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 Date : 2019-02-01DOI: 10.3807/KJOP.2019.30.1.001
In Cheol Seok, Chang Min Lee, J. Hahn
휴대용 대공유도 미사일(Man-Portable Air Defense System)은 플룸의 중적외선 신호를 추적하는 적 항공기의 대응무기체계이다. 안개 조건에서 입자들에 의한 다중 산란현상은 중적외선 파장에서의 투과율과 휴대용 대공유도 미사일 탐지성능에 영향을 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다양한 안개조건과 플룸의 특성에 따른 휴...
便携式对空制导导弹(Man-Portable Air Defense System)是追踪flum中红外线信号的敌方飞机的武器系统。在雾条件下,粒子的多重散射现象会对中红外线波长的穿透率和便携式对空诱导导弹的探测性能产生影响。因此本研究根据雾的不同条件和雾的特性…
{"title":"Theoretical Analysis of the Lock-on Range of a Man-portable Air Defense System Under Foggy Conditions with the Radiative-transfer Equation","authors":"In Cheol Seok, Chang Min Lee, J. Hahn","doi":"10.3807/KJOP.2019.30.1.001","DOIUrl":"https://doi.org/10.3807/KJOP.2019.30.1.001","url":null,"abstract":"휴대용 대공유도 미사일(Man-Portable Air Defense System)은 플룸의 중적외선 신호를 추적하는 적 항공기의 대응무기체계이다. 안개 조건에서 입자들에 의한 다중 산란현상은 중적외선 파장에서의 투과율과 휴대용 대공유도 미사일 탐지성능에 영향을 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다양한 안개조건과 플룸의 특성에 따른 휴...","PeriodicalId":4246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volume":"30 1","pages":"1-7"},"PeriodicalIF":0.1,"publicationDate":"2019-0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4154764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9-01-01DOI: 10.3807/KJOP.2019.30.4.159
S. Yang, S. Y. Kim
{"title":"Birefringence Analysis of a Uniaxially Anisotropic Substrate Based on the Trajectory of the Transmission Ellipsometric Pseudoconstant in Polar Coordinates","authors":"S. Yang, S. Y. Kim","doi":"10.3807/KJOP.2019.30.4.159","DOIUrl":"https://doi.org/10.3807/KJOP.2019.30.4.159","url":null,"abstract":"","PeriodicalId":4246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volume":"30 1","pages":"159-166"},"PeriodicalIF":0.1,"publicationDate":"2019-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016064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9-01-01DOI: 10.3807/KJOP.2019.30.5.197
Seo-Young Kim, Han-Yul Lee, Won-Kyoun Jun, Dong-Hwa Kang, Ye-Ji Jo, M. Jung
{"title":"Reflector Design to Improve the Uniformity of an Irradiated Area Using a Xenon Flash Lamp","authors":"Seo-Young Kim, Han-Yul Lee, Won-Kyoun Jun, Dong-Hwa Kang, Ye-Ji Jo, M. Jung","doi":"10.3807/KJOP.2019.30.5.197","DOIUrl":"https://doi.org/10.3807/KJOP.2019.30.5.197","url":null,"abstract":"","PeriodicalId":4246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volume":"80 1","pages":"197-203"},"PeriodicalIF":0.1,"publicationDate":"2019-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016081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9-01-01DOI: 10.3807/KJOP.2019.30.4.154
H. Nam, Seung Kwan Kim, I. Bae, Young‐Jun Choi, J. Ko
{"title":"Performance Evaluation of Mid-IR Spectrometers by Using a Mid-IR Tunable Optical Parametric Oscillator","authors":"H. Nam, Seung Kwan Kim, I. Bae, Young‐Jun Choi, J. Ko","doi":"10.3807/KJOP.2019.30.4.154","DOIUrl":"https://doi.org/10.3807/KJOP.2019.30.4.154","url":null,"abstract":"","PeriodicalId":4246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volume":"30 1","pages":"154-158"},"PeriodicalIF":0.1,"publicationDate":"2019-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016063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9-01-01DOI: 10.3807/KJOP.2019.30.1.008
J. Shim, Sung‐Chan Park
