2017.17.01.183","url":null,"abstract":"","PeriodicalId":120903,"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volume":"3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1-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221898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7-01-28DOI: 10.5392/JKCA.2017.17.01.363
J. Kim, S. Yong, Ki-Dong Ryou, Young-Mok Sung
본 연구에서는 리더-구성원간 교환관계(LMX)의 질과 구성원들의 창의성 및 업무성과 간의 영향 관계에 있어서 정보공유와 직무몰입이 어떠한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중심으로 경로모형을 탐색해 보았다. 선행연구 들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리더-구성원간 교환관계의 질이 다양한 변수들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이론적 논의를 기초로 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실증분석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리 더-구성원간 교환관계의 질은 정보공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정보공유는 구성원들의 직무몰입, 창 의성 그리고 업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공유는 리더-구성원간 교환관계의 질과 직무몰입, 창의성 및 업무성과 간의 영향관계에서 중요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몰 입 역시 정보공유와 창의성간의 관계 그리고 정보공유와 업무성과간의 관계에서 중요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리더-구성원간 교환관계의 질이 창의성과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관 계에서 정보공유와 직무몰입이 중요한 매개변수로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title":"The Impact of Leader-Member Exchange(LMX) on Employees' Creativity, and Task Performa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Information Sharing and Job Involvement","authors":"J. Kim, S. Yong, Ki-Dong Ryou, Young-Mok Sung","doi":"10.5392/JKCA.2017.17.01.363","DOIUrl":"https://doi.org/10.5392/JKCA.2017.17.01.363","url":null,"abstract":"본 연구에서는 리더-구성원간 교환관계(LMX)의 질과 구성원들의 창의성 및 업무성과 간의 영향 관계에 있어서 정보공유와 직무몰입이 어떠한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중심으로 경로모형을 탐색해 보았다. 선행연구 들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리더-구성원간 교환관계의 질이 다양한 변수들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이론적 논의를 기초로 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실증분석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리 더-구성원간 교환관계의 질은 정보공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정보공유는 구성원들의 직무몰입, 창 의성 그리고 업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공유는 리더-구성원간 교환관계의 질과 직무몰입, 창의성 및 업무성과 간의 영향관계에서 중요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몰 입 역시 정보공유와 창의성간의 관계 그리고 정보공유와 업무성과간의 관계에서 중요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리더-구성원간 교환관계의 질이 창의성과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관 계에서 정보공유와 직무몰입이 중요한 매개변수로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PeriodicalId":120903,"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volume":"5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1-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444460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7-01-28DOI: 10.5392/JKCA.2017.17.01.270
Ohkyun Kwon, Hyunyoung Kim, Bomyeong Kim, Jiin Lee, Taehoon Ha, Inseong Lee, Jinwoo Kim
{"title":"Meaning of Waiting Experience and Principles of Service Design","authors":"Ohkyun Kwon, Hyunyoung Kim, Bomyeong Kim, Jiin Lee, Taehoon Ha, Inseong Lee, Jinwoo Kim","doi":"10.5392/JKCA.2017.17.01.270","DOIUrl":"https://doi.org/10.5392/JKCA.2017.17.01.270","url":null,"abstract":"","PeriodicalId":120903,"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volume":"1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1-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612924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7-01-28DOI: 10.5392/JKCA.2017.17.01.378
yun hyun, Lee Geon Woo, Gowoon Seong, G. Kim
본 연구는 대한민국 20세 이상 성인(n=4,948)에서 대사증후군과 비타민 D 및 뇨 중 미세알부민 (microalbumin, MA)의 관련성을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비타민 D의 수준(비타민 D 결핍, 비타민 D 불충분, 비타민 D 충분)에 따른 뇨 중 미세알부민에서, 비 대사증후군에서는 연령, 성별, 흡연습관, 음주 습관, 운동습관, 허리둘레, 체질량지수,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 콜레스테롤, 혈당 및 신사구체 여과 율 등을 보정한 후에 비타민 D의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뇨 중 미세알부민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 (p<0.001), 대사증후군에서는 관련변수를 보정한 후의 결과에서 비타민 D의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뇨 중 미세알부민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892). 