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最新文献

Korean Classical Poetry Studies最新文献

英文 中文
박춘재 소리 에 나타나는 근대적 성격 고찰 对朴春载声音中的近代性格的考察
Pub Date : 2019-09-01 DOI: 10.32428/poetry.48..201909.25
전계영
이 글은 휘모리잡가 에 나타나는 근대적 성격을 살펴보고자 작성되었다. 휘모리잡가는 사설시조에서 유래하였으며,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전반기까지 흥행한 노래로 연행 담당층은 공장(工匠)이었다.대체로 잡가의 하위범주에는 ‘십이잡가, 선소리타령, 민요계열잡가, 휘모리잡가’ 등이 포함되는데, 이들 노래는 주로 광무대와 같은 무대공연, 활판본 잡가집과 SP음반, 경성 라디오 방송 등을 통해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고 흥행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정황은 실증자료 분석을 통한 연구물로 확인되고 있다.그런데 잡가의 근대적 성격과 관련된 논의 대부분은 잡가의 노랫말보다는 이를 둘러싸고 있는 배경이나 전후 맥락에 의지하는 경향성을 띠고 있다. 이는 잡가의 노랫말에서 ‘근대적 성격’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태생적 한계에 기인한다. 잡가는 기존에 향유되던 타 시가와의 갈래 교섭을 통해 노랫말의 일부(또는 전체)를 가져와 조(調)를 바꿔 부르거나 재편집한 작품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원래의 노랫말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다만 휘모리잡가의 경우 이현익의 창작이 존재하며, 그의 노래 가운데 몇 편은 20세기 전반기 세태를 반영하면서 풍자를 표현기법으로 활용하고 있어 주목된다.이에 필자는 휘모리잡가 가운데 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근대적 성격을 드러내는 다양한 지표 가운데, 정치적 폭력(위력)에 대응하는 민중(대중)들의 모습을 통해 작품의 의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결론적으로 에는 기존 시가(詩歌)에 나타나지 않았던, 정치권력에 대한 민중의 비판과 풍자가 반전(反轉)의 수법으로 형상화되어 있으며, 20세기 전반기 민중들의 고단한 삶을 골계로 승화시키고 있었다. 또한 근대적 성격을 형상화하는 주체와 방식을 볼 때, ‘떠나는 사람’과 ‘돌아온 사람’이 아닌 재래적으로 살아온 민중들과 그들이 향유한 ‘잡가’를 통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这篇文章是为了观察辉森杂歌中出现的近代性质而写的。《whisori杂歌》源于私人时调,是一首从19世纪后期到20世纪前半期流行的歌曲,负责抓捕的是工厂。大体上杂歌的하위범주有“十菜、领唱谣、民歌系列杂歌、辉倒把杂歌》等,这些歌曲,主要是包括광무대般的舞台演出,铅印杂歌集和sp唱片,京城通过广播电台等向群众广泛传开,票房了。而且,这种情况已被确认为是通过实证资料分析的研究物。但是与杂歌的近代性质相关的大部分讨论,比起杂歌的歌词,更倾向于围绕它的背景或前后脉络。这源于从杂家的歌词中很难把握“近代性格”的天生局限性。杂歌是通过与现有的其他诗歌进行交涉,将歌词的一部分(或整体)换成调唱或重新编辑的作品,因此不会大幅脱离原来的歌词。但《whisori杂家》存在李贤益的创作,他的几首歌曲反映了20世纪前半期的世态,并将讽刺作为表现手法加以利用,因此备受关注。对此,笔者以“辉森杂家”为研究对象,在体现近代性质的多样指标中,通过应对政治暴力(威力)的民众(大众)的面貌来引出作品的意义。从结论上看,《中央新闻》以反战的手法描写了在诗歌中没有出现的民众对政治权力的批判和讽刺,将20世纪前半期民众艰苦的生活升华为喜剧。另外,从将近代性格形象化的主体和方式来看,不是通过“离去的人”和“归来的人”,而是通过传统生活的民众和他们享有的“杂家”出现。
{"title":"박춘재 소리 에 나타나는 근대적 성격 고찰","authors":"전계영","doi":"10.32428/poetry.48..201909.25","DOIUrl":"https://doi.org/10.32428/poetry.48..201909.25","url":null,"abstract":"이 글은 휘모리잡가 에 나타나는 근대적 성격을 살펴보고자 작성되었다. 휘모리잡가는 사설시조에서 유래하였으며,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전반기까지 흥행한 노래로 연행 담당층은 공장(工匠)이었다.\u0000대체로 잡가의 하위범주에는 ‘십이잡가, 선소리타령, 민요계열잡가, 휘모리잡가’ 등이 포함되는데, 이들 노래는 주로 광무대와 같은 무대공연, 활판본 잡가집과 SP음반, 경성 라디오 방송 등을 통해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고 흥행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정황은 실증자료 분석을 통한 연구물로 확인되고 있다.\u0000그런데 잡가의 근대적 성격과 관련된 논의 대부분은 잡가의 노랫말보다는 이를 둘러싸고 있는 배경이나 전후 맥락에 의지하는 경향성을 띠고 있다. 이는 잡가의 노랫말에서 ‘근대적 성격’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태생적 한계에 기인한다. 잡가는 기존에 향유되던 타 시가와의 갈래 교섭을 통해 노랫말의 일부(또는 전체)를 가져와 조(調)를 바꿔 부르거나 재편집한 작품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원래의 노랫말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u0000다만 휘모리잡가의 경우 이현익의 창작이 존재하며, 그의 노래 가운데 몇 편은 20세기 전반기 세태를 반영하면서 풍자를 표현기법으로 활용하고 있어 주목된다.