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 Date : 2019-12-01DOI: 10.22510/kjofm.2019.36.4.003
Wendi Li, Y. An, M. Choi
{"title":"Shadow banking and financial development: Evidence from China","authors":"Wendi Li, Y. An, M. Choi","doi":"10.22510/kjofm.2019.36.4.003","DOIUrl":"https://doi.org/10.22510/kjofm.2019.36.4.003","url":null,"abstract":"","PeriodicalId":22847,"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volume":"307 1","pages":"63-85"},"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627561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9-12-01DOI: 10.22510/kjofm.2019.36.4.008
Jee-Hyun Kim, 엄윤성
{"title":"펀드매니저의 포트폴리오 펌핑에 대한 재고찰","authors":"Jee-Hyun Kim, 엄윤성","doi":"10.22510/kjofm.2019.36.4.008","DOIUrl":"https://doi.org/10.22510/kjofm.2019.36.4.008","url":null,"abstract":"","PeriodicalId":22847,"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volume":"1 1","pages":"187-215"},"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9136971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9-09-01DOI: 10.22510/kjofm.2019.36.3.002
Minhyuk Kim, 김남현
{"title":"예금자보호한도 초과예금의 증가가 저축은행의 경영위험에 미치는 영향","authors":"Minhyuk Kim, 김남현","doi":"10.22510/kjofm.2019.36.3.002","DOIUrl":"https://doi.org/10.22510/kjofm.2019.36.3.002","url":null,"abstract":"","PeriodicalId":22847,"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volume":"53 1","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9-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199126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9-09-01DOI: 10.22510/kjofm.2019.36.3.006
Sangbae Kim
{"title":"비대칭 오차수정모형을 활용한 유가와 주가지수의 관계 분석: 유가증권시장을 중심으로","authors":"Sangbae Kim","doi":"10.22510/kjofm.2019.36.3.006","DOIUrl":"https://doi.org/10.22510/kjofm.2019.36.3.006","url":null,"abstract":"","PeriodicalId":22847,"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volume":"12 1","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9-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669386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9-09-01DOI: 10.22510/kjofm.2019.36.3.007
전용호, 반주일
이 연구는 개인투자자의 IPO 주식 투자 시 제약조건 및 거래비용을 반영하여 실질적 투자성과를 수익금액으로 측정하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과거 10년간 개인투자자의 IPO청약경쟁률은 평균 460대 1에 달한다. 높은 경쟁률과 청약금액의 50%를 요구하는 청약증거금 제도로 인해, IPO 시장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실투자를 원하는 금액의 수백 배에 해당하는 금액에 대한 자금조달능력이 요구된다. 1억 원을 조달 가능한 개인투자자를 가정할 경우, 제약조건 및 거래비용 반영 후에 IPO 1건당 평균 8.7만 원의 수익이 발생하였고, 평균적인 상장 첫날 수익률 33.1%와는 큰 대조를 이룬다. 다음으로, 투자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들이다. 첫째, 신호효과 변수 중 IPO 시점에 발행된 우리사주 지분율과 기관투자자의 미매도 확약비율은 수익금액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우리사주 발행과 기관투자자의 미매도 확약이 기업의 질(quality)에 대한 유용한 신호임을 말해준다. 둘째, 시장상황변수 중 최근 3개월 IPO 건수와 청약일 직전 1개월 코스닥지수 수익률이 높을수록 수익금액이 커졌다. 핫마켓(hot market) 상황에서 투자성과가 개선됨을 말해준다. IPO 당시 차입이자율은 수익금액을 감소시켰다. 셋째, 기업특성 변수 중에서 벤처캐피탈의 주주참여는 수익금액을 감소시키는데, 기존주주인 벤처캐피탈이 새로운 주주에게 부가 이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향으로 공모가 책정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넷째, 수요·공급효과 변수 중 개인투자자 청약경쟁률은 음(-)의 영향, 기관투자자의 수요예측 경쟁률은 양(+)의 영향을 수익금액에 미치고 있다. 다섯째, 공모특성 변수 중에서 공모규모가 코스닥 표본에서 수익금액에 음(-)의 영향을 주었다. 이 연구는 저평가(underpricing)의 원인을 규명하는데 초점을 맞춘 IPO 관련 연구들과 달리, 개인투자자가 전반적인 저평가 상황에서 어느 정도의 수익을 거둘 수 있는지, 투자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공헌이 있다. 실무적으로는, IPO 주식에 투자하는 투자자들에게 손쉽게 취득 가능하면서 정보적 가치가 높은 유용한 변수들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