결론적으로, 비 대사증후군에서는 비타민 D의 수준이 증가 함에 따라 뇨 중 미세알부민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 대사증후군에서는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title":"The Association of Metabolic Syndrome and Vitamin D and Urine Microalbumin in Korean Adults","authors":"yun hyun, Lee Geon Woo, Gowoon Seong, G. Kim","doi":"10.5392/JKCA.2017.17.01.378","DOIUrl":"https://doi.org/10.5392/JKCA.2017.17.01.378","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대한민국 20세 이상 성인(n=4,948)에서 대사증후군과 비타민 D 및 뇨 중 미세알부민 (microalbumin, MA)의 관련성을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비타민 D의 수준(비타민 D 결핍, 비타민 D 불충분, 비타민 D 충분)에 따른 뇨 중 미세알부민에서, 비 대사증후군에서는 연령, 성별, 흡연습관, 음주 습관, 운동습관, 허리둘레, 체질량지수,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 콜레스테롤, 혈당 및 신사구체 여과 율 등을 보정한 후에 비타민 D의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뇨 중 미세알부민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 (p<0.001), 대사증후군에서는 관련변수를 보정한 후의 결과에서 비타민 D의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뇨 중 미세알부민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892). 결론적으로, 비 대사증후군에서는 비타민 D의 수준이 증가 함에 따라 뇨 중 미세알부민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 대사증후군에서는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PeriodicalId":120903,"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volume":"3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1-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711643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7-01-28DOI: 10.5392/JKCA.2017.17.01.522
Min-Seong Kim
국내에서 발생하는 배우자 폭력은 심각한 수준이다. 이러한 배우자에 의한 폭력은 피해자에게 신체적, 정 신적 고통을 초래할 수 있다. 노인의 경우 배우자와의 관계가 노인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본 연구 는 성별에 따라 노년기에 발생한 배우자에 의한 폭력 피해 경험이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노인의 정신건강 향상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15년 실시된 한국 복지패널조사에 참여한 노인 중 주요변수에 응답한 2,819명이며, 각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 특성,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 및 사회적 친분관계 만족도, 배우자 폭력 피해경험 및 우울 정도를 조사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3.0을 이용하였으며, 기술통계, 독립 t-tests, x-tests, 단변량 로지스틱회귀분석 및 위계적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구학적 특성, 건강관련 특성, 자녀와의 관계 및 사회적 친분관계 만족도를 통제한 상태에서 남성노인과 여성노인 모두 배우자에 의한 폭력 경험은 우울에 유의하 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여성 노인뿐만 아니라 남성노인을 포함하여 배우자 폭력 예방과 정신건강 향상을 위한 건강중재 계획 수립을 위한 근거가 될 것이다.
{"title":"Relationship between Partner Violence and Depression by Gender in the Elderly: Based on 2015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authors":"Min-Seong Kim","doi":"10.5392/JKCA.2017.17.01.522","DOIUrl":"https://doi.org/10.5392/JKCA.2017.17.01.522","url":null,"abstract":"국내에서 발생하는 배우자 폭력은 심각한 수준이다. 이러한 배우자에 의한 폭력은 피해자에게 신체적, 정 신적 고통을 초래할 수 있다. 노인의 경우 배우자와의 관계가 노인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본 연구 는 성별에 따라 노년기에 발생한 배우자에 의한 폭력 피해 경험이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노인의 정신건강 향상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15년 실시된 한국 복지패널조사에 참여한 노인 중 주요변수에 응답한 2,819명이며, 각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 특성,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 및 사회적 친분관계 만족도, 배우자 폭력 피해경험 및 우울 정도를 조사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3.0을 이용하였으며, 기술통계, 독립 t-tests, x-tests, 단변량 로지스틱회귀분석 및 위계적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구학적 특성, 건강관련 특성, 자녀와의 관계 및 사회적 친분관계 만족도를 통제한 상태에서 남성노인과 여성노인 모두 배우자에 의한 폭력 경험은 우울에 유의하 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여성 노인뿐만 아니라 남성노인을 포함하여 배우자 폭력 예방과 정신건강 향상을 위한 건강중재 계획 수립을 위한 근거가 될 것이다.","PeriodicalId":120903,"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volume":"3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1-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221264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7-01-28DOI: 10.5392/JKCA.2017.17.01.012
Eun-Hee Jin, Hunhee Kim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성덕목에 대한 수업과 이와 연관된 영상 시청을 통해 인성교육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 교육프로그램은 J대학 간호학부 1학년에 재학 중인 남, 여학생 348명을 대상으로 2015년 8월 31일부터 12월 4일까지 「교육심리」 교과목 수업과 병행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이다.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연구대상자 중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KEDI 인성검사를 사전 측정하였다. 이후 인성덕목 교육프로그램을 실험군에게는 처치를 하고 대조군에게는 처치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사후 반복 측정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 및 분석은 SPSS WIN 22.0을 이용하였다. 인성덕목 교육프로그램 적 용 후 가설검정은 공변량분석(ANCOVA)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사전-사후 검사에서 인성 덕목 10개 항 목(자기존중, 성실, 배려〮〮・소통, 책임, 예의, 자기조절, 정직・용기, 지혜, 정의, 시민성)에 대해 모두 유의한 차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덕목중심의 인성교육은 영상매체를 통해 다양한 상황에서의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융합적인 교육과정 내에서 반복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때 학생들 스스로가 덕목의 가치를 깨닫고 내면화하 여 실천할 수 있는 동기와 의지를 갖는 결과를 낳는다.