\u0000이에 필자는 휘모리잡가 가운데 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근대적 성격을 드러내는 다양한 지표 가운데, 정치적 폭력(위력)에 대응하는 민중(대중)들의 모습을 통해 작품의 의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u0000결론적으로 에는 기존 시가(詩歌)에 나타나지 않았던, 정치권력에 대한 민중의 비판과 풍자가 반전(反轉)의 수법으로 형상화되어 있으며, 20세기 전반기 민중들의 고단한 삶을 골계로 승화시키고 있었다. 또한 근대적 성격을 형상화하는 주체와 방식을 볼 때, ‘떠나는 사람’과 ‘돌아온 사람’이 아닌 재래적으로 살아온 민중들과 그들이 향유한 ‘잡가’를 통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PeriodicalId":360230,"journal":{"name":"Korean Classical Poetry Studies","volume":"40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9-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516130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시조의 無藥 모티브 연구 时调无药主题研究
Pub Date : 2019-09-01 DOI: 10.32428/poetry.48..201909.165
김주수
본 논고는 역대 시조 작품에 산재되어 있는 대표적인 ‘무약 모티브’의 시조를 찾아 주제에 따라 그 유형과 표현적 특성을 탐구한 것이다. 그리고 주제에 따른 작품군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통해 주제에 따라 시상의 유형성과 변화도 함께 살펴보았다.시조의 無藥 모티브란 시조의 내용 속에 ‘어떤 병에는 약이 없다’라는 인식과 표현이 하나의 모티브를 이루어 시상을 구축하는 특성을 말한다. 시조에 나타나는 중심된 무약 모티브는 크게 ‘상사병에 대한 것’과 ‘장생불사에 대한 것’으로 양분해 볼 수 있다. 이 같은 무약 모티브는 개성적이고 뚜렷한 시적 특성으로 하나의 유형성을 형성하며, 시조 미학의 한 축을 담당하는데, 지금까지 거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무약 모티브의 시조는 ‘藥의 부재’를 통해서 시상을 발양하고 또 응축시켜는 특성을 가진다. 소망하는 약의 부재는 ‘어찌할 수 없는 심정’에 대한 객관적 상관물로써 무약 모티브의 시조는 기본적으로 소망의 좌절이라는 슬픔과 탄식에서 비롯된다. 자신이 바라는 약이 ‘부재의 약’이고 ‘허구의 약’이기에, 무약 모티브의 시조는 藥의 부재를 통해서 시인의 강렬한 바람과 감정을 표상한 작품군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그렇기에 무약 모티브의 시조들은 낭만적이고 허구적인 상상보다는 자신의 구체적 체험으로 체감할 수 있는 현실적인 삶의 인식 속에서 자신의 진솔한 감정을 피력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무약 모티브는 시조와 시상의 친연성이 깊은 한시에서는 흔하지 않는 시조만의 개성적인 시적 특성으로, 시조 미학의 중요한 서정적 특성의 하나로 새롭게 자리 할 수 있을 것이다.
本论考是寻找分散在历代时调作品中的代表性“无药主题”的时调,根据主题探索其类型和表现特性。而且,通过根据主题的作品群间的相似点和不同点,观察了根据主题的颁奖的有形性和变化。时调无药主题是时调内容中“某些病无药”的认识和表现形成一个主题,构筑诗思的特性。时调中出现的中心无药主题大致可分为“相思病”和“长生不死”。这种无药主题以具有个性和鲜明的诗的特性形成了一种有形性,并起到了时调美学的一个轴心,但到目前为止几乎没有进行过研究。无药主题的始祖具有通过“药的不在”来发扬诗思并浓缩诗思的特性。所希望的药的缺乏是对“无可奈何的心情”的客观相关性,无药动机的始祖基本上源于所希望的挫折的悲伤和叹息。因为自己希望的药是“不在的药”和“虚构的药”,所以无药主题的始祖可以说是通过药的不在来表达诗人强烈愿望和感情的作品群。因此,《无药主题》的始祖比起浪漫、虚构的想象,更具有在能够通过自己的具体体验体验的现实生活认识中表达自己真实感情的特性。特别是,“无药主题”是在时调和诗思亲缘较深的汉诗中不常见的时调特有的具有个性的诗的特性,可以成为时调美学重要的抒情特性之一。
{"title":"시조의 無藥 모티브 연구","authors":"김주수","doi":"10.32428/poetry.48..201909.165","DOIUrl":"https://doi.org/10.32428/poetry.48..201909.165","url":null,"abstract":"본 논고는 역대 시조 작품에 산재되어 있는 대표적인 ‘무약 모티브’의 시조를 찾아 주제에 따라 그 유형과 표현적 특성을 탐구한 것이다. 그리고 주제에 따른 작품군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통해 주제에 따라 시상의 유형성과 변화도 함께 살펴보았다.\u0000시조의 無藥 모티브란 시조의 내용 속에 ‘어떤 병에는 약이 없다’라는 인식과 표현이 하나의 모티브를 이루어 시상을 구축하는 특성을 말한다. 시조에 나타나는 중심된 무약 모티브는 크게 ‘상사병에 대한 것’과 ‘장생불사에 대한 것’으로 양분해 볼 수 있다. 이 같은 무약 모티브는 개성적이고 뚜렷한 시적 특성으로 하나의 유형성을 형성하며, 시조 미학의 한 축을 담당하는데, 지금까지 거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u0000무약 모티브의 시조는 ‘藥의 부재’를 통해서 시상을 발양하고 또 응축시켜는 특성을 가진다. 소망하는 약의 부재는 ‘어찌할 수 없는 심정’에 대한 객관적 상관물로써 무약 모티브의 시조는 기본적으로 소망의 좌절이라는 슬픔과 탄식에서 비롯된다. 