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 Date : 2023-10-31DOI: 10.4334/jkci.2023.35.5.505
Keun-Hyeok Yang
이 연구의 목적은 전단벽의 등가소성힌지길이(lSUBp/SUB)에 대한 콘크리트 밀도(pSUBc/SUB)의 영향을 평가하고 합리적인 예측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전단벽의 lSUBp/SUB는 최대, 항복 및 전단에 의한 부가모멘트들의 함수로부터 산정하였는데, 이들의 산정절차를 단순화하기 위하여 변수연구를 수행하고 그 결과들을 회귀분석 하였다. 제시된 lSUBp/SUB 모델의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전단벽의 1차원 단면분할법에 의한 소성힌지 해석 기반의 하중-변위 관계, 그리고 2차원 비선형 해석에 의한 하중-변위 관계, 그리고 실험에서 얻은 결과들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더불어 제안 모델에 의해 예측된 lSUBp/SUB 값들은 기존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된 다양한 콘크리트로 제작된 전단벽의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제안한 lSUBp/SUB 모델을 적용한 소성힌지 해석에 의한 하중-변위 관계는 pSUBc/SUB와 관계없이 실험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그리고, 제안식에 의해 평가된 lSUBp/SUB값도 실험결과와 잘 일치하였는데, 실험결과와 예측값의 비들의 평균, 표준편차 및 변동계수는 각각 0.99, 0.07 및 0.07로 평가되었다.
{"title":"Effect of Concrete Density on Plastic Hinge Length of Shear Walls","authors":"Keun-Hyeok Yang","doi":"10.4334/jkci.2023.35.5.505","DOIUrl":"https://doi.org/10.4334/jkci.2023.35.5.505","url":null,"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전단벽의 등가소성힌지길이(lSUBp/SUB)에 대한 콘크리트 밀도(pSUBc/SUB)의 영향을 평가하고 합리적인 예측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전단벽의 lSUBp/SUB는 최대, 항복 및 전단에 의한 부가모멘트들의 함수로부터 산정하였는데, 이들의 산정절차를 단순화하기 위하여 변수연구를 수행하고 그 결과들을 회귀분석 하였다. 제시된 lSUBp/SUB 모델의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전단벽의 1차원 단면분할법에 의한 소성힌지 해석 기반의 하중-변위 관계, 그리고 2차원 비선형 해석에 의한 하중-변위 관계, 그리고 실험에서 얻은 결과들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더불어 제안 모델에 의해 예측된 lSUBp/SUB 값들은 기존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된 다양한 콘크리트로 제작된 전단벽의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제안한 lSUBp/SUB 모델을 적용한 소성힌지 해석에 의한 하중-변위 관계는 pSUBc/SUB와 관계없이 실험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그리고, 제안식에 의해 평가된 lSUBp/SUB값도 실험결과와 잘 일치하였는데, 실험결과와 예측값의 비들의 평균, 표준편차 및 변동계수는 각각 0.99, 0.07 및 0.07로 평가되었다.","PeriodicalId":17365,"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volume":"52 ","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903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본 연구에서는 국내 콘크리트 구조 염화물량 관련 기준의 개선을 위해 국내외 관련 규격을 분석하였으며, 국내 기준에 따른 콘크리트 배합을 고려하여 이론적으로 초기 염화물량을 평가하였다. 또한 국내 6개 사의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한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시편의 염화물량을 평가하였으며, 국내 레미콘 2개 사의 염화물 모니터링 결과를 통계 분석하여 염화물 관리 현황을 고찰하였다. 이온전극법을 기반으로 모르타르 시편의 염화물량 평가 결과, 0.1530~0.2710 kg/m³의 값이 평가되었으며 시멘트량이 전체 질량의 2/3인 것을 고려하면 낮은 수준으로 사료된다. 콘크리트의 염화물량은 5 수준의 설계기준강도 등급을 고려하여 평가하였는데 강도등급이 높아질수록 사용된 시멘트량이 증가하므로 이에 따라 염화물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콘크리트 시편에서는 측정 장비의 종류에 따라 측정값의 20~30 %에 해당하는 차이가 발생하였다. 국내 레미콘사의 염화물 함유량 모니터링 데이터를 통계 분석한 결과, 35~40 MPa의 고강도 콘크리트의 회수율이 높게 평가되었으며 주된 원인으로는 일부 시점에서 높은 시멘트의 염화물량과 해사의 사용으로 보고되었다.
