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最新文献

Duke Environmental Law and Policy Forum最新文献

英文 中文
Animal Is Not A Thing: Its Philosophical Meaning 动物不是一个东西:它的哲学意义
Q3 Social Sciences Pub Date : 2022-02-28 DOI: 10.18215/elvlp.28..202202.151
Hoon Choi
{"title":"Animal Is Not A Thing: Its Philosophical Meaning","authors":"Hoon Choi","doi":"10.18215/elvlp.28..202202.151","DOIUrl":"https://doi.org/10.18215/elvlp.28..202202.151","url":null,"abstract":"","PeriodicalId":39689,"journal":{"name":"Duke Environmental Law and Policy Forum","volume":"24 2 1","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2-02-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832245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Korean Civil Code Amendment Draft on the Legal Status of Animal, Future Tasks of Civil Law for Animal Protection, and its Limit 关于动物法律地位的韩国民法典修正案草案、动物保护民事法律的未来任务及其限度
Q3 Social Sciences Pub Date : 2022-02-28 DOI: 10.18215/elvlp.28..202202.1
Joonhwan Choi
{"title":"Korean Civil Code Amendment Draft on the Legal Status of Animal, Future Tasks of Civil Law for Animal Protection, and its Limit","authors":"Joonhwan Choi","doi":"10.18215/elvlp.28..202202.1","DOIUrl":"https://doi.org/10.18215/elvlp.28..202202.1","url":null,"abstract":"","PeriodicalId":39689,"journal":{"name":"Duke Environmental Law and Policy Forum","volume":"86 1","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2-02-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557666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Study on Legislative Improvement of 「Animal Protection Act」 and the Changes in Legal Status of Animals 《动物保护法》立法完善与动物法律地位变化研究
Q3 Social Sciences Pub Date : 2022-02-28 DOI: 10.18215/elvlp.28..202202.113
Tae-seong Hahm
{"title":"A Study on Legislative Improvement of 「Animal Protection Act」 and the Changes in Legal Status of Animals","authors":"Tae-seong Hahm","doi":"10.18215/elvlp.28..202202.113","DOIUrl":"https://doi.org/10.18215/elvlp.28..202202.113","url":null,"abstract":"","PeriodicalId":39689,"journal":{"name":"Duke Environmental Law and Policy Forum","volume":"1 1","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2-02-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904392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Korean Civil Code Amendment Draft on the Legal Status of Animal,Future Tasks of Civil Law for Animal Protection, and its Limit 关于动物法律地位的韩国民法典修正案草案、动物保护民事法律的未来任务及其限度
Q3 Social Sciences Pub Date : 2022-02-28 DOI: 10.18215/elvlp.28..202202.33
Hee-Su Choi
{"title":"Korean Civil Code Amendment Draft on the Legal Status of Animal,\u0000Future Tasks of Civil Law for Animal Protection, and its Limit","authors":"Hee-Su Choi","doi":"10.18215/elvlp.28..202202.33","DOIUrl":"https://doi.org/10.18215/elvlp.28..202202.33","url":null,"abstract":"","PeriodicalId":39689,"journal":{"name":"Duke Environmental Law and Policy Forum","volume":"80 1","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2-02-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795130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Changes in the Legal Status of Animals and the Criminal Law 动物法律地位的变化与刑法