헤드램프는 야간운행 중 운전자의 가시성을 확보시켜 도로 위 상황을 인식할 수 있게 해주는 차량의 기본적인 조명 및 안전장치이다. 헤드램프는 운전자뿐만 아니라 대향차의 시야 확보를 위하여 그림 1과 표 1처럼 각 국가에서 정한 규정을 만족하는 빔 패턴을 유지해야 하며, 그림 2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헤드램프가 사용되고 있다. 최근 차량의 디자인을 고려하여 그림 2(a)의 반사형 헤드램프보다는, 그림 2(b)의 단일렌즈를 이용한 프로젝터형 헤드램프를 많이 사용한다. 이러한 프로젝터형 헤드램프에 의해 형성된 빔 패턴의 cut-off line에는 렌즈 재질의 특성으로 인해 색수차가 발생하고 이 는 운전자의 가시적 만족감을 저해할 뿐 아니라 대향차에게 시각적 불편함을 발생시킨다. 헤드램프의 색수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최적의 설계파장을 정하는 연구와 쉴드의 모양을 페쯔발 면 형태로 변형시켜 렌 즈의 초점과 쉴드 위치를 모든 화각에서 일치시켜 적색 광선 과 청색 광선이 동일한 광학특성을 갖게 하여 마치 몰색화 렌즈와 같은 효과를 얻는 연구가 발표되었다. 또한 렌즈 의 표면에 일정한 형상을 새겨서 빛을 분산시키고, 이를 이 Correction and Evaluation for Color Aberration on the Cut-off Line of a Vehicle Headlamp
前照灯是在夜间行驶中,确保司机的可视性,能够识别道路上状况的车辆的基本照明及安全装置。前照灯不仅是司机,为了确保对向车的视野,要维持像图1和表1一样满足各国规定的主梁模式,使用图2所示的多种形态的前照灯。考虑到最近车辆的设计,比起图2(a)的反射型前照灯,更多地使用图2(b)的单镜头投影仪型前照灯。这种投影仪型前照灯形成的光束图案的cut-off line,因镜片材质的特性而产生色差,这不仅会阻碍司机的可视性满足感,还会给对乡车带来视觉上的不便。前照灯为了最大程度的色差,最佳设计波长制定研究和希尔德佩茨脚的形状,形式的焦点和什·伦斯菲尔德改变位置,所有在华角一致,使红色和蓝色光线光线同样的光学特性,就像不知道色化镜头效果的研究发表了。并且在透镜的表面上刻上一定的形状来分散光,使其Correction and Evaluation for Color Aberration on the Cut-off Line of a Vehicle Headlamp
{"title":"Correction and Evaluation for Color Aberration on the Cut-off Line of a Vehicle Headlamp","authors":"J. Shim, Sung‐Chan Park","doi":"10.3807/KJOP.2019.30.1.008","DOIUrl":"https://doi.org/10.3807/KJOP.2019.30.1.008","url":null,"abstract":"헤드램프는 야간운행 중 운전자의 가시성을 확보시켜 도로 위 상황을 인식할 수 있게 해주는 차량의 기본적인 조명 및 안전장치이다. 헤드램프는 운전자뿐만 아니라 대향차의 시야 확보를 위하여 그림 1과 표 1처럼 각 국가에서 정한 규정을 만족하는 빔 패턴을 유지해야 하며, 그림 2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헤드램프가 사용되고 있다. 최근 차량의 디자인을 고려하여 그림 2(a)의 반사형 헤드램프보다는, 그림 2(b)의 단일렌즈를 이용한 프로젝터형 헤드램프를 많이 사용한다. 이러한 프로젝터형 헤드램프에 의해 형성된 빔 패턴의 cut-off line에는 렌즈 재질의 특성으로 인해 색수차가 발생하고 이 는 운전자의 가시적 만족감을 저해할 뿐 아니라 대향차에게 시각적 불편함을 발생시킨다. 헤드램프의 색수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최적의 설계파장을 정하는 연구와 쉴드의 모양을 페쯔발 면 형태로 변형시켜 렌 즈의 초점과 쉴드 위치를 모든 화각에서 일치시켜 적색 광선 과 청색 광선이 동일한 광학특성을 갖게 하여 마치 몰색화 렌즈와 같은 효과를 얻는 연구가 발표되었다. 또한 렌즈 의 표면에 일정한 형상을 새겨서 빛을 분산시키고, 이를 이 Correction and Evaluation for Color Aberration on the Cut-off Line of a Vehicle Headlamp","PeriodicalId":4246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volume":"30 1","pages":"8-14"},"PeriodicalIF":0.1,"publicationDate":"2019-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016014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9-01-01DOI: 10.3807/KJOP.2019.30.2.048
Dongyel Kang
{"title":"Signal-to-noise Ratio in Time- and Frequency-domain Photoacoustic Measurements by Different Frequency Filtering","authors":"Dongyel Kang","doi":"10.3807/KJOP.2019.30.2.048","DOIUrl":"https://doi.org/10.3807/KJOP.2019.30.2.048","url":null,"abstract":"","PeriodicalId":4246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volume":"30 1","pages":"48-58"},"PeriodicalIF":0.1,"publicationDate":"2019-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016023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9-01-01DOI: 10.3807/KJOP.2019.30.6.230
Kwanyong Lee, Seung-Rae Cho, Chang-Hee Lee
오늘날 스마트폰 및 통신 기술의 빠른 발달과 보급으로 많 은 사람들이 자유롭게 메시지, 음성 통화, 영상 등을 네트워 크를 활용하여 즐기고 있으며 VoIP (voice over IP), 실시간 스트리밍 영상(live streaming video),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등 다양한 무선 통신 컨텐 츠 및 환경이 새롭게 생겨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실내용 무 선 통신에 요구되는 대역폭은 빠른 추세로 증가하여 이를 만 족하기 위한 새로운 실내용 초고속 무선 통신 기술의 필요성 이 대두되었다. 2024년의 세계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은 136 Exabyte 수준으로 2018년의 데이터 트래픽보다 약 5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현재 떠오르는 유망한 미래 무선 통신 수단은 무선 광 통 신이다. 무선 광 통신은 Wi-Fi, 4G 등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통신과 마찬가지로 전자기파를 사용하여 데 이터를 송수신하지만, 가시광 영역 혹은 적외선 영역 등의 파장을 사용하므로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첫째, 주파 수에 대한 규제 혹은 라이선스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거대 한 대역폭을 이용하여 초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둘째, Searching and Autoalignment Method for Indoor Free-space Optical Communication