{"title":"개인투자자의 IPO 주식 투자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authors":"전용호, 반주일","doi":"10.22510/kjofm.2019.36.3.007","DOIUrl":"https://doi.org/10.22510/kjofm.2019.36.3.007","url":null,"abstract":"이 연구는 개인투자자의 IPO 주식 투자 시 제약조건 및 거래비용을 반영하여 실질적 투자성과를 수익금액으로 측정하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과거 10년간 개인투자자의 IPO청약경쟁률은 평균 460대 1에 달한다. 높은 경쟁률과 청약금액의 50%를 요구하는 청약증거금 제도로 인해, IPO 시장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실투자를 원하는 금액의 수백 배에 해당하는 금액에 대한 자금조달능력이 요구된다. 1억 원을 조달 가능한 개인투자자를 가정할 경우, 제약조건 및 거래비용 반영 후에 IPO 1건당 평균 8.7만 원의 수익이 발생하였고, 평균적인 상장 첫날 수익률 33.1%와는 큰 대조를 이룬다.\u0000다음으로, 투자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들이다. 첫째, 신호효과 변수 중 IPO 시점에 발행된 우리사주 지분율과 기관투자자의 미매도 확약비율은 수익금액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우리사주 발행과 기관투자자의 미매도 확약이 기업의 질(quality)에 대한 유용한 신호임을 말해준다. 둘째, 시장상황변수 중 최근 3개월 IPO 건수와 청약일 직전 1개월 코스닥지수 수익률이 높을수록 수익금액이 커졌다. 핫마켓(hot market) 상황에서 투자성과가 개선됨을 말해준다. IPO 당시 차입이자율은 수익금액을 감소시켰다. 셋째, 기업특성 변수 중에서 벤처캐피탈의 주주참여는 수익금액을 감소시키는데, 기존주주인 벤처캐피탈이 새로운 주주에게 부가 이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향으로 공모가 책정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넷째, 수요·공급효과 변수 중 개인투자자 청약경쟁률은 음(-)의 영향, 기관투자자의 수요예측 경쟁률은 양(+)의 영향을 수익금액에 미치고 있다. 다섯째, 공모특성 변수 중에서 공모규모가 코스닥 표본에서 수익금액에 음(-)의 영향을 주었다.\u0000이 연구는 저평가(underpricing)의 원인을 규명하는데 초점을 맞춘 IPO 관련 연구들과 달리, 개인투자자가 전반적인 저평가 상황에서 어느 정도의 수익을 거둘 수 있는지, 투자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공헌이 있다. 실무적으로는, IPO 주식에 투자하는 투자자들에게 손쉽게 취득 가능하면서 정보적 가치가 높은 유용한 변수들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PeriodicalId":22847,"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volume":"21 1","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9-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616384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9-09-01DOI: 10.22510/kjofm.2019.36.3.001
Cheoljun Eom, Jong Won Park, Lee Woo-baik
{"title":"변동성분해와 조건부 변동성-주식수익률의 관계","authors":"Cheoljun Eom, Jong Won Park, Lee Woo-baik","doi":"10.22510/kjofm.2019.36.3.001","DOIUrl":"https://doi.org/10.22510/kjofm.2019.36.3.001","url":null,"abstract":"","PeriodicalId":22847,"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volume":"30 1","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9-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874686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9-09-01DOI: 10.22510/kjofm.2019.36.3.003
Shawn Saeyeul Park
Motivated by i) the ‘unexpected negative shock’ explanation on the distress risk puzzle by Chava and Purnanandam (2010a) and ii)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the stock returns of distressed firms and the marketwide volatility reported by Campbell et al. (2008), I propose a testable hypothesis on the distress risk puzzle that the anomalous phenomenon is attributable to the low returns for distressed firms with high tendency towards asset substitution. The hypothesis is based on the corporate finance theory that asset substitution is a common channel for risk-shifting from the equityholders to the debtholders. In the preliminary empirical tests, I proxy for a firm’s propensity toward corporate risk taking by using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expected market volatility and the firm’s investment intensity. The result of the analysis supports my hypothesis: I do find very low FamaFrench 3-factor alphas for distressed firms with risk-taking investment activities (high asset substitution).
