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 Date : 2016-12-28DOI: 10.5392/JKCA.2016.16.12.027
Yu-mi Kim
사실성을 미적 특성으로 하는 컴퓨터 그래픽스의 활용은 디지털 애니메이션에 있어서도 이미지와 움직임 묘사의 사실성을 강화하였다. 그러나 디지털 애니메이션의 사실성은 실제를 있는 그대로 모사하지 않고 변 형을 통한 물리적 제한의 극복과 상상의 실현이라는 애니메이션의 전통적 미적 의의를 계승하고 있다. 즉, 이처럼 강화되는 사실성 사이에 간헐적으로 삽입되는 카툰적 과장은 현실과 상상의 교차라는 대조와 충돌 을 이루어 변증법적 합(合)으로 유희를 창출하게 된다. 즉, 디지털 애니메이션에서 사실적인 표현들과 충돌 하는 비합리적 카툰적 변형들의 충돌과 대치로 서로를 보강한다. 사실적인 표현으로 관객이 실제를 마주하 듯 몰입하게 하다가도 어느 순간 물리적 제약을 극복하는 행위들은 상상의 실현 내지 정신적 해방감을 준 다. 결국 사실적 표현은 현실로써 전제가 되며 카툰적 변형은 그러한 제약을 극복하는 것이 되어 관객에게 유희로 작용한다.
{"title":"The Characteristics of Directing in Digital Animation : Combination of Reality and Exaggeration","authors":"Yu-mi Kim","doi":"10.5392/JKCA.2016.16.12.027","DOIUrl":"https://doi.org/10.5392/JKCA.2016.16.12.027","url":null,"abstract":"사실성을 미적 특성으로 하는 컴퓨터 그래픽스의 활용은 디지털 애니메이션에 있어서도 이미지와 움직임 묘사의 사실성을 강화하였다. 그러나 디지털 애니메이션의 사실성은 실제를 있는 그대로 모사하지 않고 변 형을 통한 물리적 제한의 극복과 상상의 실현이라는 애니메이션의 전통적 미적 의의를 계승하고 있다. 즉, 이처럼 강화되는 사실성 사이에 간헐적으로 삽입되는 카툰적 과장은 현실과 상상의 교차라는 대조와 충돌 을 이루어 변증법적 합(合)으로 유희를 창출하게 된다. 즉, 디지털 애니메이션에서 사실적인 표현들과 충돌 하는 비합리적 카툰적 변형들의 충돌과 대치로 서로를 보강한다. 사실적인 표현으로 관객이 실제를 마주하 듯 몰입하게 하다가도 어느 순간 물리적 제약을 극복하는 행위들은 상상의 실현 내지 정신적 해방감을 준 다. 결국 사실적 표현은 현실로써 전제가 되며 카툰적 변형은 그러한 제약을 극복하는 것이 되어 관객에게 유희로 작용한다.","PeriodicalId":120903,"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volume":"1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6-12-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673408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6-12-28DOI: 10.5392/JKCA.2016.16.12.551
Yunjeong Park, Seohee Lee, Jinsu Han, Yeonwoo Noh, Jongtae Lim, Yeonwoo Kim, Kyongsoo Bok, Jaesoo Yoo
A user influence discrimination scheme using big data from social networks is needed. In this thesis, we propose a user influence discrimination scheme considering reliability in social networks. The proposed scheme measures reliability scores through social activities and simplifies a social network by collecting only reliable users. It also derives user influence by considering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that depends on network degree between users. As a result, the proposed scheme improves the expandability of the user influence. In order to show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scheme, we compare it with the existing scheme through performance evaluations in terms of reliability and user influence.
{"title":"User Influence Discrimination Scheme Using Activity Analysis in Social Networks","authors":"Yunjeong Park, Seohee Lee, Jinsu Han, Yeonwoo Noh, Jongtae Lim, Yeonwoo Kim, Kyongsoo Bok, Jaesoo Yoo","doi":"10.5392/JKCA.2016.16.12.551","DOIUrl":"https://doi.org/10.5392/JKCA.2016.16.12.551","url":null,"abstract":"A user influence discrimination scheme using big data from social networks is needed. In this thesis, we propose a user influence discrimination scheme considering reliability in social networks. The proposed scheme measures reliability scores through social activities and simplifies a social network by collecting only reliable users. It also derives user influence by considering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that depends on network degree between users. As a result, the proposed scheme improves the expandability of the user influence. In order to show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scheme, we compare it with the existing scheme through performance evaluations in terms of reliability and user influence.","PeriodicalId":120903,"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volume":"1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6-12-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875424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6-12-28DOI: 10.5392/JKCA.2016.16.12.060
Jeong-Seob Kim
{"title":"The Status, Problem and Improvement Method for Cross-ownership between Agency and Production","authors":"Jeong-Seob Kim","doi":"10.5392/JKCA.2016.16.12.060","DOIUrl":"https://doi.org/10.5392/JKCA.2016.16.12.060","url":null,"abstract":"","PeriodicalId":120903,"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volume":"26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6-12-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174809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6-12-28DOI: 10.5392/JKCA.2016.16.12.574
Sung‐Joon Lee, Hyo-Jung Lee
본 연구는 SNS에서의 다양한 형태의 사회 비교 경험들이 SNS 이용자들의 삶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NS에서의 사회 비교 경험 유형으로서 상향 대조, 상향 동일시, 하향 대조, 하향 동일시 등 4가지를 도출하여 이들 경험 유형들이 SNS 이용자의 삶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 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영향 과정에서 인구 통계학적 요인들, SNS 이용 시간, 오프라인 사회 자본 및 사회비교 지향성 등을 통제 변인으로서 고려하였으며, 사회 비교 경험들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사회비교 지향성의 조절 효과 역시 살펴보았다. 자료 수집을 위해선 온라인 설문을 이용하였고, 수집된 자 료는 위계적 회귀 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의 결과 연령과 혼인 여부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 및 관심사가 맞는 클럽/단체 활동 참여 정도가 삶의 만족도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분석 결과에 따르면 4가지 사회 비교 경험 유형 중 상향 대조와 상향 동일시만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 비교 지향성은 상향 동일시 경험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만 조절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SNS에서의 사회 비교 경험들을 이해함에 있어 기존 연구와는 다른 새로운 시각들이 필요함에 대해서도 또한 논의되었다.