如今,随着智能手机和通信技术的快速发展和普及,很多人可以自由地利用网络享受信息、语音通话、视频等,包括VoIP (voice over IP)、实时流媒体视频(live streaming video)、物联网(internet of things)、新出现了虚拟现实(virtual reality)等多种无线通信内容及环境。因此,室内用无线通信所需要的带宽以快速增加的趋势增加,因此需要新的室内用超高速无线通信技术来满足这一要求。2024年的世界移动数据流量将达到136 Exabyte,比2018年的数据流量增加5倍以上。目前浮出水面的未来无线通信手段是无线光通信。无线光通信与Wi-Fi、4G等无线频率(radio frequency, RF)通信一样,使用电磁波收发数据,但由于使用可见光或红外线等波长,具有以下优点。第一,它不需要对频率进行限制或授权,它可以利用巨大的带宽进行超高速数据传输。第二,搜索与自动化的方法是Indoor Free-space Optical Communication
{"title":"Searching and Autoalignment Method for Indoor Free-space Optical Communication","authors":"Kwanyong Lee, Seung-Rae Cho, Chang-Hee Lee","doi":"10.3807/KJOP.2019.30.6.230","DOIUrl":"https://doi.org/10.3807/KJOP.2019.30.6.230","url":null,"abstract":"오늘날 스마트폰 및 통신 기술의 빠른 발달과 보급으로 많 은 사람들이 자유롭게 메시지, 음성 통화, 영상 등을 네트워 크를 활용하여 즐기고 있으며 VoIP (voice over IP), 실시간 스트리밍 영상(live streaming video),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등 다양한 무선 통신 컨텐 츠 및 환경이 새롭게 생겨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실내용 무 선 통신에 요구되는 대역폭은 빠른 추세로 증가하여 이를 만 족하기 위한 새로운 실내용 초고속 무선 통신 기술의 필요성 이 대두되었다. 2024년의 세계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은 136 Exabyte 수준으로 2018년의 데이터 트래픽보다 약 5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현재 떠오르는 유망한 미래 무선 통신 수단은 무선 광 통 신이다. 무선 광 통신은 Wi-Fi, 4G 등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통신과 마찬가지로 전자기파를 사용하여 데 이터를 송수신하지만, 가시광 영역 혹은 적외선 영역 등의 파장을 사용하므로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첫째, 주파 수에 대한 규제 혹은 라이선스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거대 한 대역폭을 이용하여 초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둘째, Searching and Autoalignment Method for Indoor Free-space Optical Communication","PeriodicalId":4246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volume":"30 1","pages":"230-236"},"PeriodicalIF":0.1,"publicationDate":"2019-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016049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9-01-01DOI: 10.3807/KJOP.2019.30.5.187
Sung Hun Lee, K. H. Kim, Hwan-seok Yang, Seung-Yong Cho, S. Kim, M. Park, Jung Hwan Lee
In this paper a pump combiner, a key component of a high-power fiber laser, was fabricated, and its output characteristics measured using a high-power performance measuring instrument. The (18+1)×1 pump combiner consists of an optical-fiber bundle of one signal fiber and 18 pump fibers, an output optical fiber, and housing. The signal and output fibers were fabricated using polarization-maintaining optical fiber. By measuring the loss of signal light along the tapering length of the optical-fiber bundle, the tapering length was optimized to 18 mm. Signal-light insertion loss, pump-light transmittance, and polarization extinction ratio of the fabricated (18+1)×1 pump combiner were measured as 6.5%, 98.07%, and 18.0 dB respectively.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pump combiner, at a high power of 2 kW using 18 pump laser diodes, was measured and analyzed using a thermal-imaging camera.
