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 Date : 2023-09-30DOI: 10.22905/kaopqj.2023.57.3.6
Junewoo Kim, Young-Jin Ahn
이 논문은 각종 공간개발 사업의 이념적 의도와 그 수행 및 추진 결과에 대한 유형화를 제시하고, 이러한 유형화에 해당하는 국내외 사례들을 발굴하여 그 의미를 체계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에 싱가포르의 도시화는 공간개발 계획대로 진행되어왔으며, 이 작은 도시국가는 일반적 정책이 아니라 진정한 의도로서 도시개발 계획에 추진하고 그 결과는 의도한 바로 대로 달성하였는데, 항상 성공적으로 평가되어 온 공공주택의 개발과 보급 사업이 그 대표적 예이다. 하지만, 양호한 구상을 수행하고 건실하게 추진하는 것이 항상 계획한 결과를 가져오지 않는 경우도 존재하는데, 미국의 도시재생 사업이 이를 잘 나타내어 준다. 현실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것은 정치 사회적 엘리트 집단의 사적 이해관계를 반영하는 이른바 거대사업으로, 이들 사업은 일반적으로 실패로 귀결되고 있다. 그리고 우리는 각종 공간개발 및 지역개발 사업이나 정책의 공식적 의도와 실제 의도 간의 불일치 및 공식적 달성 목표와 실제 결과 간의 불일치와 관련된 유형에 관한 명확한 사례를 제시하기 어려운 경우, 논리적 추론을 행하고자 하는데, 이러한 고찰은 복잡한 공간개발 사업의 실상을 살펴보게 하고, 우리에게 공간개발 이념과 결과에 대해 깊이 있게 고찰할 바를 제시해 준다.
{"title":"Ideology and Space: Logical Inferences on Intentions and Consequences of Spatial Ideology","authors":"Junewoo Kim, Young-Jin Ahn","doi":"10.22905/kaopqj.2023.57.3.6","DOIUrl":"https://doi.org/10.22905/kaopqj.2023.57.3.6","url":null,"abstract":"이 논문은 각종 공간개발 사업의 이념적 의도와 그 수행 및 추진 결과에 대한 유형화를 제시하고, 이러한 유형화에 해당하는 국내외 사례들을 발굴하여 그 의미를 체계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에 싱가포르의 도시화는 공간개발 계획대로 진행되어왔으며, 이 작은 도시국가는 일반적 정책이 아니라 진정한 의도로서 도시개발 계획에 추진하고 그 결과는 의도한 바로 대로 달성하였는데, 항상 성공적으로 평가되어 온 공공주택의 개발과 보급 사업이 그 대표적 예이다. 하지만, 양호한 구상을 수행하고 건실하게 추진하는 것이 항상 계획한 결과를 가져오지 않는 경우도 존재하는데, 미국의 도시재생 사업이 이를 잘 나타내어 준다. 현실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것은 정치 사회적 엘리트 집단의 사적 이해관계를 반영하는 이른바 거대사업으로, 이들 사업은 일반적으로 실패로 귀결되고 있다. 그리고 우리는 각종 공간개발 및 지역개발 사업이나 정책의 공식적 의도와 실제 의도 간의 불일치 및 공식적 달성 목표와 실제 결과 간의 불일치와 관련된 유형에 관한 명확한 사례를 제시하기 어려운 경우, 논리적 추론을 행하고자 하는데, 이러한 고찰은 복잡한 공간개발 사업의 실상을 살펴보게 하고, 우리에게 공간개발 이념과 결과에 대해 깊이 있게 고찰할 바를 제시해 준다.","PeriodicalId":428210,"journal":{"name":"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volume":"4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500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09-30DOI: 10.22905/kaopqj.2023.57.3.2
Hai-Gyong Kim, Se-Rin Park
일제강점기 취운정 일대와 삼청동 계곡은 북부공원으로 불리며 공원 조성 노력이 있었다. 일제강점기 두 공간의 변천 내용 분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취운정은 정자가 아닌 지명(地名)으로 일대는 관인구락원으로 사용되었다. 둘째, 취운정 내 건물은 도서관으로 사용되었으나, 1928년 부지 매각으로 일대는 사유화되었다. 셋째, 일제강점기 공원 경험은 경성에서 일본인 주거지인 남쪽과 조선인 주거지인 북쪽에 차별이 있었다. 넷째, 삼청공원은 1934년 공원으로 지정되었고, 1940년 법적인 지위를 확보했다. 다섯째, 내재적 요인 중 부지가 국유지인 삼청동 일대는 근대공원 조성에 유리했다. 여섯째, 외재적 요인 중 관의 공원 조성의지가 크게 작용했다.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근대공원 성립 배경을 살펴본 것으로 의의가 있다.