{"title":"Current Status of Chloride Content in Domestic Cement/Concrete and Recommendations for Related Specifications","authors":"Hyeon-Woo Lee, Yong-Sik Yoon, Sung-Chul Bae, Seung-Jun Kwon","doi":"10.4334/jkci.2023.35.5.495","DOIUrl":"https://doi.org/10.4334/jkci.2023.35.5.495","url":null,"abstract":"본 연구에서는 국내 콘크리트 구조 염화물량 관련 기준의 개선을 위해 국내외 관련 규격을 분석하였으며, 국내 기준에 따른 콘크리트 배합을 고려하여 이론적으로 초기 염화물량을 평가하였다. 또한 국내 6개 사의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한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시편의 염화물량을 평가하였으며, 국내 레미콘 2개 사의 염화물 모니터링 결과를 통계 분석하여 염화물 관리 현황을 고찰하였다. 이온전극법을 기반으로 모르타르 시편의 염화물량 평가 결과, 0.1530~0.2710 kg/m³의 값이 평가되었으며 시멘트량이 전체 질량의 2/3인 것을 고려하면 낮은 수준으로 사료된다. 콘크리트의 염화물량은 5 수준의 설계기준강도 등급을 고려하여 평가하였는데 강도등급이 높아질수록 사용된 시멘트량이 증가하므로 이에 따라 염화물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콘크리트 시편에서는 측정 장비의 종류에 따라 측정값의 20~30 %에 해당하는 차이가 발생하였다. 국내 레미콘사의 염화물 함유량 모니터링 데이터를 통계 분석한 결과, 35~40 MPa의 고강도 콘크리트의 회수율이 높게 평가되었으며 주된 원인으로는 일부 시점에서 높은 시멘트의 염화물량과 해사의 사용으로 보고되었다.","PeriodicalId":17365,"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volume":"5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861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10-31DOI: 10.4334/jkci.2023.35.5.543
Dong-Ju Seo, You-Jae Lee, Beom-Gyun Choi, Jong-Gun Park, Gwang-Hee Heo
동절기 포장에서 제설 및 제빙을 위해 매입된 전극을 사용한 전기전도성 시멘트 복합체(electrically conductive cement composites, ECCC)에 전기 전위(전압)을 인가하면 전류 흐름에 대한 고유의 저항으로 인해 열을 생성한다. 생성된 열은 포장에 쌓인 눈/얼음을 녹이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 탄소와 매크로 강섬유를 혼입한 시멘트 복합체의 전기적 및 저항 발열 특성을 실험적으로 조사하였다. 더 나아가, 경화된 시멘트 복합체의 미세구조 및 수화생성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및 열중량 분석(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을 각각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는 인가전압 및 마이크로 탄소섬유 함량이 증가할수록 저항 발열 특성이 향상되었고, 발열 최대온도는 인가전압이 30 V인 마이크로 탄소섬유를 1.25 % 혼입한 ECCC-CF1.25 시편에서 65.9 °C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매크로 강섬유를 1.25 %까지 추가하더라도 저항 발열 특성은 크게 향상되지 못했다. 전기저항은 마이크로 탄소섬유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상당히 감소한, 반면 매크로 강섬유의 혼입은 전도성 네트워크를 형성되지 못하고 전기저항을 증가시켜 저항 발열 특성이 개선되지 않았다. 