{"title":"Fabrication and Output Characteristics of an (18+1)×1 Polarization-maintaining Pump and Signal Combiner for a High-power Fiber Laser","authors":"Sung Hun Lee, K. H. Kim, Hwan-seok Yang, Seung-Yong Cho, S. Kim, M. Park, Jung Hwan Lee","doi":"10.3807/KJOP.2019.30.5.187","DOIUrl":"https://doi.org/10.3807/KJOP.2019.30.5.187","url":null,"abstract":"In this paper a pump combiner, a key component of a high-power fiber laser, was fabricated, and its output characteristics measured using a high-power performance measuring instrument. The (18+1)×1 pump combiner consists of an optical-fiber bundle of one signal fiber and 18 pump fibers, an output optical fiber, and housing. The signal and output fibers were fabricated using polarization-maintaining optical fiber. By measuring the loss of signal light along the tapering length of the optical-fiber bundle, the tapering length was optimized to 18 mm. Signal-light insertion loss, pump-light transmittance, and polarization extinction ratio of the fabricated (18+1)×1 pump combiner were measured as 6.5%, 98.07%, and 18.0 dB respectively.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pump combiner, at a high power of 2 kW using 18 pump laser diodes, was measured and analyzed using a thermal-imaging camera.","PeriodicalId":4246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volume":"30 1","pages":"187-192"},"PeriodicalIF":0.1,"publicationDate":"2019-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016075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9-01-01DOI: 10.3807/KJOP.2019.30.3.087
Dung T. Ha, V. Mai, Hoon Kim
대기를 매개로 사용하는 광학 시스템의 경우 대기의 유동 적인 움직임에 그 성능이 크게 좌우된다. 공기의 움직임과 밀도의 변화는 미세한 굴절률의 변화를 야기하므로 대기를 통과하는 빛의 전파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대기를 전파하는 빛 신호는 빛살 원더링(beam wandering)과 신틸레 이션(scintillation) 등에 의하여 전파 경로가 변화하거나 공간 ‧ 시간적으로 빛의 세기가 변한다. 이러한 현상은 무선 광통신 시스템에서 수신되는 빛의 세기를 감소시키므로 전송 성능을 열화시킨다. 또한 천문학 및 원거리 광학적 이미지 센서에 서 관측 또는 감지하고자 하는 상의 선명도를 떨어뜨린다. 대기 채널은 물리적으로 매우 길고 클 뿐만 아니라 지역마 다 시간마다 대기의 특성이 변하므로 대기를 매개로 하는 광 학 시스템의 특성을 실험을 통하여 연구하고 평가하기가 매 우 까다롭다. 또한 대기 채널을 임의로 제어할 수 없으므로 실험 결과가 다양한 대기 채널의 특성을 나타낸다고 볼 수도 없다. 따라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성능 특성이 널리 활용된다. 컴퓨터의 강력한 계산력을 활용하여 대기 난류를 모사함으로써 실제 실험을 대신하여 대기를 통과하는 빛 신 호의 왜곡을 분석할 수 있다. 대기 채널의 굴절률 변화가 야 기하는 빛 신호의 위상 변화는 위상판(phase screen)을 활용 하여 모사할 수 있다. 위상판은 대기에 의한 빛 신호의 랜덤 (random) 위상변화를 압축해 놓은 판으로서, 5 km의 대기 채 Comparison of Phase-Screen-Generation Methods for Simulating the Effects of Atmospheric Turbulence