{"title":"Explicating the Relationship among SNS Users' Types of Social Comparison Experience,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Life Satisfaction","authors":"Sung‐Joon Lee, Hyo-Jung Lee","doi":"10.5392/JKCA.2016.16.12.574","DOIUrl":"https://doi.org/10.5392/JKCA.2016.16.12.574","url":null,"abstract":"본 연구는 SNS에서의 다양한 형태의 사회 비교 경험들이 SNS 이용자들의 삶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NS에서의 사회 비교 경험 유형으로서 상향 대조, 상향 동일시, 하향 대조, 하향 동일시 등 4가지를 도출하여 이들 경험 유형들이 SNS 이용자의 삶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 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영향 과정에서 인구 통계학적 요인들, SNS 이용 시간, 오프라인 사회 자본 및 사회비교 지향성 등을 통제 변인으로서 고려하였으며, 사회 비교 경험들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사회비교 지향성의 조절 효과 역시 살펴보았다. 자료 수집을 위해선 온라인 설문을 이용하였고, 수집된 자 료는 위계적 회귀 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의 결과 연령과 혼인 여부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 및 관심사가 맞는 클럽/단체 활동 참여 정도가 삶의 만족도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분석 결과에 따르면 4가지 사회 비교 경험 유형 중 상향 대조와 상향 동일시만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 비교 지향성은 상향 동일시 경험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만 조절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SNS에서의 사회 비교 경험들을 이해함에 있어 기존 연구와는 다른 새로운 시각들이 필요함에 대해서도 또한 논의되었다.","PeriodicalId":120903,"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volume":"1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6-12-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099410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6-12-28DOI: 10.5392/JKCA.2016.16.12.724
Gyehyeon Lee, Min-Suk Jung
본 연구는 언론인의 은퇴 태도가 노후 준비에 미치는 영향 및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언론인 의 은퇴 태도를 강화하여 노후준비를 위한 언론인 복지 정책과 실천의 방안을 제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 대상은 광주, 전남지역 언론사에 근무하는 언론인으로 총 233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를 도출 하기 위해 SPSS 18.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변수에 대한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을 실시 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해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언론인의 은퇴태도가 노후준비와 삶의 만족 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노후준비는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언론 인의 은퇴태도가 노후준비의 매개효과를 통해 삶의 만족도가 극대화 된다고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언론인의 은퇴 태도와 노후준비를 증진 시킬 수 있는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title":"Effects of Retirement Attitudes of Journalists on Satisfaction with Life in Retirement Preparation - Focused on Gwangju, Jeonnam Area -","authors":"Gyehyeon Lee, Min-Suk Jung","doi":"10.5392/JKCA.2016.16.12.724","DOIUrl":"https://doi.org/10.5392/JKCA.2016.16.12.724","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언론인의 은퇴 태도가 노후 준비에 미치는 영향 및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언론인 의 은퇴 태도를 강화하여 노후준비를 위한 언론인 복지 정책과 실천의 방안을 제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 대상은 광주, 전남지역 언론사에 근무하는 언론인으로 총 233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를 도출 하기 위해 SPSS 18.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변수에 대한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을 실시 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해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언론인의 은퇴태도가 노후준비와 삶의 만족 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노후준비는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언론 인의 은퇴태도가 노후준비의 매개효과를 통해 삶의 만족도가 극대화 된다고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언론인의 은퇴 태도와 노후준비를 증진 시킬 수 있는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안하였다.","PeriodicalId":120903,"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volume":"2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6-12-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567277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6-12-28DOI: 10.5392/JKCA.2016.16.12.192
Soonjoo Park, Young-Hye Lee
{"title":"Effects of Perceived Health Status, Health Attitude, and Health Concern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Adults","authors":"Soonjoo Park, Young-Hye Lee","doi":"10.5392/JKCA.2016.16.12.192","DOIUrl":"https://doi.org/10.5392/JKCA.2016.16.12.192","url":null,"abstract":"","PeriodicalId":120903,"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volume":"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6-12-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456679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6-12-28DOI: 10.5392/JKCA.2016.16.12.310