Q3 Social Sciences Pub Date : 2022-02-28 DOI: 10.18215/elvlp.28..202202.57
Hyunghwan Joo
{"title":"Changes in the Legal Status of Animals and the Criminal Law","authors":"Hyunghwan Joo","doi":"10.18215/elvlp.28..202202.57","DOIUrl":"https://doi.org/10.18215/elvlp.28..202202.57","url":null,"abstract":"","PeriodicalId":39689,"journal":{"name":"Duke Environmental Law and Policy Forum","volume":"31 1","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2-02-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746607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Improvement of the animal protection law on the occasion of the discussion on the revision of the civil law on the legal status of animals 在完善动物保护法之际,讨论修改民法关于动物法律地位的问题
Q3 Social Sciences Pub Date : 2022-02-28 DOI: 10.18215/elvlp.28..202202.83
M. Han
{"title":"Improvement of the animal protection law on the occasion of the discussion on the revision of the civil law on the legal status of animals","authors":"M. Han","doi":"10.18215/elvlp.28..202202.83","DOIUrl":"https://doi.org/10.18215/elvlp.28..202202.83","url":null,"abstract":"","PeriodicalId":39689,"journal":{"name":"Duke Environmental Law and Policy Forum","volume":"3 1","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2-02-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522547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Institutional review on the formation and structure of Green Finance 绿色金融形成与结构的制度考察
Q3 Social Sciences Pub Date : 2022-02-28 DOI: 10.18215/elvlp.28..202202.181
S. Choi
{"title":"Institutional review on the formation and structure of Green Finance","authors":"S. Choi","doi":"10.18215/elvlp.28..202202.181","DOIUrl":"https://doi.org/10.18215/elvlp.28..202202.181","url":null,"abstract":"","PeriodicalId":39689,"journal":{"name":"Duke Environmental Law and Policy Forum","volume":"11 1","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2-02-28","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666571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Study of the Improvement plans of related to Environmental Factors(E) of ESG - Focused on Information Disclosure and Tax Regulations - ESG相关环境因素(E)改进方案研究——以信息披露和税收法规为中心
Q3 Social Sciences Pub Date : 2021-09-30 DOI: 10.18215/elvlp.27..202109.55