{"title":"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Demolition of Gyeongseong Bukbu Park in Japanese Colonial Era","authors":"Hai-Gyong Kim, Se-Rin Park","doi":"10.22905/kaopqj.2023.57.3.2","DOIUrl":"https://doi.org/10.22905/kaopqj.2023.57.3.2","url":null,"abstract":"일제강점기 취운정 일대와 삼청동 계곡은 북부공원으로 불리며 공원 조성 노력이 있었다. 일제강점기 두 공간의 변천 내용 분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취운정은 정자가 아닌 지명(地名)으로 일대는 관인구락원으로 사용되었다. 둘째, 취운정 내 건물은 도서관으로 사용되었으나, 1928년 부지 매각으로 일대는 사유화되었다. 셋째, 일제강점기 공원 경험은 경성에서 일본인 주거지인 남쪽과 조선인 주거지인 북쪽에 차별이 있었다. 넷째, 삼청공원은 1934년 공원으로 지정되었고, 1940년 법적인 지위를 확보했다. 다섯째, 내재적 요인 중 부지가 국유지인 삼청동 일대는 근대공원 조성에 유리했다. 여섯째, 외재적 요인 중 관의 공원 조성의지가 크게 작용했다.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근대공원 성립 배경을 살펴본 것으로 의의가 있다.","PeriodicalId":428210,"journal":{"name":"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volume":"1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500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09-30DOI: 10.22905/kaopqj.2023.57.3.4
Nam-Cheol Moon
본 연구는 한국GM 군산공장을 사례로 다국적 기업의 공장폐쇄와 실직노동자의 지리적·산업적 이동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한국GM 군산공장 폐쇄로 실직노동자가 크게 증가하였고, 실직노동자의 지역 내 재취업률은 지역고용시장의 악화로 현저히 감소하였다. 그리고 실직노동자의 재취업지역은 폐쇄 이전에는 양호한 지역고용시장으로 실직지역인 지역 내 재취업이 많았으나, 폐쇄 이후 지역 내 재취업은 크게 감소하고 인접지역과 기타지역에서의 재취업이 증가하였다. 실직노동자의 취업업종은 폐쇄 이전에는 동종업종의 재취업이 많았으나 폐쇄 이후 동종업종의 재취업은 감소하고 이종업종에서의 재취업이 증가하였다.