자신이 바라는 약이 ‘부재의 약’이고 ‘허구의 약’이기에, 무약 모티브의 시조는 藥의 부재를 통해서 시인의 강렬한 바람과 감정을 표상한 작품군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u0000그렇기에 무약 모티브의 시조들은 낭만적이고 허구적인 상상보다는 자신의 구체적 체험으로 체감할 수 있는 현실적인 삶의 인식 속에서 자신의 진솔한 감정을 피력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무약 모티브는 시조와 시상의 친연성이 깊은 한시에서는 흔하지 않는 시조만의 개성적인 시적 특성으로, 시조 미학의 중요한 서정적 특성의 하나로 새롭게 자리 할 수 있을 것이다.","PeriodicalId":360230,"journal":{"name":"Korean Classical Poetry Studies","volume":"1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9-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217420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일제 강점기, 전통 정재 창사의 계승과 변용 -박순호 소장 󰡔리계향 ᄎᆡᆨ 李桂香 홀긔󰡕를 중심으로- 日帝强占期、传统政界、长沙-박순호所长󰡔白日所得的继承和利계향ᄎᆡᆨ李资香洞‘孙基祯󰡕为中心-
Pub Date : 2019-05-01 DOI: 10.32428/POETRY.47..201905.109
Hyejung Kang
{"title":"일제 강점기, 전통 정재 창사의 계승과 변용 -박순호 소장 󰡔리계향 ᄎᆡᆨ 李桂香 홀긔󰡕를 중심으로-","authors":"Hyejung Kang","doi":"10.32428/POETRY.47..201905.109","DOIUrl":"https://doi.org/10.32428/POETRY.47..201905.109","url":null,"abstract":"","PeriodicalId":360230,"journal":{"name":"Korean Classical Poetry Studies","volume":"2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5-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637091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조선후기 京郊地域 가사에 나타난 ‘江湖’ 형상의 예술사적 의미 -홍계영의 「喜雪」과 남도진의 「樂隱別曲」을 중심으로- 朝鲜后期京外域歌词中“江湖”形象的艺术史意义——以洪桂英的《喜雪》和南道镇的《乐隐隐曲》为中心——
Pub Date : 2019-05-01 DOI: 10.32428/POETRY.47..201905.41
윤지아
{"title":"조선후기 京郊地域 가사에 나타난 ‘江湖’ 형상의 예술사적 의미 -홍계영의 「喜雪」과 남도진의 「樂隱別曲」을 중심으로-","authors":"윤지아","doi":"10.32428/POETRY.47..201905.41","DOIUrl":"https://doi.org/10.32428/POETRY.47..201905.41","url":null,"abstract":"","PeriodicalId":360230,"journal":{"name":"Korean Classical Poetry Studies","volume":"3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5-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403031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딱지본 소설 속 유행가의 기능 -유행가 를 중심으로- 以流行歌曲为中心
Pub Date : 2019-05-01 DOI: 10.32428/POETRY.47..201905.139
장유정
이 글은 유행가 가 딱지본 소설 에서 어떤 기능을 하고 있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2장에서는 유행가와 딱지본 소설의 전반적인 관계를 언급했다. 대부분의 소설과 유행가의 상호텍스트성을 보면, 대체로 소설이나 영화, 연극 등이 먼저 만들어지거나 유행가가 작품의 주제가로 동시에 사용된다. 그런데 는 유행가가 만들어진 후에 소설이 나온 것이라서 독특한 사례라는 것을 밝혔다.다음으로 3장과 4장에서는 유행가 와 딱지본 소설 를 각각 소개하였다. 유행가가 만들어진 배경과 어느 정도 인기가 있었는지를 언급하였다. 4장에서는 소설의 줄거리를 소개하고 소설의 특징 등을 언급하였다. 비록 소설의 내용은 그 시기에 유행한 여타 소설과 유사한 부분이 많다. 하지만 이 소설이 특별한 것은 노래의 처음부터 끝까지 유행가가 중요한 구실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5장에서는 유행가가 소설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유행가는 소설에 총 5번 등장했다. 하지만 이야기 맥락 속에서 유행가가 동일한 기능을 하지 않았다. 시작을 알리고 복선을 깔아주는 기능을 하는가 하면, 때로는 사랑을 맹세하고 행복을 확인하는 노래로의 기능을 하였다. 또한 이야기의 종지와 주제를 알려주는 기능도 하였다. 즉 같은 노래라도 이야기의 맥락 속에서 노래는 다른 기능을 했던 것이다. 특히 노래는 소설을 단순히 시각이 아닌 청각적으로 다가오게 하는 구실도 하였다. 결과적으로 노래는 소설의 비극적 낭만성을 강화시켰다.아울러 당시에 새롭게 등장한 기독교 문화를 바탕으로 한 연애관과 성의식을 소설에서 확인하였다. 즉 ‘청순한 연애와 죄 많고 혐오스러운 성욕’을 대립시키는 기독교 성문화가 일본 성문화에 영향을 끼쳤고, 이것이 우리나라에도 들어와 우리나라 성문화에 영향을 끼쳤다. 소설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다.