경화된 시멘트 복합체의 미세구조 및 수화생성물은 반복적인 전기가열에 의해 상대적으로 변하지 않았으며, ECCC의 안정적인 전기전도성을 유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itle":"Analysis of Microstructure, Electrical and Resistance Heating Properties of Cement Composites Incorporating Conductive Fibers","authors":"Dong-Ju Seo, You-Jae Lee, Beom-Gyun Choi, Jong-Gun Park, Gwang-Hee Heo","doi":"10.4334/jkci.2023.35.5.543","DOIUrl":"https://doi.org/10.4334/jkci.2023.35.5.543","url":null,"abstract":"동절기 포장에서 제설 및 제빙을 위해 매입된 전극을 사용한 전기전도성 시멘트 복합체(electrically conductive cement composites, ECCC)에 전기 전위(전압)을 인가하면 전류 흐름에 대한 고유의 저항으로 인해 열을 생성한다. 생성된 열은 포장에 쌓인 눈/얼음을 녹이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 탄소와 매크로 강섬유를 혼입한 시멘트 복합체의 전기적 및 저항 발열 특성을 실험적으로 조사하였다. 더 나아가, 경화된 시멘트 복합체의 미세구조 및 수화생성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및 열중량 분석(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을 각각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는 인가전압 및 마이크로 탄소섬유 함량이 증가할수록 저항 발열 특성이 향상되었고, 발열 최대온도는 인가전압이 30 V인 마이크로 탄소섬유를 1.25 % 혼입한 ECCC-CF1.25 시편에서 65.9 °C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매크로 강섬유를 1.25 %까지 추가하더라도 저항 발열 특성은 크게 향상되지 못했다. 전기저항은 마이크로 탄소섬유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상당히 감소한, 반면 매크로 강섬유의 혼입은 전도성 네트워크를 형성되지 못하고 전기저항을 증가시켜 저항 발열 특성이 개선되지 않았다. 경화된 시멘트 복합체의 미세구조 및 수화생성물은 반복적인 전기가열에 의해 상대적으로 변하지 않았으며, ECCC의 안정적인 전기전도성을 유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PeriodicalId":17365,"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volume":"5 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886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10-31DOI: 10.4334/jkci.2023.35.5.487
GiHyuk Jung, Insub Choi, JunHee Kim
건축물의 붕괴저항성은 건축물이 외력에 대해 붕괴되기까지 견디는 정도를 나타낸다. 포항지진으로 인한 필로티 건축물 피해는 대게 1층 모멘트 골조의 기둥에서 발생하였으며 건축물 성능수준은 붕괴수준인 CP에 해당하였다. 수직 비정형성을 가지는 필로티 건축물의 경우 지진발생시 강성이 낮은 1층에 변위가 집중되기 때문에 기존의 단일 횡력저항을 가지는 건축물의 한계상태보다 작을 수 있다. 하지만 필로티 구조물의 붕괴수준에 따른 변위 및 부재력에 대한 정략적인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필로티 건축물의 붕괴저항성을 부재력 및 변위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기둥에 연결된 수평부재의 휨강성을 기둥단부의 회전강성으로 이상화시킨 모델을 통하여 기둥의 부재력 및 변위를 분석하였다. 필로티 건축물의 붕괴저항성은 해석모델의 비선형 정적해석을 통해 붕괴시점의 변위를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필로티 기둥의 전단력은 모멘트 골조 기둥보다 최대 1.93배 크게 산정되었다. 