{"title":"Comparison of Phase-Screen-Generation Methods for Simulating the Effects of Atmospheric Turbulence","authors":"Dung T. Ha, V. Mai, Hoon Kim","doi":"10.3807/KJOP.2019.30.3.087","DOIUrl":"https://doi.org/10.3807/KJOP.2019.30.3.087","url":null,"abstract":"대기를 매개로 사용하는 광학 시스템의 경우 대기의 유동 적인 움직임에 그 성능이 크게 좌우된다. 공기의 움직임과 밀도의 변화는 미세한 굴절률의 변화를 야기하므로 대기를 통과하는 빛의 전파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대기를 전파하는 빛 신호는 빛살 원더링(beam wandering)과 신틸레 이션(scintillation) 등에 의하여 전파 경로가 변화하거나 공간 ‧ 시간적으로 빛의 세기가 변한다. 이러한 현상은 무선 광통신 시스템에서 수신되는 빛의 세기를 감소시키므로 전송 성능을 열화시킨다. 또한 천문학 및 원거리 광학적 이미지 센서에 서 관측 또는 감지하고자 하는 상의 선명도를 떨어뜨린다. 대기 채널은 물리적으로 매우 길고 클 뿐만 아니라 지역마 다 시간마다 대기의 특성이 변하므로 대기를 매개로 하는 광 학 시스템의 특성을 실험을 통하여 연구하고 평가하기가 매 우 까다롭다. 또한 대기 채널을 임의로 제어할 수 없으므로 실험 결과가 다양한 대기 채널의 특성을 나타낸다고 볼 수도 없다. 따라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성능 특성이 널리 활용된다. 컴퓨터의 강력한 계산력을 활용하여 대기 난류를 모사함으로써 실제 실험을 대신하여 대기를 통과하는 빛 신 호의 왜곡을 분석할 수 있다. 대기 채널의 굴절률 변화가 야 기하는 빛 신호의 위상 변화는 위상판(phase screen)을 활용 하여 모사할 수 있다. 위상판은 대기에 의한 빛 신호의 랜덤 (random) 위상변화를 압축해 놓은 판으로서, 5 km의 대기 채 Comparison of Phase-Screen-Generation Methods for Simulating the Effects of Atmospheric Turbulence","PeriodicalId":4246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volume":"30 1","pages":"87-93"},"PeriodicalIF":0.1,"publicationDate":"2019-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016052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9-01-01DOI: 10.3807/KJOP.2019.30.4.146
L. J. Su, Jo Yeji, 이현화, Kong Mi Seon, Kang Donghwa, Jung Mee Suk
exposure system
最近,为实现电子产品的小型化及高性能,需要内置的半导体及PCB的高集成化,因此,对PCB、PDP、主帧等微细模式的研究非常活跃。为了半导体、PCB的小型化及固执化,有必要缩小构成芯片的单位元件的大小,并将电路模式进行微型化。虽然有多种体现微细图案的方法,但其中受photo lithography工程的影响较大。光老化光是在覆盖半导体晶片表面的薄感光性物质上转录口罩图案的工程。在这样的工程中,为了半导体的微细工程化,正在向提高老光装备的海力,将线幅最小化的方向开发光源。特别是光源的波长越短,分辨率就越高,可以形成细微的电路模式,因此为了半导体的固执化,需要UV (ultra violet)等短波长的光源。基本上,光老化有两种方法,一种是图像打印,另一种是投影打印。其中,影像印刷分为直接接触口罩和晶片的接触印刷和非常接近的近距离印刷。其中近距离印刷在口罩和晶片之间的物理A Study of Lens Design Technique for Proximity Exposure Using A UVA LED,如图1所示
{"title":"A Study of Lens Design Technique for Proximity Exposure Using a UVA LED","authors":"L. J. Su, Jo Yeji, 이현화, Kong Mi Seon, Kang Donghwa, Jung Mee Suk","doi":"10.3807/KJOP.2019.30.4.146","DOIUrl":"https://doi.org/10.3807/KJOP.2019.30.4.146","url":null,"abstract":"exposure system","PeriodicalId":4246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volume":"30 1","pages":"146-153"},"PeriodicalIF":0.1,"publicationDate":"2019-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016056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