这篇文章分析了流行歌曲在封面小说中起到什么作用。第2章提到了流行歌曲和封面小说的整体关系。从大部分小说和流行歌曲的相互文本性来看,一般是先创作小说、电影、话剧等,或者流行歌曲作为作品的主题歌同时使用。但他表示,这是在创作出流行歌曲后才出现的小说,是一个独特的事例。第三章和第四章分别介绍了流行歌曲和封面小说。他提到了流行歌曲的背景和流行程度。第四章介绍了小说的梗概,提及了小说的特点等。虽然小说的内容与那个时期流行的其他小说有很多相似之处。但该小说之所以特别,是因为歌曲从头到尾流行歌曲起到了重要的作用。第5章具体分析了流行歌曲在小说中的功能。流行歌曲在小说中总共出现了5次。但是在故事脉络中,流行歌曲并没有起到同样的功能。它的功能是预示开始,为人们埋下伏笔,有时还起到了发誓爱情,确认幸福的歌曲的功能。它还具有提示故事主旨和主题的功能。也就是说,即使是同样的歌曲,在故事的脉络中,歌曲也起到了不同的功能。特别是歌曲还起到了让小说从听觉而不是单纯的视觉靠近的作用。结果歌曲强化了小说的悲剧浪漫性。并在小说中确认了以当时新登场的基督教文化为基础的恋爱观和性意识。也就是说,将“清纯的恋爱和罪恶滔天、令人厌恶的性欲”对立起来的基督教性文化对日本性文化产生了影响,这一现象也传入韩国,对韩国的性文化产生了影响。小说中也可以确认这一点。
{"title":"딱지본 소설 속 유행가의 기능 -유행가 를 중심으로-","authors":"장유정","doi":"10.32428/POETRY.47..201905.139","DOIUrl":"https://doi.org/10.32428/POETRY.47..201905.139","url":null,"abstract":"이 글은 유행가 가 딱지본 소설 에서 어떤 기능을 하고 있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2장에서는 유행가와 딱지본 소설의 전반적인 관계를 언급했다. 대부분의 소설과 유행가의 상호텍스트성을 보면, 대체로 소설이나 영화, 연극 등이 먼저 만들어지거나 유행가가 작품의 주제가로 동시에 사용된다. 그런데 는 유행가가 만들어진 후에 소설이 나온 것이라서 독특한 사례라는 것을 밝혔다.\u0000다음으로 3장과 4장에서는 유행가 와 딱지본 소설 를 각각 소개하였다. 유행가가 만들어진 배경과 어느 정도 인기가 있었는지를 언급하였다. 4장에서는 소설의 줄거리를 소개하고 소설의 특징 등을 언급하였다. 비록 소설의 내용은 그 시기에 유행한 여타 소설과 유사한 부분이 많다. 하지만 이 소설이 특별한 것은 노래의 처음부터 끝까지 유행가가 중요한 구실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u00005장에서는 유행가가 소설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유행가는 소설에 총 5번 등장했다. 하지만 이야기 맥락 속에서 유행가가 동일한 기능을 하지 않았다. 시작을 알리고 복선을 깔아주는 기능을 하는가 하면, 때로는 사랑을 맹세하고 행복을 확인하는 노래로의 기능을 하였다. 또한 이야기의 종지와 주제를 알려주는 기능도 하였다. 즉 같은 노래라도 이야기의 맥락 속에서 노래는 다른 기능을 했던 것이다. 특히 노래는 소설을 단순히 시각이 아닌 청각적으로 다가오게 하는 구실도 하였다. 결과적으로 노래는 소설의 비극적 낭만성을 강화시켰다.\u0000아울러 당시에 새롭게 등장한 기독교 문화를 바탕으로 한 연애관과 성의식을 소설에서 확인하였다. 즉 ‘청순한 연애와 죄 많고 혐오스러운 성욕’을 대립시키는 기독교 성문화가 일본 성문화에 영향을 끼쳤고, 이것이 우리나라에도 들어와 우리나라 성문화에 영향을 끼쳤다. 소설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다.","PeriodicalId":360230,"journal":{"name":"Korean Classical Poetry Studies","volume":"50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5-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870746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대한매일신보󰡕 장형 시가 문체의 판형별 비교 연구 󰡔《大韩每日申报》󰡕张衡诗歌文体的版式星星比较研究
Pub Date : 2019-05-01 DOI: 10.32428/POETRY.47..201905.73
Chang-kyun Park
{"title":"󰡔대한매일신보󰡕 장형 시가 문체의 판형별 비교 연구","authors":"Chang-kyun Park","doi":"10.32428/POETRY.47..201905.73","DOIUrl":"https://doi.org/10.32428/POETRY.47..201905.73","url":null,"abstract":"","PeriodicalId":360230,"journal":{"name":"Korean Classical Poetry Studies","volume":"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5-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236132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he two scenes of Jeonju region seen through a city that was once a village praised by the poets 这是通过被诗人称赞为村庄的城市看到的全州的两幅风景
Pub Date : 2018-12-01 DOI: 10.32428/poetry.45..201812.337
강동석
{"title":"The two scenes of Jeonju region seen through a city that was once a village praised by the poets","authors":"강동석","doi":"10.32428/poetry.45..201812.337","DOIUrl":"https://doi.org/10.32428/poetry.45..201812.337","url":null,"abstract":"","PeriodicalId":360230,"journal":{"name":"Korean Classical Poetry Studies","volume":"13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236523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강-배’ 비유의 현대적 계승과 변용 姜-裴比喻的现代继承与变化
Pub Date : 2011-02-01 DOI: 10.32428/poetry.48..201909.1
이난아
Recently in domestic academic world, there is active research on modern succession and modification of classic literature, mythology and folktale, as...