{"title":"Corporate Risk-Taking and Stock Returns to Distressed Firms","authors":"Shawn Saeyeul Park","doi":"10.22510/kjofm.2019.36.3.003","DOIUrl":"https://doi.org/10.22510/kjofm.2019.36.3.003","url":null,"abstract":"Motivated by i) the ‘unexpected negative shock’ explanation on the distress risk puzzle by Chava and Purnanandam (2010a) and ii)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the stock returns of distressed firms and the marketwide volatility reported by Campbell et al. (2008), I propose a testable hypothesis on the distress risk puzzle that the anomalous phenomenon is attributable to the low returns for distressed firms with high tendency towards asset substitution. The hypothesis is based on the corporate finance theory that asset substitution is a common channel for risk-shifting from the equityholders to the debtholders. In the preliminary empirical tests, I proxy for a firm’s propensity toward corporate risk taking by using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expected market volatility and the firm’s investment intensity. The result of the analysis supports my hypothesis: I do find very low FamaFrench 3-factor alphas for distressed firms with risk-taking investment activities (high asset substitution).","PeriodicalId":22847,"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volume":"9 1","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9-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929219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9-09-01DOI: 10.22510/kjofm.2019.36.3.005
최문섭, Tina Xiaoxiao Liu
{"title":"The Future Is Now: Evidence from Crude Oil Futures Trading","authors":"최문섭, Tina Xiaoxiao Liu","doi":"10.22510/kjofm.2019.36.3.005","DOIUrl":"https://doi.org/10.22510/kjofm.2019.36.3.005","url":null,"abstract":"","PeriodicalId":22847,"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volume":"121 1","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9-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017132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9-09-01DOI: 10.22510/kjofm.2019.36.3.008
박수철, 우민철
많은 연구들에 의하면 개인투자자는 비이성적 투자, 빈번한 매매, 낮은 투자성과 등으로 다른 투자자들보다 열위에 있다고 한다. 그러나 투자규모나 투자전략에 따라 개인투자자도 개인투자자의 다른 그룹, 기관이나 외국인 투자자보다 우월한 성과를 보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자신의 자산을 초과하여 레버리지(leverage)거래를 수행하는 개인투자자가 그럴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여 개인투자자의 레버리지거래(신용융자거래와 신용대주거래)의 매매행태를 일반거래와 비교하고, 주식시장의 유동성과 변동성, 주가 예측성 등에 레버리지거래가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첫째, 개인투자자의 일반거래는 역추세 추종전략을 사용하지만 레버리지 거래는 추세 추종전략을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투자자의 일반거래 매수가 증가한 후수익률이 하락하였지만 신용매수거래 후에는 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였고, 공매도 증가 후에는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투자자의 일반거래 매수 증가는 시장별로 다르게 변동성에 영향을 미쳤지만(유가증권시장은 축소, 코스닥시장은 확대), 신용거래 및 공매도거래 증가는 모든 시장의 변동성을 축소시켜 시장안정성을 높이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유동성에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레버리지를 활용한 개인투자자는 일반 개인투자자와는 다른 투자전략을 사용하여, 주가에 대한 예측력도 높았고, 시장 안정화에도 기여한 것으로 추정된다. 투자자 그룹간의 비교에 초점을 둔 선행연구들과 다르게 동일 투자자그룹 내에서도 투자전략 등에 의해서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학문적으로는 개인투자자에 대한 차별적 접근이 필요하고, 금융당국에게는 투자자들의 레버리지거래에 대한 별도의 집계, 관리가 필요함을 제시하는 중요한 의의라고 판단된다.
{"title":"개인투자자의 레버리지 거래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authors":"박수철, 우민철","doi":"10.22510/kjofm.2019.36.3.008","DOIUrl":"https://doi.org/10.22510/kjofm.2019.36.3.008","url":null,"abstract":"많은 연구들에 의하면 개인투자자는 비이성적 투자, 빈번한 매매, 낮은 투자성과 등으로 다른 투자자들보다 열위에 있다고 한다. 그러나 투자규모나 투자전략에 따라 개인투자자도 개인투자자의 다른 그룹, 기관이나 외국인 투자자보다 우월한 성과를 보일 수 있을 것이다.\u0000본 연구는 자신의 자산을 초과하여 레버리지(leverage)거래를 수행하는 개인투자자가 그럴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여 개인투자자의 레버리지거래(신용융자거래와 신용대주거래)의 매매행태를 일반거래와 비교하고, 주식시장의 유동성과 변동성, 주가 예측성 등에 레버리지거래가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분석하였다.\u0000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첫째, 개인투자자의 일반거래는 역추세 추종전략을 사용하지만 레버리지 거래는 추세 추종전략을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투자자의 일반거래 매수가 증가한 후수익률이 하락하였지만 신용매수거래 후에는 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였고, 공매도 증가 후에는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투자자의 일반거래 매수 증가는 시장별로 다르게 변동성에 영향을 미쳤지만(유가증권시장은 축소, 코스닥시장은 확대), 신용거래 및 공매도거래 증가는 모든 시장의 변동성을 축소시켜 시장안정성을 높이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유동성에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였다.