Kyoung-Ha Kim, Yonghe Kim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는 기업의 친환경에 대한 책임, 사회적 책임 경영, 건전한 지배구조 개선 등 투명한 경영을 고려하여야 지속 가능한 발전을 할 수 있다는 의미로,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큰 화두가 되고 있는 주제이다. ESG의 요소 중 환경요소(E)는 사회요소(S)나 지배구조요소(G)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계량화 및 사후관리가 쉽다는 특징이 있고, 환경요소(E)에 대한 계량화 및 사후관리는 회계적 측면과 세법적 측면에서 고려하여 볼 때 그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ESG의 환경요소(E)와 관련하여 회계적 측면의 정보 공시기준과 세법적 측면의 관련 법 규정을 검토하여 보고, 회계와 세법의 연관관계를 고려한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 ESG의 환경요소(E) 관련 정보 공시가 의무화되어 있지 않은 단계여서 기업의 자율적인 공시가 이루어지고 있고, 여러 근거 규정에 따라 다른 방법으로 공시함에 따라 환경요소(E) 정보 공시기준의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다. 정보의 공시 의무대상을 확대하여 ESG 정보 공시를 강화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ESG 관련 정보를 공시하는 방법과 관련된 비용과 효익을 검토하여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일원화하여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도적으로 의무화하여 공시된 환경요소(E) 관련 정보의 활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련 정보의 수요자인 투자자들의 필요 정보에 대한 접근가능성을 높이는 것이 필수적일 것이다. 정보 공시기준의 비교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유용한 재무적 보고의 전제인 효익과 비용을 고려하여 환경요소(E) 정보 공시 항목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때 관련 정보를 투자의사결정에 활용하는 투자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반영함으로써 정보 공시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고, 보다 많은 투자자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 공시 항목을 우선적으로 공시하고 그 범위를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정부의 ESG 정책은 기업의 투자계획과 그에 따른 세제지원을 고려한 기업의 조세계획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세법적 측면에서 활용될 수 있는 환경요소(E) 관련 세부지표를 마련한다면 보다 실효성 높은 자료가 될 것이다. 단순히 과거에 발생한 사실을 공시하는 것이 아니라, 환경요소(E)와 관련된 위험 또는 기회 요소 등을 포함하여 공시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기후 변화와 관련된 위험 및 기회를 평가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지표와 동시에 감축 목표를 공개하도록 하는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기후 변화와 관련된 재무 정보 공개를 위한 태스크포스)의 권고안은 환경요소(E)를 고려하여 기업의 장기적 가치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참고할 만한 지표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환경요소(E)와 관련하여 공시된 정보가 보다 의미 있고 유용하게 활용되기 위해서는 관련 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환경보호를 주관하는 환경부와의 긴밀한 협력체제를 구축하여 환경 관련 전문가들이 환경요소(E) 관련 공시 정보를 검증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현행의 교통·에너지·환경세법, 지방세법, 개별소비세법 등에 흩어져 있는 환경 관련 세제를 환경세법에서 일목요연하게 규정하고, 실질적으로 조세의 성격을 갖는 부담금을 환경세법에서 통합하여 입법할 필요가 있다. 환경세를 입법함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는 실증분석을 통하여 외부효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제거할 수 있는 수준의 세율을 설정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장기적인 환경 정책상 온실가스의 감축 목표를 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수준의 실질적인 세율을 우선적으로 결정하고, 초기 단계에서는 낮을 세율을 적용하다가 점진적으로 실질적인 세율로 상향하는 것이 기존의 법 체계를 환경세법으로 성공적으로 전환하는 현실적이고도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환경오염을 감소시키는 정책과 상응하는 과세제도를 구축하기 위해서 탄소의 함량이 높은 유연탄에 대하여는 높은 세율로, 탄소의 함량이 낮은 무연탄에 대하여는 낮은 세율로 과세하고, 자동차 주행에 대한 자동차세는 배기량 기준이 아닌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기준으로 차등하여 과세하여야 할 것이다. 