{"title":"Plant Closure of Multinational Corporation and Geographical and Industrial Movement of Unemployed Workers : A Case Study of GM Gunsan Plant","authors":"Nam-Cheol Moon","doi":"10.22905/kaopqj.2023.57.3.4","DOIUrl":"https://doi.org/10.22905/kaopqj.2023.57.3.4","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한국GM 군산공장을 사례로 다국적 기업의 공장폐쇄와 실직노동자의 지리적·산업적 이동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한국GM 군산공장 폐쇄로 실직노동자가 크게 증가하였고, 실직노동자의 지역 내 재취업률은 지역고용시장의 악화로 현저히 감소하였다. 그리고 실직노동자의 재취업지역은 폐쇄 이전에는 양호한 지역고용시장으로 실직지역인 지역 내 재취업이 많았으나, 폐쇄 이후 지역 내 재취업은 크게 감소하고 인접지역과 기타지역에서의 재취업이 증가하였다. 실직노동자의 취업업종은 폐쇄 이전에는 동종업종의 재취업이 많았으나 폐쇄 이후 동종업종의 재취업은 감소하고 이종업종에서의 재취업이 증가하였다.","PeriodicalId":428210,"journal":{"name":"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volume":"3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500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09-30DOI: 10.22905/kaopqj.2023.57.3.1
Jimin Chae, Suhngbin Lim
본 연구는 지방소멸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인구지표에 국한하지 않고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지표를 선정하여 인구소멸과 지방소멸에 관한 논의와 지방소생에 관한 선행연구 등을 검토하여 지방정부의 내부 역량을 측정하였다. 2022년 기준 전국 16곳의 대도시도 제외하고 인구 50만명 이하의 141개 시와 군 단위의 역량을 분석한 것에 의의가 있다.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인구구조, 산업구조 어느 한쪽에만 초점을 두고 인구소멸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인구학적, 사회학적, 경제학적인 다양한 지표를 모두 고려하여 지방소멸의 원인 파악과 진단을 통해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하고 지역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미 2022년도에 시작된 지방소멸대응기금의 지방자치단체 지원사업 자체가 충분하다고 파악되는 생활기반 시설 사업 위주로 편성되어 있어 지방소멸에 대응하기 위한 맞춤형이면서 지역 중심의 사업이라고 보기에는 힘들다. 이는 본 연구에서 분석 결과와 상충된다. 분석 대상인 141개(행정안전부가 선정한 인구소멸 대응기금 89곳 포함) 시·군별로 역량에 따른 집중도가 다르기 때문에 지역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지자체의 자율적이고 효율적인 운영방식의 대응 방안이 필요하며 지역에 따라 맞춤형 지원정책을 발굴하여 재원을 차등화하고 유형화하여 정책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title":"A Study on the Revival Index of Local Governments in Crisis of Local Extinction: Indicator Development and Policy Alternatives","authors":"Jimin Chae, Suhngbin Lim","doi":"10.22905/kaopqj.2023.57.3.1","DOIUrl":"https://doi.org/10.22905/kaopqj.2023.57.3.1","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지방소멸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인구지표에 국한하지 않고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지표를 선정하여 인구소멸과 지방소멸에 관한 논의와 지방소생에 관한 선행연구 등을 검토하여 지방정부의 내부 역량을 측정하였다. 2022년 기준 전국 16곳의 대도시도 제외하고 인구 50만명 이하의 141개 시와 군 단위의 역량을 분석한 것에 의의가 있다.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인구구조, 산업구조 어느 한쪽에만 초점을 두고 인구소멸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인구학적, 사회학적, 경제학적인 다양한 지표를 모두 고려하여 지방소멸의 원인 파악과 진단을 통해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하고 지역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미 2022년도에 시작된 지방소멸대응기금의 지방자치단체 지원사업 자체가 충분하다고 파악되는 생활기반 시설 사업 위주로 편성되어 있어 지방소멸에 대응하기 위한 맞춤형이면서 지역 중심의 사업이라고 보기에는 힘들다. 이는 본 연구에서 분석 결과와 상충된다. 분석 대상인 141개(행정안전부가 선정한 인구소멸 대응기금 89곳 포함) 시·군별로 역량에 따른 집중도가 다르기 때문에 지역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지자체의 자율적이고 효율적인 운영방식의 대응 방안이 필요하며 지역에 따라 맞춤형 지원정책을 발굴하여 재원을 차등화하고 유형화하여 정책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PeriodicalId":428210,"journal":{"name":"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volume":"4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500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09-30DOI: 10.22905/kaopqj.2023.57.3.5