近年来,国内学术界对经典文学、神话和民间故事的现代继承与修正研究十分活跃,其中包括:
{"title":"‘강-배’ 비유의 현대적 계승과 변용","authors":"이난아","doi":"10.32428/poetry.48..201909.1","DOIUrl":"https://doi.org/10.32428/poetry.48..201909.1","url":null,"abstract":"Recently in domestic academic world, there is active research on modern succession and modification of classic literature, mythology and folktale, as...","PeriodicalId":360230,"journal":{"name":"Korean Classical Poetry Studies","volume":"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1-0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029052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의 창작 배경과 비가(悲歌)적 성격 的创作背景和悲怆的性格
Pub Date : 1900-01-01 DOI: 10.32428/poetry.46..201901.31
이승준
본고의 목적은 의 창작과 관련한 역사적 맥락의 이해를 토대로 작품의 주제의식과 정서적 특질의 문제를 검토하는 것이다. 오늘날 의 창작 배경으로 주목받는 작가 이현(李俔, ?~?)의 영위사 업무는 대단히 부정적이었다. 이현이 영위사로 활동한 계기는 일본의 봉공 요구에 따라 파견된 봉왜명사(封倭明使)를 접반하기 위해서였다. 문제는 봉왜명사의 파견이 조선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명의 강요와 압박을 통해 진행된 결과라는 점이다. 뿐만 아니라 봉왜명사의 파견은 당대인의 화이론(華夷論)적 세계관에서도 대단히 문제적이었다. 예교의 전통이 구현되어 있는 조선이 명의 압력에 의해 이적(夷狄)인 왜와 굴욕적인 협상을 맺을 수밖에 없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과 관련된 역사적 배경은 부정적인 전망으로 점철되어 있다고 하여도 과언은 아니다.이러한 점은 자서(自序)에서 의 창작 동인이 기자(箕子)의 맥수가(麥秀歌)나 양홍(梁鴻)의 오희가(五噫歌)와 같은 비가(悲歌)에 대한 청중의 요청에 부응한 결과로 밝힌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의 주요한 정서적 특징이 비가적 성격에 있음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면서 동시에 그 동인이 맥수가나 오희가와 같은 이념적 층위의 문제의식과 관련됨을 의미하는바, 이는 작품의 이해를 진전시키기 위해 반드시 검토해야 할 지점이라고 할 수 있다.상기한 문제의식을 전제로 본고에서 주목한 것은 먼저 이 명과 조선 사신모두에게 익숙한 백상루 제영시의 창작 전통과 관련되는 부분이다. 의 도입부에서 제영시의 압운 규칙과 선경(仙境)에 대한 묘사는 백상루를 소재로 하는 문학 향유의 전통과 관련되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다만 양호의 영위사로서 임진왜란의 현실이 반영된 창악을 마련할 필요가 있었던 이현은 재래의 창악에 만족하지 않고 백상루 제영시의 창작 전통을 토대로 을 창작하였다고 판단된다.이와 같은 백상루 제영시의 창작 전통에 따라 의 미감 또한 전반부에서는 화락한 이미지를 통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미감은 영사(詠史)와 회고(懷古)의 과정을 통해 비애의 정서로서 급격히 전환되어 버린다. 봉왜명사가 파견된 조선의 비참한 현실은 영위사 업무를 수행하며 전란 회복의 일선에서 분투하던 이현으로 하여금 절망적인 심리를 불러일으켰던 것이다. 따라서 작품의 결말에 귀기를 헤아리며 시름 겨워 하는 화자의 형상은 타향살이의 소회를 넘어서 이러한 지점을 기반으로 해석될 필요가 있다.