환경세로 확보된 세수는 에너지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환경오염을 감소시키고 친환경산업을 육성할 수 있는 재원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고, 환경세의 역진성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에너지절약 시설과 환경보전 시설에 대하여 다른 일반 사업용 유형자산과 동일한 세액공제율을 적용하는 현행 규정으로는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환경을 보전하기 위한 정책효과를 거두기 어렵다고 생각한다. 에너지절약 시설과 환경보전 시설 등을 포함하는 ‘친환경 관련 투자액’의 범위에 대한 새로운 검토가 필요하고, ‘친환경 관련 투자액’에 대하여는 세액공제율을 상향 조정할 필요가 있다. 환경보전 시설에 대한 세액공제 규정은 개인의 경우 사업소득이 있는 경우로만 한정하고 있는데, 사업소득이 있지 아니한 개인의 경우에도 재활용 시설 등의 환경보전 시설을 설치할 수 있는 바, 세액공제를 사업소득에 대한 소득세로만 한정하는 규정은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친환경건축물인증 또는 에너지효율등급인증을 받은 건축물뿐만 아니라 ‘친환경 건축물 등’에 대하여는 가속감가상각을 할 수 있도록 법인세법과 소득세법의 감가상각 방법 규정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 ESG의 환경요소(E) 관련 조세지원제도를 설계함에 있어서 정보 공시기준과 연계하여 법인세법, 소득세법, 조세특례제한법 등을 규정하는 방안이 보다 효과적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ESG의 환경요소(E)에 초점을 맞추어 회계와 세법의 연관관계를 고려하여 정보공시기준 및 세법 규정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문제점을 분석함과 동시에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是指,只有考虑到企业对环保的责任、社会责任经营、健全的支配结构改善等透明的经营,才能实现可持续发展的意思,是不仅在国内,在全世界都成为热门话题的主题。esg的因素中,环境因素(e)社会因素(s)或支配结构因素(g)相比,相对容易量化及事后管理的特点,对环境因素(e)的量化和事后管理会计和税法层面考虑,侧面看他寻求解决办法似乎是可以的。本研究的目的是,就ESG的环境要素(E),研究并报告会计方面的信息公示标准和税法方面的相关法律规定,提出考虑会计和税法关系的制度性改善方案。从韩国的情况来看,目前ESG的环境要素(E)相关信息公示还没有义务化,因此企业正在自主进行公示,根据各种根据规定,用其他方法进行公示,因此环境要素(E)信息公示标准缺乏一贯性。有必要扩大信息公示义务对象,完善相关制度,以强化ESG信息公示。最好是研究公布ESG相关信息的方法和相关费用和效益,以更有效的方法一元化规定。为了从制度上义务化,提高公开的环境要素(E)相关信息的活用可能性,提高作为相关信息需求者的投资者接触必要信息的可能性是必需的。为了提高信息公示标准的比较可能性,考虑到有用的财务报告的前提——效益和费用,有必要对环境要素(E)信息公示项目制定具体的方针。这时相关信息用于投资决策的投资者征求意见,反映,能够最大化信息公示的效果,更多的投资者所需要的信息公示项目优先予以公示,逐步扩大其范围的方案,有必要考虑。政府的ESG政策可能会对企业的投资计划和考虑税制支援的企业的税收计划产生影响,因此,如果制定出可以在税法角度上灵活运用的环境要素(E)相关的详细指标,将成为实效性更高的资料。不是单纯地公示过去发生的事实,而是考虑将环境因素(E)相关的危险或机会因素等包括在内进行公示的方案。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评估与气候变化相关的风险和机遇,并公布减排目标和管理指标。“为公开与气候变化相关的财务信息的特别工作小组”的劝告案将成为考虑环境要素(E),评价企业长期价值的值得参考的指标。为了使与环境要素(E)相关的公示信息更加有意义和有用,制定出能够提高对相关信息的信赖性的方案也非常重要。可以考虑与主管环境保护的环境部建立紧密的合作体制,建立环境相关专家对环境要素(E)相关公示信息进行验证的系统。有必要在环境税法中一目了然地规定分散在现行的交通、能源、环境税法、地方税法、个别消费税法等的环境相关税制,并在环境税法中整合具有税收性质的负担金,进行立法。环境税立法的重要问题是通过实证分析,设定可以消除外部效果引起的社会费用的税率。我国的长期环境政策上设定温室气体的减排目标,并为了达到必要水平的实质性优先决定税率,在初期阶段,适用低税率,后来逐步上调到实质性的税率是现有的法律体系为环境税法转换成功的现实高度有效的方法。减少环境污染的政策和建立相应的课税制度是为了对碳的含量高的烟煤的高税率,碳含量较低的无烟煤对以低税率征税,对汽车行驶的汽车税排气量为标准,而是二氧化碳排放标准等级应征税的。确保环境税的税收应该用于开发能够提高能源效率的技术、减少环境污染、培育环保产业的财源,同时也有必要考虑缓和环境税的逆振性的方案。对于节能设施和环境保护设施,适用与其他一般事业用有形资产相同的税额扣除率的现行规定,很难取得有效使用能源和保护环境的政策效果。有必要对包括能源节约设施和环境保护设施等的“环保相关投资额”的范围进行新的研究,对“环保相关投资额”有必要上调税额扣除率。对环境保护设施的税额减免规定个人有事业收入的情况下只用不限量,有事业收入的可回收设施等,个人也可以设立环境保护设施,对事业收入的税金抵免所得税只限定的规定删除,才是明智之举。有必要修改法人税法和所得税法的折旧方法规定,不仅对获得环保建筑物认证或能源效率等级认证的建筑物,还可以对“环保建筑物等”进行加速折旧。在设计ESG的环境要素(E)相关税收支援制度时,我认为与信息公示标准相联系,规定法人税法、所得税法、税收特例限制法等的方案会更加有效。本研究着眼于ESG的环境要素(E),考虑到会计和税法的关联关系,综合研究了信息公示标准及税法规定,分析了问题点,同时提出了制度上的改善方案,因此认为具有很大的意义。