필로티 건축물의 붕괴저항성은 변위기반 한계상태에서 가장 보수적인 전단 지배형 RC 전단벽 시스템의 붕괴수준 보다 47 % 낮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필로티 건축물의 붕괴저항성은 전단 지배형 RC 전단벽 시스템보다 낮은 수준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title":"Analysis of Displacement-based Collapse Resistance for Vertical Irregular Buildings according to Column-end Rotation Constraints","authors":"GiHyuk Jung, Insub Choi, JunHee Kim","doi":"10.4334/jkci.2023.35.5.487","DOIUrl":"https://doi.org/10.4334/jkci.2023.35.5.487","url":null,"abstract":"건축물의 붕괴저항성은 건축물이 외력에 대해 붕괴되기까지 견디는 정도를 나타낸다. 포항지진으로 인한 필로티 건축물 피해는 대게 1층 모멘트 골조의 기둥에서 발생하였으며 건축물 성능수준은 붕괴수준인 CP에 해당하였다. 수직 비정형성을 가지는 필로티 건축물의 경우 지진발생시 강성이 낮은 1층에 변위가 집중되기 때문에 기존의 단일 횡력저항을 가지는 건축물의 한계상태보다 작을 수 있다. 하지만 필로티 구조물의 붕괴수준에 따른 변위 및 부재력에 대한 정략적인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필로티 건축물의 붕괴저항성을 부재력 및 변위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기둥에 연결된 수평부재의 휨강성을 기둥단부의 회전강성으로 이상화시킨 모델을 통하여 기둥의 부재력 및 변위를 분석하였다. 필로티 건축물의 붕괴저항성은 해석모델의 비선형 정적해석을 통해 붕괴시점의 변위를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필로티 기둥의 전단력은 모멘트 골조 기둥보다 최대 1.93배 크게 산정되었다. 필로티 건축물의 붕괴저항성은 변위기반 한계상태에서 가장 보수적인 전단 지배형 RC 전단벽 시스템의 붕괴수준 보다 47 % 낮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필로티 건축물의 붕괴저항성은 전단 지배형 RC 전단벽 시스템보다 낮은 수준으로 평가되어야 한다.","PeriodicalId":17365,"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volume":"2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860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10-31DOI: 10.4334/jkci.2023.35.5.523
Sung-Yoon Kim, Gwan-Ho Kang, Seung-Jae Kim, Chan-Wook Park, Dae-Young Kim, Sung-Chul Chun
지하구조물 내진성능 확보를 목적으로 개발된 슬러리월 패널 수평철근 기계적 이음(SMS 공법)으로 연결된 슬러리월의 전단마찰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을 통해, 정상적인 경계면 전단파괴가 발생할 때까지 강관 내부 콘크리트의 미끄럼 발생 여부와 SMS 공법 설계강도 발현 여부를 평가하였다. 패널 경계면 요철 효과를 명확히 검증하기 위하여, 신구 콘크리트 경계면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분리한 실험체와 실제 시공과 동일하게 요철을 갖는 실험체, 2가지로 설정하여 총 6개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모든 실험체가 실제 재료강도로 산정한 예상강도를 상회하였고, 강관 내부 콘크리트의 미끄럼은 발생하지 않았다. 실제 재료강도로 산정한 예상강도 대비 최대강도 비의 평균은 경계면 분리 실험체가 1.57배, 경계면 요철 실험체가 1.15배였다. 경계면 요철 실험체는 경계면 분리 실험체에 비해 수직방향(하중 가력방향)과 수평방향 변위에서 강성과 강도가 매우 높았다. 