{"title":"Effects of Personality Virtues Education Program Using Visual Media for College Students","authors":"Eun-Hee Jin, Hunhee Kim","doi":"10.5392/JKCA.2017.17.01.012","DOIUrl":"https://doi.org/10.5392/JKCA.2017.17.01.012","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성덕목에 대한 수업과 이와 연관된 영상 시청을 통해 인성교육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 교육프로그램은 J대학 간호학부 1학년에 재학 중인 남, 여학생 348명을 대상으로 2015년 8월 31일부터 12월 4일까지 「교육심리」 교과목 수업과 병행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이다.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연구대상자 중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KEDI 인성검사를 사전 측정하였다. 이후 인성덕목 교육프로그램을 실험군에게는 처치를 하고 대조군에게는 처치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사후 반복 측정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 및 분석은 SPSS WIN 22.0을 이용하였다. 인성덕목 교육프로그램 적 용 후 가설검정은 공변량분석(ANCOVA)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사전-사후 검사에서 인성 덕목 10개 항 목(자기존중, 성실, 배려〮〮・소통, 책임, 예의, 자기조절, 정직・용기, 지혜, 정의, 시민성)에 대해 모두 유의한 차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덕목중심의 인성교육은 영상매체를 통해 다양한 상황에서의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융합적인 교육과정 내에서 반복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때 학생들 스스로가 덕목의 가치를 깨닫고 내면화하 여 실천할 수 있는 동기와 의지를 갖는 결과를 낳는다.","PeriodicalId":120903,"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volume":"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1-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235353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7-01-28DOI: 10.5392/JKCA.2017.17.01.287
Taesu Lee, Yeon-Pyo Kim
이 연구는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기능성 언어게임을 개발하고, 지적장애 학생의 교수학습 활동에서 기능 성 언어 게임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주요한 목적이 있었다. 이에 게임에서 사용할 어휘를 장애학생을 위한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 국어과를 분석하여 추출하였고, 특수교사와 특수교육과 교수, 특수교육 전문가 들의 중요도와 난이도에 대한 평가에 기초하여 기능성 언어훈련 게임을 구성하였다. 개발된 게임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특수학교와 일반학교 특수학급에 재직하고 있는 특수교사 45명과 지적장애 학생 31명을 대상으로 사용자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특수교사는 5점 만점에 4.25점을 나타내었고, 지적장 애 학생은 4.33점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특수교사와 지적장애 학생 모두 이번에 개발된 기능성 언어 게임이 교수학습 활동에 사용 가능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학교급 및 교육적 배치에 따른 사용자 평가 결 과에 대한 집단 비교를 실시한 결과, 특수교사와 지적장애 학생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므로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서 근무하는 특수교사와 재학하고 있는 지적장애 학생 모두 기능성 언어 게임에 대한 사용자 평가가 고르게 나타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itle":"Developing and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Serious Language Training Game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authors":"Taesu Lee, Yeon-Pyo Kim","doi":"10.5392/JKCA.2017.17.01.287","DOIUrl":"https://doi.org/10.5392/JKCA.2017.17.01.287","url":null,"abstract":"이 연구는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기능성 언어게임을 개발하고, 지적장애 학생의 교수학습 활동에서 기능 성 언어 게임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주요한 목적이 있었다. 이에 게임에서 사용할 어휘를 장애학생을 위한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 국어과를 분석하여 추출하였고, 특수교사와 특수교육과 교수, 특수교육 전문가 들의 중요도와 난이도에 대한 평가에 기초하여 기능성 언어훈련 게임을 구성하였다. 개발된 게임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특수학교와 일반학교 특수학급에 재직하고 있는 특수교사 45명과 지적장애 학생 31명을 대상으로 사용자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특수교사는 5점 만점에 4.25점을 나타내었고, 지적장 애 학생은 4.33점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특수교사와 지적장애 학생 모두 이번에 개발된 기능성 언어 게임이 교수학습 활동에 사용 가능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학교급 및 교육적 배치에 따른 사용자 평가 결 과에 대한 집단 비교를 실시한 결과, 특수교사와 지적장애 학생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므로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서 근무하는 특수교사와 재학하고 있는 지적장애 학생 모두 기능성 언어 게임에 대한 사용자 평가가 고르게 나타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PeriodicalId":120903,"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volume":"1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1-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906491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7-01-28DOI: 10.5392/JKCA.2017.17.01.701