{"title":"A Study of the Improvement plans of related to Environmental Factors(E) of ESG - Focused on Information Disclosure and Tax Regulations -","authors":"Kyoung-Ha Kim, Yonghe Kim","doi":"10.18215/elvlp.27..202109.55","DOIUrl":"https://doi.org/10.18215/elvlp.27..202109.55","url":null,"abstract":"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는 기업의 친환경에 대한 책임, 사회적 책임 경영, 건전한 지배구조 개선 등 투명한 경영을 고려하여야 지속 가능한 발전을 할 수 있다는 의미로,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큰 화두가 되고 있는 주제이다. ESG의 요소 중 환경요소(E)는 사회요소(S)나 지배구조요소(G)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계량화 및 사후관리가 쉽다는 특징이 있고, 환경요소(E)에 대한 계량화 및 사후관리는 회계적 측면과 세법적 측면에서 고려하여 볼 때 그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ESG의 환경요소(E)와 관련하여 회계적 측면의 정보 공시기준과 세법적 측면의 관련 법 규정을 검토하여 보고, 회계와 세법의 연관관계를 고려한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 ESG의 환경요소(E) 관련 정보 공시가 의무화되어 있지 않은 단계여서 기업의 자율적인 공시가 이루어지고 있고, 여러 근거 규정에 따라 다른 방법으로 공시함에 따라 환경요소(E) 정보 공시기준의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다. 정보의 공시 의무대상을 확대하여 ESG 정보 공시를 강화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ESG 관련 정보를 공시하는 방법과 관련된 비용과 효익을 검토하여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일원화하여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도적으로 의무화하여 공시된 환경요소(E) 관련 정보의 활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련 정보의 수요자인 투자자들의 필요 정보에 대한 접근가능성을 높이는 것이 필수적일 것이다. 정보 공시기준의 비교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유용한 재무적 보고의 전제인 효익과 비용을 고려하여 환경요소(E) 정보 공시 항목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때 관련 정보를 투자의사결정에 활용하는 투자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반영함으로써 정보 공시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고, 보다 많은 투자자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 공시 항목을 우선적으로 공시하고 그 범위를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정부의 ESG 정책은 기업의 투자계획과 그에 따른 세제지원을 고려한 기업의 조세계획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세법적 측면에서 활용될 수 있는 환경요소(E) 관련 세부지표를 마련한다면 보다 실효성 높은 자료가 될 것이다. 단순히 과거에 발생한 사실을 공시하는 것이 아니라, 환경요소(E)와 관련된 위험 또는 기회 요소 등을 포함하여 공시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기후 변화와 관련된 위험 및 기회를 평가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지표와 동시에 감축 목표를 공개하도록 하는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기후 변화와 관련된 재무 정보 공개를 위한 태스크포스)의 권고안은 환경요소(E)를 고려하여 기업의 장기적 가치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참고할 만한 지표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환경요소(E)와 관련하여 공시된 정보가 보다 의미 있고 유용하게 활용되기 위해서는 관련 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환경보호를 주관하는 환경부와의 긴밀한 협력체제를 구축하여 환경 관련 전문가들이 환경요소(E) 관련 공시 정보를 검증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현행의 교통·에너지·환경세법, 지방세법, 개별소비세법 등에 흩어져 있는 환경 관련 세제를 환경세법에서 일목요연하게 규정하고, 실질적으로 조세의 성격을 갖는 부담금을 환경세법에서 통합하여 입법할 필요가 있다. 환경세를 입법함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는 실증분석을 통하여 외부효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제거할 수 있는 수준의 세율을 설정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장기적인 환경 정책상 온실가스의 감축 목표를 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수준의 실질적인 세율을 우선적으로 결정하고, 초기 단계에서는 낮을 세율을 적용하다가 점진적으로 실질적인 세율로 상향하는 것이 기존의 법 체계를 환경세법으로 성공적으로 전환하는 현실적이고도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환경오염을 감소시키는 정책과 상응하는 과세제도를 구축하기 위해서 탄소의 함량이 높은 유연탄에 대하여는 높은 세율로, 탄소의 함량이 낮은 무연탄에 대하여는 낮은 세율로 과세하고, 자동차 주행에 대한 자동차세는 배기량 기준이 아닌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기준으로 차등하여 과세하여야 할 것이다. 