本稿的目的是,以《我的作品》的创作相关的历史脉络的理解为基础,研究作品的主题意识和情绪特质问题。今天的创作背景备受瞩目的作家李贤(俔?—?)的经营公司业务非常否定了。李贤作为经营师活动的契机是为了接住按照日本封公要求派遣的封倭使使。问题是凤倭名士的派遣不顾朝鲜的反对,通过名义强迫和压迫进行的结果。不仅如此,凤倭名士的派遣,在当代人的华夷论的世界观中也是非常有问题的。这意味着体现礼教传统的朝鲜在明朝的压力下,只能与夷狄(夷狄)进行屈辱性的协商。因此,说与此相关的历史背景充满了否定性展望也不为过。这一点在自传(始料所及)的创作动因记者(箕子的脉数(好麥清凉山)或杨洪,者)的오희(五噫歌像雨(悲清凉山)对听众的要求相适应的结果表明通过也可以知道。《无限挑战》的主要情绪特征是“非悲歌”性质,同时也意味着其动因与“麦秀歌”、“吴熙歌”等理念层次的问题意识有关。这可以说是为进一步理解作品必须进行研究的地方。以上述问题意识为前提,本书首先关注的是与李明和朝鲜使臣都熟悉的百想楼帝英诗的创作传统相关的部分。在《白相楼》的开头部分,对帝英诗的押韵规则和仙境的描写,意味着与以白相楼为素材的享有文学的传统有关。但作为杨浩的经营公司,有必要准备反映壬辰倭乱现实的创乐的李贤,并不满足于传统的创乐,而是以百想楼济荣市的创作传统为基础创作了《百想楼》。如上所述,《根据百想楼帝英诗的创作传统》的美感在前半部通过和谐的形象展现出来。但这种美感通过咏史和回顾,迅速转变为悲哀的情绪。派遣凤倭名士的朝鲜的悲惨现实让执行经营业务,在恢复战乱的第一线奋斗的李贤产生了绝望的心理。因此,在作品的结尾数着鬼气而忧心忡忡的叙述者的形象,有必要超越对异乡生活的感想,以这样的地点为基础进行解释。
{"title":"의 창작 배경과 비가(悲歌)적 성격","authors":"이승준","doi":"10.32428/poetry.46..201901.31","DOIUrl":"https://doi.org/10.32428/poetry.46..201901.31","url":null,"abstract":"본고의 목적은 의 창작과 관련한 역사적 맥락의 이해를 토대로 작품의 주제의식과 정서적 특질의 문제를 검토하는 것이다. 오늘날 의 창작 배경으로 주목받는 작가 이현(李俔, ?~?)의 영위사 업무는 대단히 부정적이었다. 이현이 영위사로 활동한 계기는 일본의 봉공 요구에 따라 파견된 봉왜명사(封倭明使)를 접반하기 위해서였다. 문제는 봉왜명사의 파견이 조선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명의 강요와 압박을 통해 진행된 결과라는 점이다. 뿐만 아니라 봉왜명사의 파견은 당대인의 화이론(華夷論)적 세계관에서도 대단히 문제적이었다. 예교의 전통이 구현되어 있는 조선이 명의 압력에 의해 이적(夷狄)인 왜와 굴욕적인 협상을 맺을 수밖에 없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과 관련된 역사적 배경은 부정적인 전망으로 점철되어 있다고 하여도 과언은 아니다.\u0000이러한 점은 자서(自序)에서 의 창작 동인이 기자(箕子)의 맥수가(麥秀歌)나 양홍(梁鴻)의 오희가(五噫歌)와 같은 비가(悲歌)에 대한 청중의 요청에 부응한 결과로 밝힌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의 주요한 정서적 특징이 비가적 성격에 있음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면서 동시에 그 동인이 맥수가나 오희가와 같은 이념적 층위의 문제의식과 관련됨을 의미하는바, 이는 작품의 이해를 진전시키기 위해 반드시 검토해야 할 지점이라고 할 수 있다.\u0000상기한 문제의식을 전제로 본고에서 주목한 것은 먼저 이 명과 조선 사신모두에게 익숙한 백상루 제영시의 창작 전통과 관련되는 부분이다. 의 도입부에서 제영시의 압운 규칙과 선경(仙境)에 대한 묘사는 백상루를 소재로 하는 문학 향유의 전통과 관련되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다만 양호의 영위사로서 임진왜란의 현실이 반영된 창악을 마련할 필요가 있었던 이현은 재래의 창악에 만족하지 않고 백상루 제영시의 창작 전통을 토대로 을 창작하였다고 판단된다.\u0000이와 같은 백상루 제영시의 창작 전통에 따라 의 미감 또한 전반부에서는 화락한 이미지를 통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미감은 영사(詠史)와 회고(懷古)의 과정을 통해 비애의 정서로서 급격히 전환되어 버린다. 봉왜명사가 파견된 조선의 비참한 현실은 영위사 업무를 수행하며 전란 회복의 일선에서 분투하던 이현으로 하여금 절망적인 심리를 불러일으켰던 것이다. 따라서 작품의 결말에 귀기를 헤아리며 시름 겨워 하는 화자의 형상은 타향살이의 소회를 넘어서 이러한 지점을 기반으로 해석될 필요가 있다.","PeriodicalId":360230,"journal":{"name":"Korean Classical Poetry Studies","volume":"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190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334652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風騷軌範󰡕의 編纂과 體裁 특성 연구 󰡔風騷軌範󰡕的編纂和形体裁特性研究
Pub Date : 1900-01-01 DOI: 10.32428/poetry.48..201909.129
임준철