연구결과, 경계면 요철을 갖고 SMS 공법으로 연속화된 슬러리월 패널 경계면은, 전단에 대해 경계면 콘크리트 저항이 유지되면서 이음철근 항복하여 전단마찰거동이 발생하였고, 설계강도가 계획대로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title":"Shear Friction of Slurry-Wall Joint Connected by Seismic Mechanical Splice for Slurry-Wall Joint (SMS)","authors":"Sung-Yoon Kim, Gwan-Ho Kang, Seung-Jae Kim, Chan-Wook Park, Dae-Young Kim, Sung-Chul Chun","doi":"10.4334/jkci.2023.35.5.523","DOIUrl":"https://doi.org/10.4334/jkci.2023.35.5.523","url":null,"abstract":"지하구조물 내진성능 확보를 목적으로 개발된 슬러리월 패널 수평철근 기계적 이음(SMS 공법)으로 연결된 슬러리월의 전단마찰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을 통해, 정상적인 경계면 전단파괴가 발생할 때까지 강관 내부 콘크리트의 미끄럼 발생 여부와 SMS 공법 설계강도 발현 여부를 평가하였다. 패널 경계면 요철 효과를 명확히 검증하기 위하여, 신구 콘크리트 경계면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분리한 실험체와 실제 시공과 동일하게 요철을 갖는 실험체, 2가지로 설정하여 총 6개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모든 실험체가 실제 재료강도로 산정한 예상강도를 상회하였고, 강관 내부 콘크리트의 미끄럼은 발생하지 않았다. 실제 재료강도로 산정한 예상강도 대비 최대강도 비의 평균은 경계면 분리 실험체가 1.57배, 경계면 요철 실험체가 1.15배였다. 경계면 요철 실험체는 경계면 분리 실험체에 비해 수직방향(하중 가력방향)과 수평방향 변위에서 강성과 강도가 매우 높았다. 연구결과, 경계면 요철을 갖고 SMS 공법으로 연속화된 슬러리월 패널 경계면은, 전단에 대해 경계면 콘크리트 저항이 유지되면서 이음철근 항복하여 전단마찰거동이 발생하였고, 설계강도가 계획대로 발현됨을 확인하였다.","PeriodicalId":17365,"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volume":"66 5","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885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10-31DOI: 10.4334/jkci.2023.35.5.469
Wen-Cheng Cui, Seok-Goo Youn
이 논문에서는 고강도 콘크리트가 적용된 PSC 합성거더교에 대한 설계변수해석을 수행하고, 설계 규정인 소성중립축 깊이를 만족시킬 수 있는 설계 방법을 연구하였다. 설계 기준은 현행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을 적용하였다. 설계 변수는 PSC 거더 콘크리트의 설계압축강도, 긴장재의 초기허용긴장력, 강연선의 강도, 그리고 콘크리트 교량바닥판의 설계압축강도와 종방향 철근비이다. 지간장 50 m인 한국도로공사 EX 거더 표준단면을 변수해석을 위한 PSC 거더 단면으로 활용하였다. 사용한계상태를 만족시키는 PSC 합성거더교를 설계한 후, 극한한계상태에서 소성중립축 깊이 규정을 만족되는지 검토하였다. 시공단계별 장기거동해석은 콘크리트 재령을 고려한 AEMM 방법을 적용하였고, 설계휨강도는 단면 설계를 위한 긴장재와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곡선을 이용한 변형률적합해석 방법을 적용해 산정하였다. 변수해석결과 PSC 합성거더교는, PSC 거더 콘크리트 설계압축강도가 증가할수록 소성중립축 깊이가 증가하여, 설계 규정을 만족하는데 불리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성중립축 깊이에 대한 설계요구조건을 만족시키는 설계 방법으로, PSC 합성거더 콘크리트바닥판 설계압축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보다, 사용하중 작용 시 PSC 거더 하연에 발생하는 허용인장응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효과적이라 평가하였다.