환경세로 확보된 세수는 에너지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환경오염을 감소시키고 친환경산업을 육성할 수 있는 재원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고, 환경세의 역진성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에너지절약 시설과 환경보전 시설에 대하여 다른 일반 사업용 유형자산과 동일한 세액공제율을 적용하는 현행 규정으로는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환경을 보전하기 위한 정책효과를 거두기 어렵다고 생각한다. 에너지절약 시설과 환경보전 시설 등을 포함하는 ‘친환경 관련 투자액’의 범위에 대한 새로운 검토가 필요하고, ‘친환경 관련 투자액’에 대하여는 세액공제율을 상향 조정할 필요가 있다. 환경보전 시설에 대한 세액공제 규정은 개인의 경우 사업소득이 있는 경우로만 한정하고 있는데, 사업소득이 있지 아니한 개인의 경우에도 재활용 시설 등의 환경보전 시설을 설치할 수 있는 바, 세액공제를 사업소득에 대한 소득세로만 한정하는 규정은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친환경건축물인증 또는 에너지효율등급인증을 받은 건축물뿐만 아니라 ‘친환경 건축물 등’에 대하여는 가속감가상각을 할 수 있도록 법인세법과 소득세법의 감가상각 방법 규정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 ESG의 환경요소(E) 관련 조세지원제도를 설계함에 있어서 정보 공시기준과 연계하여 법인세법, 소득세법, 조세특례제한법 등을 규정하는 방안이 보다 효과적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ESG의 환경요소(E)에 초점을 맞추어 회계와 세법의 연관관계를 고려하여 정보공시기준 및 세법 규정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문제점을 분석함과 동시에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PeriodicalId":39689,"journal":{"name":"Duke Environmental Law and Policy Forum","volume":"64 1","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1-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377027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Development direction of Animal Law in The Era of Chinese ecological civilization and economy 中国生态文明与经济时代动物法的发展方向
Q3 Social Sciences Pub Date : 2021-09-30 DOI: 10.18215/elvlp.27..202109.231
B. Guo
1978년부터 중국 경제발전의 핵심형태는 주로 산업경제였다. 동물법의 제정은 주로 동물과 관련된 산업경제의 발전을 촉진하였다. 이 시기의 중국 동물법은 산업경제의 발전을 촉진하였다. 그러나 자본을 중시하면 필연적으로 환경 경시, 노동력 경시가 생기고 이로 인해 환경오염, 사회적 갈등이 심화되는 등 산업경제의 모순은 피할 수 없는 것이다. 중국경제구조는 2015년부터 생태문명경제로의 전환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생태문명경제시기에 동물은 더는 산업경제의 원자재가 아니라 양호한 생태환경의 일부분인 것이다. 동물의 존재 자체가 생태문명의 경제적 가치이다. 하지만 현재 중국의 동물법규는 여전히 중국이 산업경제시대에 마련되었던 산업경제의 발전을 위한 것으로, 입법목적 역시 생태문명경제의 요구에 부합하지 않는다. 또한, 동물법 체계의 완전성을 갖추지 못하고 있으며 통일되고 명확한 동물법 이념이 없어 단지 기능적인 동물행정법에 머물고 있다. 또, 일부 동물 관련 법규범이 중국 문화와 충돌할 경우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중국의 통일된 동물기본법은 생태문명 경제 질서와 종사의 합법적 권익을 보호하며 생태 다양성과 생태평형의 수호를 이념으로 삼아야 한다. 그리고 동물 생명의 존엄에 대한 이념은 중국 생태문명 시기의 동물법이 추구해야 목적이 되어야 한다. 그 실천이념으로 동물복지에 관한 5가지의 자유가 농장동물, 실험동물, 반려동물, 동물원 동물 등 인간과 관계를 맺는 모든 동물에게 적용되어야 한다. 또한, 중국 생태문명경제시대 동물법의 기본원칙은 동물이 객관적으로 존재하며 존중받아야 함을 인정하는 동리심의 원칙, 동물이익 최소침해 원칙, 동물학대 금지의 원칙, 동물법 운용에 있어 국가, 지방자치단체, 시민단체, 일반시민 등이 동물의 이익 보호를 위해 협력해야 하는 협력협상의 원칙을 들 수 있다. 위와 같은 동물기본법의 이념, 원칙 등이 반영된 중국 생태문명경제 시대의 동물법은 인간과 동물의 조화로운 공존을 이루는 사회를 이룰 수 있다.