Ji-Woon Woo, Seon-Gi Baek
{"title":"The Discourse Research on Pop Culture Text through SNS - Focused on the Difference in Aesthetic Interpretation of IU’s Song","authors":"Ji-Woon Woo, Seon-Gi Baek","doi":"10.5392/JKCA.2017.17.01.701","DOIUrl":"https://doi.org/10.5392/JKCA.2017.17.01.701","url":null,"abstract":"","PeriodicalId":120903,"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volume":"3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1-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541893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7-01-28DOI: 10.5392/JKCA.2017.17.01.337
Minjeong Kang, Juhyun Eune
인터랙션과 네트워크가 가능한 디지털사이니지가 공공장소에 많이 설치가 되면서 이러한 플랫폼에 적합 한 콘텐츠에 대한 연구가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철에 설치된 디지털사이니지에서 시민들의 소통 에 적합한 콘텐츠의 유형과 인터랙션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사례연구, 설문조사,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사례연구에서는 기존에 공공장소에서 소통되는 콘텐츠 유형과 참여방식을 분 석해 보았다. 이를 토대로 설문조사를 하여 서울시 지하철에 설치된 디지털사이니지에서 소통하기 원하는 콘텐츠의 유형과 인터랙션 방향을 밝히고 심층 인터뷰를 통해 연구 결과를 보완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지 하철역에 설치된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소통하기 원하는 콘텐츠의 유형은 연령대 별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 다. 우선 20대는 주로 개인적인 글, 40대는 주로 공공의 주제, 그리고 30대는 앞의 두 연령대에서 선호하 는 콘텐츠 유형들을 모두 소통하기 원하였다. 소통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읽기/쓰기 모드에 따라 나눠서 질문한 결과 두 가지 모드에서 선호하는 콘텐츠 유형은 대체로 유사했지만 일상적인 글 또는 소원과 같은 개인 관련된 글은 읽기에서는 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감표현을 위한 인터랙션을 조사 한 결과 시민들은 댓글 보다는 아이콘을 터치하여 표현 하고자 하였고 스마트폰 보다는 스크린에서 직접 터치하는 것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소통 플랫폼에 저장된 데이터는 지역, 나이, 주제에 따라 분석이 되어 시민들의 생각을 파악하는데 활용될 수 있으리라본다.
{"title":"Content Types and Interactions Suitable for Digital Signage at Seoul Subway Stations as a Communication Platform for Citizens","authors":"Minjeong Kang, Juhyun Eune","doi":"10.5392/JKCA.2017.17.01.337","DOIUrl":"https://doi.org/10.5392/JKCA.2017.17.01.337","url":null,"abstract":"인터랙션과 네트워크가 가능한 디지털사이니지가 공공장소에 많이 설치가 되면서 이러한 플랫폼에 적합 한 콘텐츠에 대한 연구가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철에 설치된 디지털사이니지에서 시민들의 소통 에 적합한 콘텐츠의 유형과 인터랙션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사례연구, 설문조사,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사례연구에서는 기존에 공공장소에서 소통되는 콘텐츠 유형과 참여방식을 분 석해 보았다. 이를 토대로 설문조사를 하여 서울시 지하철에 설치된 디지털사이니지에서 소통하기 원하는 콘텐츠의 유형과 인터랙션 방향을 밝히고 심층 인터뷰를 통해 연구 결과를 보완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지 하철역에 설치된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소통하기 원하는 콘텐츠의 유형은 연령대 별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 다. 우선 20대는 주로 개인적인 글, 40대는 주로 공공의 주제, 그리고 30대는 앞의 두 연령대에서 선호하 는 콘텐츠 유형들을 모두 소통하기 원하였다. 소통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읽기/쓰기 모드에 따라 나눠서 질문한 결과 두 가지 모드에서 선호하는 콘텐츠 유형은 대체로 유사했지만 일상적인 글 또는 소원과 같은 개인 관련된 글은 읽기에서는 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감표현을 위한 인터랙션을 조사 한 결과 시민들은 댓글 보다는 아이콘을 터치하여 표현 하고자 하였고 스마트폰 보다는 스크린에서 직접 터치하는 것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소통 플랫폼에 저장된 데이터는 지역, 나이, 주제에 따라 분석이 되어 시민들의 생각을 파악하는데 활용될 수 있으리라본다.","PeriodicalId":120903,"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volume":"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01-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440230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