S. Rhyou, Hye-Sung Park
{"title":"Effects of Team Teaching on Strategic Cultural Curriculum Contents against Freshmen - focused on case of Local University(Department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authors":"S. Rhyou, Hye-Sung Park","doi":"10.5392/JKCA.2016.16.12.310","DOIUrl":"https://doi.org/10.5392/JKCA.2016.16.12.310","url":null,"abstract":"","PeriodicalId":120903,"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volume":"1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6-12-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707732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6-12-28DOI: 10.5392/JKCA.2016.16.12.622
J. Bae
본 연구는 가족의례의 종류에 따른 주요활동과 갈등요인들을 확인하고, 가족의례가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가족건강성을 높일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성인 남녀 216명에게 설문조사하였고,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빈도분석, MANOVA,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식사의례의 주요활동은 ‘집에서 직접요리’가 가장 많았고, 갈등요인은 ‘일이 너무 바빠서’가 가장 많았다. 가족주말여가의례의 주요활동은 ‘근교나들이’, 갈등요인은 ‘가족공동의 시간을 갖기 어려워서’가 제일 많았다. 가족생일의례의 주요활동은 ‘케익 준비하기’, 갈등요인은 ‘내 생일을 가족이 잊어버려서’가 제일 많았다. 결혼기념일의례의 주요활동은 여성의 경우 ‘외식하기’, 남성의 경우 ‘꽃 이나 선물주기’, 갈등요인은 여성의 경우 ‘배우자가 결혼기념일을 잊어버려서’, 남성의 경우 ‘내가 원하는 축 하방식이 아니어서’가 제일 많았다. 명절의례의 갈등요인은 여성의 경우 ‘배우자가 나의 어려움을 이해해주 지 못하는 것 같아서’, 남성의 경우 ‘친척들과의 인간관계 문제’가 제일 많았다. 둘째, 연령에 따라 가족의례 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의례는 가족건강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itle":"The Effects of Family Rituals on Family Strengths","authors":"J. Bae","doi":"10.5392/JKCA.2016.16.12.622","DOIUrl":"https://doi.org/10.5392/JKCA.2016.16.12.622","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가족의례의 종류에 따른 주요활동과 갈등요인들을 확인하고, 가족의례가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가족건강성을 높일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성인 남녀 216명에게 설문조사하였고,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빈도분석, MANOVA,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식사의례의 주요활동은 ‘집에서 직접요리’가 가장 많았고, 갈등요인은 ‘일이 너무 바빠서’가 가장 많았다. 가족주말여가의례의 주요활동은 ‘근교나들이’, 갈등요인은 ‘가족공동의 시간을 갖기 어려워서’가 제일 많았다. 가족생일의례의 주요활동은 ‘케익 준비하기’, 갈등요인은 ‘내 생일을 가족이 잊어버려서’가 제일 많았다. 결혼기념일의례의 주요활동은 여성의 경우 ‘외식하기’, 남성의 경우 ‘꽃 이나 선물주기’, 갈등요인은 여성의 경우 ‘배우자가 결혼기념일을 잊어버려서’, 남성의 경우 ‘내가 원하는 축 하방식이 아니어서’가 제일 많았다. 명절의례의 갈등요인은 여성의 경우 ‘배우자가 나의 어려움을 이해해주 지 못하는 것 같아서’, 남성의 경우 ‘친척들과의 인간관계 문제’가 제일 많았다. 둘째, 연령에 따라 가족의례 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의례는 가족건강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eriodicalId":120903,"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volume":"7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6-12-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228363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6-12-28DOI: 10.5392/JKCA.2016.16.12.244
Y. Ju, Young-Yun Hong
{"title":"The Effect of the Cultural Service Attributes and Cultural Consumption Propensity on the Cultural Services Satisfaction : Focused on Performance and Exhibit","authors":"Y. Ju, Young-Yun Hong","doi":"10.5392/JKCA.2016.16.12.244","DOIUrl":"https://doi.org/10.5392/JKCA.2016.16.12.244","url":null,"abstract":"","PeriodicalId":120903,"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volume":"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6-12-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292624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6-12-28DOI: 10.5392/JKCA.2016.16.12.170
K. Choi, Hohyun Kim
{"title":"Study on the Factors Working Environment and Health Effects of Contingent Workers Youth","authors":"K. Choi, Hohyun Kim","doi":"10.5392/JKCA.2016.16.12.170","DOIUrl":"https://doi.org/10.5392/JKCA.2016.16.12.170","url":null,"abstract":"","PeriodicalId":120903,"journal":{"name":"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volume":"2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6-12-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431764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