从1978年开始,中国经济发展的核心形态主要是产业经济。动物法的制定主要促进了与动物相关的产业经济的发展。这一时期的中国动物法促进了产业经济的发展。但是,如果重视资本,必然会产生对环境的轻视、对劳动力的轻视,从而导致环境污染、社会矛盾深化等产业经济的矛盾是不可避免的。中国经济结构从2015年开始探索向生态文明经济转型。在生态文明经济时期,动物不再是产业经济的原材料,而是良好生态环境的一部分。动物的存在本身就是生态文明的经济价值。但是,目前中国的动物法规仍然是中国产业经济时代为发展产业经济而制定的,立法目的也不符合生态文明经济的要求。另外,动物法体系不具备完整性,没有统一明确的动物法理念,只停留在功能性的动物行政法上。另外,部分动物相关法规犯与中国文化发生冲突时,也会发生难以适用的问题。中国统一的动物基本法要保护生态文明经济秩序和从业的合法权益,以维护生态多样性和生态平衡为理念。而且,动物生命尊严的理念应该成为中国生态文明时期的动物法追求的目的。作为其实践理念,有关动物福利的5种自由应该适用于农场动物、实验动物、伴侣动物、动物园动物等与人类有关系的所有动物。此外,中国生态文明经济时代动物法的基本原则是客观存在,承认应该受到尊重,东里审议原则,动物利益侵害最小原则,禁止虐待动物的原则,动物法运用在国家、地方自治团体、市民团体、普通市民等为了保护这种动物的利益合作,要合作可以谈判的原则。反映上述动物基本法的理念、原则等的中国生态文明经济时代的动物法可以形成人类和动物和谐共存的社会。
{"title":"Development direction of Animal Law in The Era of Chinese ecological civilization and economy","authors":"B. Guo","doi":"10.18215/elvlp.27..202109.231","DOIUrl":"https://doi.org/10.18215/elvlp.27..202109.231","url":null,"abstract":"1978년부터 중국 경제발전의 핵심형태는 주로 산업경제였다. 동물법의 제정은 주로 동물과 관련된 산업경제의 발전을 촉진하였다. 이 시기의 중국 동물법은 산업경제의 발전을 촉진하였다. 그러나 자본을 중시하면 필연적으로 환경 경시, 노동력 경시가 생기고 이로 인해 환경오염, 사회적 갈등이 심화되는 등 산업경제의 모순은 피할 수 없는 것이다. 중국경제구조는 2015년부터 생태문명경제로의 전환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생태문명경제시기에 동물은 더는 산업경제의 원자재가 아니라 양호한 생태환경의 일부분인 것이다. 동물의 존재 자체가 생태문명의 경제적 가치이다. 하지만 현재 중국의 동물법규는 여전히 중국이 산업경제시대에 마련되었던 산업경제의 발전을 위한 것으로, 입법목적 역시 생태문명경제의 요구에 부합하지 않는다. 또한, 동물법 체계의 완전성을 갖추지 못하고 있으며 통일되고 명확한 동물법 이념이 없어 단지 기능적인 동물행정법에 머물고 있다. 또, 일부 동물 관련 법규범이 중국 문화와 충돌할 경우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중국의 통일된 동물기본법은 생태문명 경제 질서와 종사의 합법적 권익을 보호하며 생태 다양성과 생태평형의 수호를 이념으로 삼아야 한다. 그리고 동물 생명의 존엄에 대한 이념은 중국 생태문명 시기의 동물법이 추구해야 목적이 되어야 한다. 그 실천이념으로 동물복지에 관한 5가지의 자유가 농장동물, 실험동물, 반려동물, 동물원 동물 등 인간과 관계를 맺는 모든 동물에게 적용되어야 한다. 또한, 중국 생태문명경제시대 동물법의 기본원칙은 동물이 객관적으로 존재하며 존중받아야 함을 인정하는 동리심의 원칙, 동물이익 최소침해 원칙, 동물학대 금지의 원칙, 동물법 운용에 있어 국가, 지방자치단체, 시민단체, 일반시민 등이 동물의 이익 보호를 위해 협력해야 하는 협력협상의 원칙을 들 수 있다. 위와 같은 동물기본법의 이념, 원칙 등이 반영된 중국 생태문명경제 시대의 동물법은 인간과 동물의 조화로운 공존을 이루는 사회를 이룰 수 있다.","PeriodicalId":39689,"journal":{"name":"Duke Environmental Law and Policy Forum","volume":"37 1","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1-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908455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Study on Improvement direction for National Biodiversity Strategies and Action Plan and Indicators according to CBD Post-2020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基于CBD 2020年后全球生物多样性框架的国家生物多样性战略、行动计划和指标改进方向研究
Q3 Social Sciences Pub Date : 2021-09-30 DOI: 10.18215/elvlp.27..202109.93
Eun-Jee Cha, K. Koo, Da-bin Kim