{"title":"Design Parametric Analysis for Plastic Neutral Axis of PSC Composite Girder Bridges Using High-Strength Concrete","authors":"Wen-Cheng Cui, Seok-Goo Youn","doi":"10.4334/jkci.2023.35.5.469","DOIUrl":"https://doi.org/10.4334/jkci.2023.35.5.469","url":null,"abstract":"이 논문에서는 고강도 콘크리트가 적용된 PSC 합성거더교에 대한 설계변수해석을 수행하고, 설계 규정인 소성중립축 깊이를 만족시킬 수 있는 설계 방법을 연구하였다. 설계 기준은 현행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을 적용하였다. 설계 변수는 PSC 거더 콘크리트의 설계압축강도, 긴장재의 초기허용긴장력, 강연선의 강도, 그리고 콘크리트 교량바닥판의 설계압축강도와 종방향 철근비이다. 지간장 50 m인 한국도로공사 EX 거더 표준단면을 변수해석을 위한 PSC 거더 단면으로 활용하였다. 사용한계상태를 만족시키는 PSC 합성거더교를 설계한 후, 극한한계상태에서 소성중립축 깊이 규정을 만족되는지 검토하였다. 시공단계별 장기거동해석은 콘크리트 재령을 고려한 AEMM 방법을 적용하였고, 설계휨강도는 단면 설계를 위한 긴장재와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곡선을 이용한 변형률적합해석 방법을 적용해 산정하였다. 변수해석결과 PSC 합성거더교는, PSC 거더 콘크리트 설계압축강도가 증가할수록 소성중립축 깊이가 증가하여, 설계 규정을 만족하는데 불리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성중립축 깊이에 대한 설계요구조건을 만족시키는 설계 방법으로, PSC 합성거더 콘크리트바닥판 설계압축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보다, 사용하중 작용 시 PSC 거더 하연에 발생하는 허용인장응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효과적이라 평가하였다.","PeriodicalId":17365,"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volume":"110 2","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886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10-31DOI: 10.4334/jkci.2023.35.5.553
Young-Wook Kim, Gi-Hyeon Kim, Young-Soo Kim, Young-Il Jang
본 연구에서는 골재 채취 및 생산 과정에서 발생되는 무기성 슬러지의 유동성 채움재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단위결합 재량 및 배합요인에 따른 물리 · 역학적 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무기성 슬러지의 특성 분석 결과 75 μm 이하의 미립분이 약85 %를 구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저소성 점토인 CL로 분류되었다. 무기성 슬러지를 활용한 유동성 채움재의 유동성 및 재료분리 저항성은 시멘트 복합체의 고형분 함량 비율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ACI Committe 229’에서 요구하는 유동성, 재료분리저항성 및 일축압축강도 특성을 충족시키는 배합조건은 단위결합재량 160 kg/m³ 및 W/B 475 %의 조건에서 확보 가능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골재 생산과정에서 발생되는 무기성 슬러지는 응집제의 영향으로 인해 재료분리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어 무기성 슬러지의 활용성 확대를 위해서는 슬러지에 포함된 응집제양에 대한 품질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후속적인 연구를 통해 활용성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本研究为了研究骨材开采和生产过程中产生的无机性污泥的流动性填充材料的适用性,将研究根据单位结合裁量和配合因素的物理、力学特性。无机质污泥的特性分析结果显示,75 μm以下的微粒约构成85%,被分类为低素黏土CL。武器充分利用省勒的流动性复议的流动性及材料分离抵抗食物填满水泥复合体的고형분含量的比率在受影响的分析了,在“aci committe 229”要求的流动性,材料分离断然抵抗性及压缩强度特性的配合条件是满足单位结合裁量160 kg / m³及w / b 475 %的条件下确保首的可能了。骨料生产过程中产生的武器省勒虽然发生凝集提议影响,造成材料分离现象,考虑到有可能为了扩大武器落在污泥的利用省,落在污泥中包括凝集第羊对质量管理需要,通过后续的研究将能够扩大操作性值得期待。
{"title":"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Controlled Low Strength Material Using Inorganic Sludge","authors":"Young-Wook Kim, Gi-Hyeon Kim, Young-Soo Kim, Young-Il Jang","doi":"10.4334/jkci.2023.35.5.553","DOIUrl":"https://doi.org/10.4334/jkci.2023.35.5.553","url":null,"abstract":"본 연구에서는 골재 채취 및 생산 과정에서 발생되는 무기성 슬러지의 유동성 채움재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단위결합 재량 및 배합요인에 따른 물리 · 역학적 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무기성 슬러지의 특성 분석 결과 75 μm 이하의 미립분이 약85 %를 구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저소성 점토인 CL로 분류되었다. 무기성 슬러지를 활용한 유동성 채움재의 유동성 및 재료분리 저항성은 시멘트 복합체의 고형분 함량 비율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ACI Committe 229’에서 요구하는 유동성, 재료분리저항성 및 일축압축강도 특성을 충족시키는 배합조건은 단위결합재량 160 kg/m³ 및 W/B 475 %의 조건에서 확보 가능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골재 생산과정에서 발생되는 무기성 슬러지는 응집제의 영향으로 인해 재료분리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어 무기성 슬러지의 활용성 확대를 위해서는 슬러지에 포함된 응집제양에 대한 품질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후속적인 연구를 통해 활용성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PeriodicalId":17365,"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volume":"7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884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10-31DOI: 10.4334/jkci.2023.35.5.479