\u0000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레버리지를 활용한 개인투자자는 일반 개인투자자와는 다른 투자전략을 사용하여, 주가에 대한 예측력도 높았고, 시장 안정화에도 기여한 것으로 추정된다. 투자자 그룹간의 비교에 초점을 둔 선행연구들과 다르게 동일 투자자그룹 내에서도 투자전략 등에 의해서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학문적으로는 개인투자자에 대한 차별적 접근이 필요하고, 금융당국에게는 투자자들의 레버리지거래에 대한 별도의 집계, 관리가 필요함을 제시하는 중요한 의의라고 판단된다.","PeriodicalId":22847,"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volume":"110 1","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9-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578978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9-06-01DOI: 10.22510/KJOFM.2019.36.2.004
Jeong Kyu Chae, Jungsungchang
본 논문은 정부가 ‘부품·소재 전문기업 등의 육성하여 관한 특별조치법(현, 소재·부품전문기업 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을 제정해 시행한 사업 중 부품·소재종합기술지원사업을 선정하여 독립변수인 투자규모와 종속변수인 매출, 자산 등 재무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은 과거 자료분석을 통해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미래의 투자변수 간 관계를 예측함으로써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투자규모를 찾아내는데 있다. 이를 위해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기술지원사업 투자규모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모든 모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가지면서 1차 항의 계수가 음(-)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2차 항의 계수가 양(+)으로 나타나 지원사업투자규모와 기업의 매출액, 총자산 간의 관계가 각각 U자형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회귀모형 적합도를 평가할 수 있는 R2adj 계수 비교에서도 2차항 추가모형 분석 결과가 더 좋아졌음을 확인했다. 신용재(2011)의 연구 결과와 같이 연구개발 투자와 기업가치 간에는 선형적인 관계와 더불어 비선형적인 관계가 존재하지만, 동 연구결과와는 반대로 U자형이라는 차이점이 있다. 본 연구가 가지는 의미는 정규채 외(2017)가 PSM-DID 결합모형으로 재무성과를 분석한 선행연구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차이분석으로 정책효과를 분석하였으나, 두 변수간 선형 연관방향과 크기는 제시하지 못한 반면, 본 연구에서는 투자규모가 매출액 등 주요 재무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많은 선행연구와 달리 U자형 관계가 있음을 발견했다는 것이다. 이는 기술지원이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일정규모 이상을 투자해야 한다는 의미로 기술지원 예산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변수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R&D 활동의 궁극적인 목적인 사업화를 통한 수혜기업의 재무성과에 미치는 평가를 제도화하고, 평가결과를 다음 기술기획 및 예산편성에 반영함으로써 정부의 기술지원이 수혜기업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선순환 시스템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itle":"정부의 기술지원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authors":"Jeong Kyu Chae, Jungsungchang","doi":"10.22510/KJOFM.2019.36.2.004","DOIUrl":"https://doi.org/10.22510/KJOFM.2019.36.2.004","url":null,"abstract":"본 논문은 정부가 ‘부품·소재 전문기업 등의 육성하여 관한 특별조치법(현, 소재·부품전문기업 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을 제정해 시행한 사업 중 부품·소재종합기술지원사업을 선정하여 독립변수인 투자규모와 종속변수인 매출, 자산 등 재무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은 과거 자료분석을 통해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미래의 투자변수 간 관계를 예측함으로써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투자규모를 찾아내는데 있다. 이를 위해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기술지원사업 투자규모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모든 모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가지면서 1차 항의 계수가 음(-)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2차 항의 계수가 양(+)으로 나타나 지원사업투자규모와 기업의 매출액, 총자산 간의 관계가 각각 U자형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회귀모형 적합도를 평가할 수 있는 R2adj 계수 비교에서도 2차항 추가모형 분석 결과가 더 좋아졌음을 확인했다. 신용재(2011)의 연구 결과와 같이 연구개발 투자와 기업가치 간에는 선형적인 관계와 더불어 비선형적인 관계가 존재하지만, 동 연구결과와는 반대로 U자형이라는 차이점이 있다.\u0000본 연구가 가지는 의미는 정규채 외(2017)가 PSM-DID 결합모형으로 재무성과를 분석한 선행연구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차이분석으로 정책효과를 분석하였으나, 두 변수간 선형 연관방향과 크기는 제시하지 못한 반면, 본 연구에서는 투자규모가 매출액 등 주요 재무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많은 선행연구와 달리 U자형 관계가 있음을 발견했다는 것이다. 이는 기술지원이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일정규모 이상을 투자해야 한다는 의미로 기술지원 예산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변수라 할 수 있다.\u0000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R&D 활동의 궁극적인 목적인 사업화를 통한 수혜기업의 재무성과에 미치는 평가를 제도화하고, 평가결과를 다음 기술기획 및 예산편성에 반영함으로써 정부의 기술지원이 수혜기업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선순환 시스템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PeriodicalId":22847,"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volume":"46 1","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058512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