이 글은 『풍소궤범』의 편찬과 체재 특성을 살핀 것이다. 『풍소궤범』은 당시 홍문관 부제학이었던 성현의 발의로 김흔, 안침, 이창신, 조위, 신종호, 권건 등 홍문관 관료들이 참여하였으며, 당시 홍문관 내 藏書閣에 소장된 문헌들을 대거 동원하여 책을 편찬하였다. 『풍소궤범』은 중국에서 전래된 近體詩중심의 『瀛奎律髓』와 『聯珠詩格』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古詩에 초점을 맞추었다. 조선 전기는 한시 分門纂類書의 간행이 유독 활발했던 시기였다. 『문선』을 제외한다면 주로 송대 이후 편찬된 한시 분문찬류서의 분류 인식이 이 시기 문인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성현이 가지고 있던 서거정의 『東文選』 체재에 대한 불만과 성종조에 강화된 문신의 製述능력에 대한 요구도 편찬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검토결과 『풍소궤범』의 체재 특성으로 주목되는 점은 다음 세 가지다.첫째, 중국 문학 분류서의 영향을 받은 책이다. 시체별 분류는 『元詩體要』로부터, 주제별 분류는 『文選』, 『瀛奎律髓』, 『纂註分類杜詩』 (『集千家註分類杜工部詩』), 『增刊校正王狀元集註分類東坡先生詩』 (『集注分類東坡先生詩』) 등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편찬자 대부분이 당대 활발하게 간행된 중국 문학 분류서의 편찬에 참여한 경험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둘째, 조선 지식인 나름의 분류 체계를 세우고 분류 방식을 적용한 책이다. 다양한 중국 문학 분류서의 영향을 받았지만, 전체적으로는 새로운 분류 체계와 개성적인 분류 방식을 보여준다.셋째, 조선시대 지식인들이 독자적으로 選詩한 책이다. 참고했음이 분명하게 드러나는 중국 문헌들과 비교해보아도 그대로 轉載하지 않고 나름의 기준에 따라 選詩하고 編次를 재조정하였음이 확인된다.이상을 통해 볼 때 『풍소궤범』은 조선 전기 詩學의 수준을 보여주는 試金石과 같은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이 보여주는 독특한 체재는 조선 전기 지식인의 분류 인식 수준을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편찬 과정에서 활용된 문헌들은 이 시기 수용된 중국 문헌의 실상을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주목될 필요가 있다.
这篇文章分析了《丰小仪轨》的编纂和体制特性。《丰昭仪轨范》由当时弘文馆副提学的圣贤发起,金炘、安寝、李昌信、赵伟、申宗镐、权建等弘文馆官僚参与,动员了当时弘文馆内藏书阁收藏的文献,编纂书籍。《冯素仪轨范》为了弥补从中国传过来的以古典诗为中心的《protrot》和《和美珠诗格》的局限,将焦点放在了古诗上。朝鲜前期是一个非常活跃的时期。除了《文选》之外,可以说主要是宋代以后编纂的汉诗分文灿柳书的分类认识对这一时期的文人也产生了影响。与此同时,对圣贤所具有的徐久定《东文后嗣》体制的不满和对圣宗朝强化的文臣的配述能力的要求也对编纂产生了影响。研究结果表明,《丰小仪轨》的体制特性值得关注的有三点。第一,受中国文学分类书影响。尸体分类受《元诗体要》、《文征宗率中心》、《集家分类杜诗》、《增校正元集分类东坡先生诗》等影响。大部分编纂者都有参与编纂当代活跃发行的中国文学分类书的经验。第二,建立朝鲜知识分子自己的分类体系并适用分类方式的书。虽然受到各种中国文学分类书的影响,但整体上表现出新的分类体系和个性的分类方式。第三,是朝鲜时代知识分子独自创作的书。与参考过的中国文献相比,也没有照搬,而是按照自己的标准重新调整了后诗顺序。从以上来看,《丰昭仪轨》可以说是体现朝鲜前期诗歌水平的试金石。这本书所表现出的独特的体制很好地体现了朝鲜前期知识分子的分类认识水平。另外,在编纂过程中使用的文献反映了这一时期中国文献的真实情况,因此值得关注。
{"title":"󰡔風騷軌範󰡕의 編纂과 體裁 특성 연구","authors":"임준철","doi":"10.32428/poetry.48..201909.129","DOIUrl":"https://doi.org/10.32428/poetry.48..201909.129","url":null,"abstract":"이 글은 『풍소궤범』의 편찬과 체재 특성을 살핀 것이다. 『풍소궤범』은 당시 홍문관 부제학이었던 성현의 발의로 김흔, 안침, 이창신, 조위, 신종호, 권건 등 홍문관 관료들이 참여하였으며, 당시 홍문관 내 藏書閣에 소장된 문헌들을 대거 동원하여 책을 편찬하였다. 『풍소궤범』은 중국에서 전래된 近體詩중심의 『瀛奎律髓』와 『聯珠詩格』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古詩에 초점을 맞추었다. 조선 전기는 한시 分門纂類書의 간행이 유독 활발했던 시기였다. 『문선』을 제외한다면 주로 송대 이후 편찬된 한시 분문찬류서의 분류 인식이 이 시기 문인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성현이 가지고 있던 서거정의 『東文選』 체재에 대한 불만과 성종조에 강화된 문신의 製述능력에 대한 요구도 편찬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u0000검토결과 『풍소궤범』의 체재 특성으로 주목되는 점은 다음 세 가지다.\u0000첫째, 중국 문학 분류서의 영향을 받은 책이다. 시체별 분류는 『元詩體要』로부터, 주제별 분류는 『文選』, 『瀛奎律髓』, 『纂註分類杜詩』 (『集千家註分類杜工部詩』), 『增刊校正王狀元集註分類東坡先生詩』 (『集注分類東坡先生詩』) 등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편찬자 대부분이 당대 활발하게 간행된 중국 문학 분류서의 편찬에 참여한 경험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u0000둘째, 조선 지식인 나름의 분류 체계를 세우고 분류 방식을 적용한 책이다. 다양한 중국 문학 분류서의 영향을 받았지만, 전체적으로는 새로운 분류 체계와 개성적인 분류 방식을 보여준다.