Beomyong Park, Hyoseo An, Gayoon Lee, Youngjong Yoo, Sanghee An, Kihak Lee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열교현상과 결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단열에 적용하기 위한 수직형 열교차단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무보강 실험체와 H형 보강근 시스템, UHPC 리브 적용 H형 보강근 시스템, 전단키를 가진 UHPC 리브 적용 H형 보강근 시스템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4개의 실험체에 대해 구조성능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로 UHPC 리브가 있는 실험체에서 안정적인 전단변형을 통해 설계에서 요구하는 전단하중과 휨하중에 대해 충분한 지지성능을 보여주었다. 또한 전단키를 적용함에 따라 기존 콘크리트 벽체와 맞물린 UHPC 리브의 접합에 대한 강성과 강도를 증가시켜 약 25 %의 하중 지지성능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LS-DYNA를 사용하여 실험과 해석 값을 비교, 분석하여 유사 양상을 도출해냈다. 향후 해당 시스템의 변수를 변경하더라도 합리적으로 성능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itle":"Structural Performance Test of Vertical Heat Bridge Insulation System for Multi-residential Buildings","authors":"Beomyong Park, Hyoseo An, Gayoon Lee, Youngjong Yoo, Sanghee An, Kihak Lee","doi":"10.4334/jkci.2023.35.5.479","DOIUrl":"https://doi.org/10.4334/jkci.2023.35.5.479","url":null,"abstract":"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열교현상과 결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단열에 적용하기 위한 수직형 열교차단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무보강 실험체와 H형 보강근 시스템, UHPC 리브 적용 H형 보강근 시스템, 전단키를 가진 UHPC 리브 적용 H형 보강근 시스템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4개의 실험체에 대해 구조성능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로 UHPC 리브가 있는 실험체에서 안정적인 전단변형을 통해 설계에서 요구하는 전단하중과 휨하중에 대해 충분한 지지성능을 보여주었다. 또한 전단키를 적용함에 따라 기존 콘크리트 벽체와 맞물린 UHPC 리브의 접합에 대한 강성과 강도를 증가시켜 약 25 %의 하중 지지성능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LS-DYNA를 사용하여 실험과 해석 값을 비교, 분석하여 유사 양상을 도출해냈다. 향후 해당 시스템의 변수를 변경하더라도 합리적으로 성능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PeriodicalId":17365,"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volume":"147 ","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903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08-31DOI: 10.4334/jkci.2023.35.4.421
Jihun Park, In-Hwan Yang
{"title":"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for Thermal Energy Storage Media at High Temperature","authors":"Jihun Park, In-Hwan Yang","doi":"10.4334/jkci.2023.35.4.421","DOIUrl":"https://doi.org/10.4334/jkci.2023.35.4.421","url":null,"abstract":"","PeriodicalId":17365,"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volume":" ","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4618699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08-31DOI: 10.4334/jkci.2023.35.4.443
Soo-Yeon Seo, Jeong-Ho Moon, Dae-Ho Kim, Yeong-Hun Oh
{"title":"Limiting Capacity of Reinforced Concrete Ordinary Walls for Emulative Evaluation","authors":"Soo-Yeon Seo, Jeong-Ho Moon, Dae-Ho Kim, Yeong-Hun Oh","doi":"10.4334/jkci.2023.35.4.443","DOIUrl":"https://doi.org/10.4334/jkci.2023.35.4.443","url":null,"abstract":"","PeriodicalId":17365,"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volume":" ","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4169741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