{"title":"A Study on Improvement direction for National Biodiversity Strategies and Action Plan and Indicators according to CBD Post-2020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authors":"Eun-Jee Cha, K. Koo, Da-bin Kim","doi":"10.18215/elvlp.27..202109.93","DOIUrl":"https://doi.org/10.18215/elvlp.27..202109.93","url":null,"abstract":"","PeriodicalId":39689,"journal":{"name":"Duke Environmental Law and Policy Forum","volume":"61 3 1","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1-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746217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期刊
Duke Environmental Law and Policy Forum
全部 Acc. Chem. Res. ACS Applied Bio Materials ACS Appl. Electron. Mater. ACS Appl. Energy Mater. ACS Appl. Mater. Interfaces ACS Appl. Nano Mater. ACS Appl. Polym. Mater. ACS BIOMATER-SCI ENG ACS Catal. ACS Cent. Sci. ACS Chem. Biol. ACS Chemical Health & Safety ACS Chem. Neurosci. ACS Comb. Sci. ACS Earth Space Chem. ACS Energy Lett. ACS Infect. Dis. ACS Macro Lett. ACS Mater. Lett. ACS Med. Chem. Lett. ACS Nano ACS Omega ACS Photonics ACS Sens. ACS Sustainable Chem. Eng. ACS Synth. Biol. Anal. Chem. BIOCHEMISTRY-US Bioconjugate Chem. BIOMACROMOLECULES Chem. Res. Toxicol. Chem. Rev. Chem. Mater. CRYST GROWTH DES ENERG FUEL Environ. Sci. Technol. Environ. Sci. Technol. Lett. Eur. J. Inorg. Chem. IND ENG CHEM RES Inorg. Chem. J. Agric. Food. Chem. J. Chem. Eng. Data J. Chem. Educ. J. Chem. Inf. Model. J. Chem. Theory Comput. J. Med. Chem. J. Nat. Prod. J PROTEOME RES J. Am. Chem. Soc. LANGMUIR MACROMOLECULES Mol. Pharmaceutics Nano Lett. Org. Lett. ORG PROCESS RES DEV ORGANOMETALLICS J. Org. Chem. J. Phys. Chem. J. Phys. Chem. A J. Phys. Chem. B J. Phys. Chem. C J. Phys. Chem. Lett. Analyst Anal. Methods Biomater. Sci. Catal. Sci. Technol. Chem. Commun. Chem. Soc. Rev. CHEM EDUC RES PRACT CRYSTENGCOMM Dalton Trans. Energy Environ. Sci. ENVIRON SCI-NANO ENVIRON SCI-PROC IMP ENVIRON SCI-WAT RES Faraday Discuss. Food Funct. Green Chem. Inorg. Chem. Front. Integr. Biol. J. Anal. At. Spectrom. J. Mater. Chem. A J. Mater. Chem. B J. Mater. Chem. C Lab Chip Mater. Chem. Front. Mater. Horiz. MEDCHEMCOMM Metallomics Mol. Biosyst. Mol. Syst. Des. Eng. Nanoscale Nanoscale Horiz. Nat. Prod. Rep. New J. Chem. Org. Biomol. Chem. Org. Chem. Front. PHOTOCH PHOTOBIO SCI PCCP Polym. Chem.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0
微信
客服QQ
Book学术公众号 扫码关注我们
反馈
×
意见反馈
请填写您的意见或建议
请填写您的手机或邮箱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现在去查看 取消
×
提示
确定
Book学术官方微信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
文献互助 智能选刊 最新文献 互助须知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Book学术 All rights reserved.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京ICP备2023020795号-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