\u0000셋째, 조선시대 지식인들이 독자적으로 選詩한 책이다. 참고했음이 분명하게 드러나는 중국 문헌들과 비교해보아도 그대로 轉載하지 않고 나름의 기준에 따라 選詩하고 編次를 재조정하였음이 확인된다.\u0000이상을 통해 볼 때 『풍소궤범』은 조선 전기 詩學의 수준을 보여주는 試金石과 같은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이 보여주는 독특한 체재는 조선 전기 지식인의 분류 인식 수준을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편찬 과정에서 활용된 문헌들은 이 시기 수용된 중국 문헌의 실상을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주목될 필요가 있다.","PeriodicalId":360230,"journal":{"name":"Korean Classical Poetry Studies","volume":"27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190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655203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期刊
Korean Classical Poetry Studies
全部 Acc. Chem. Res. ACS Applied Bio Materials ACS Appl. Electron. Mater. ACS Appl. Energy Mater. ACS Appl. Mater. Interfaces ACS Appl. Nano Mater. ACS Appl. Polym. Mater. ACS BIOMATER-SCI ENG ACS Catal. ACS Cent. Sci. ACS Chem. Biol. ACS Chemical Health & Safety ACS Chem. Neurosci. ACS Comb. Sci. ACS Earth Space Chem. ACS Energy Lett. ACS Infect. Dis. ACS Macro Lett. ACS Mater. Lett. ACS Med. Chem. Lett. ACS Nano ACS Omega ACS Photonics ACS Sens. ACS Sustainable Chem. Eng. ACS Synth. Biol. Anal. Chem. BIOCHEMISTRY-US Bioconjugate Chem. BIOMACROMOLECULES Chem. Res. Toxicol. Chem. Rev. Chem. Mater. CRYST GROWTH DES ENERG FUEL Environ. Sci. Technol. Environ. Sci. Technol. Lett. Eur. J. Inorg. Chem. IND ENG CHEM RES Inorg. Chem. J. Agric. Food. Chem. J. Chem. Eng. Data J. Chem. Educ. J. Chem. Inf. Model. J. Chem. Theory Comput. J. Med. Chem. J. Nat. Prod. J PROTEOME RES J. Am. Chem. Soc. LANGMUIR MACROMOLECULES Mol. Pharmaceutics Nano Lett. Org. Lett. ORG PROCESS RES DEV ORGANOMETALLICS J. Org. Chem. J. Phys. Chem. J. Phys. Chem. A J. Phys. Chem. B J. Phys. Chem. C J. Phys. Chem. Lett. Analyst Anal. Methods Biomater. Sci. Catal. Sci. Technol. Chem. Commun. Chem. Soc. Rev. CHEM EDUC RES PRACT CRYSTENGCOMM Dalton Trans. Energy Environ. Sci. ENVIRON SCI-NANO ENVIRON SCI-PROC IMP ENVIRON SCI-WAT RES Faraday Discuss. Food Funct. Green Chem. Inorg. Chem. Front. Integr. Biol. J. Anal. At. Spectrom. J. Mater. Chem. A J. Mater. Chem. B J. Mater. Chem. C Lab Chip Mater. Chem. Front. Mater. Horiz. MEDCHEMCOMM Metallomics Mol. Biosyst. Mol. Syst. Des. Eng. Nanoscale Nanoscale Horiz. Nat. Prod. Rep. New J. Chem. Org. Biomol. Chem. Org. Chem. Front. PHOTOCH PHOTOBIO SCI PCCP Polym. Chem.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0
微信
客服QQ
Book学术公众号 扫码关注我们
反馈
×
意见反馈
请填写您的意见或建议
请填写您的手机或邮箱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现在去查看 取消
×
提示
确定
Book学术官方微信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
文献互助 智能选刊 最新文献 互助须知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Book学术 All rights reserved.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京ICP备2023020795号-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