Bokeong Go, Ohsung Kwon, Jinhyo Kim, Junghwa Ra
생태계보전부담금 제도는 자연생태계에 대하여 훼손한 만큼의 비용을 개발사업자에게 부과・징수하는 부담금 형태의 제도로, 본 제도가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훼손되는 자원의 다기능적 측면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관자원의 다기능적 측면을 고려함과 동시에 생태계보전부담금 제도의 산정방식을 개선하고, 연구대상지에 적용해봄으로써 개선안을 검증하는데 가장 큰 의의를 두었다. 먼저, 경관단위 유형평가를 토대로 하여 단위면적당 부과금액 및 지역계수, 산식구조에 대해 산정방식 개선안을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지에 대상으로 산정방식 기존안과 개선안 간의 부과금 및 훼손면적에 대한 비교분석을 실시한 결과, 단위부과금 개선안은 기존안의 6.71배, 지역계수 개선안은 기존안의 4.31배, 단위부과금 및 지역계수 개선안은 기존안의 8.67배가 부과되었다. 특히, 유지 및 향상을 통한 감면금 반영의 개선안에서는 기존안의 8.16배가 부과되었고, 종과 비오톱 보전적, 미시각적 측면에서 6,074m², 휴양 및 자연체험적 측면에서는 10,989m²가 향상되고, 동일면적에 대해 생태계 훼손면적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자연환경 및 경관자원의 실질적인 가치 도출 및 경관자원의 다기능적 가치를 수용한 생태계보전부담금 제도 개선에 중요한 기초자료로서, 국토 경관자원의 효율적인 보전 및 관리를 위한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itle":"For Landscape Resource Management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cosystem Conservation Cooperation Fund","authors":"Bokeong Go, Ohsung Kwon, Jinhyo Kim, Junghwa Ra","doi":"10.22905/kaopqj.2023.57.3.5","DOIUrl":"https://doi.org/10.22905/kaopqj.2023.57.3.5","url":null,"abstract":"생태계보전부담금 제도는 자연생태계에 대하여 훼손한 만큼의 비용을 개발사업자에게 부과・징수하는 부담금 형태의 제도로, 본 제도가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훼손되는 자원의 다기능적 측면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관자원의 다기능적 측면을 고려함과 동시에 생태계보전부담금 제도의 산정방식을 개선하고, 연구대상지에 적용해봄으로써 개선안을 검증하는데 가장 큰 의의를 두었다. 먼저, 경관단위 유형평가를 토대로 하여 단위면적당 부과금액 및 지역계수, 산식구조에 대해 산정방식 개선안을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지에 대상으로 산정방식 기존안과 개선안 간의 부과금 및 훼손면적에 대한 비교분석을 실시한 결과, 단위부과금 개선안은 기존안의 6.71배, 지역계수 개선안은 기존안의 4.31배, 단위부과금 및 지역계수 개선안은 기존안의 8.67배가 부과되었다. 특히, 유지 및 향상을 통한 감면금 반영의 개선안에서는 기존안의 8.16배가 부과되었고, 종과 비오톱 보전적, 미시각적 측면에서 6,074m², 휴양 및 자연체험적 측면에서는 10,989m²가 향상되고, 동일면적에 대해 생태계 훼손면적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자연환경 및 경관자원의 실질적인 가치 도출 및 경관자원의 다기능적 가치를 수용한 생태계보전부담금 제도 개선에 중요한 기초자료로서, 국토 경관자원의 효율적인 보전 및 관리를 위한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PeriodicalId":428210,"journal":{"name":"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volume":"1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500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09-30DOI: 10.22905/kaopqj.2023.57.3.7
Jae-Kook Park, Ji-Hwan Jo, Jae-Seong Ahn, Eui-Myoung Kim
{"title":"A Study on the Prototype Production and Comparative Evaluation of Portable Indoor Tactile Maps","authors":"Jae-Kook Park, Ji-Hwan Jo, Jae-Seong Ahn, Eui-Myoung Kim","doi":"10.22905/kaopqj.2023.57.3.7","DOIUrl":"https://doi.org/10.22905/kaopqj.2023.57.3.7","url":null,"abstract":"","PeriodicalId":428210,"journal":{"name":"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volume":"50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500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09-30DOI: 10.22905/kaopqj.2023.57.3.3
Youngkug Joh
본 연구는 경상북도 봉화군을 사례로 본격적인 인구감소 시대를 맞아 지역의 과소화 실태 및 인구감소 대응 방식을 평가해 보려 한 연구이다. 봉화군은 전형적인 인구감소지역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인구학적 의미의 한계마을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행정리들의 공동체 기능인 상당히 취약해져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초의 과소 대책이라고 할 수 있는 인구감소지역 지원 기본계획은 주민주도, 내발적 전략으로서의 성격이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광역적 커뮤니티 구축과 활동 지원 등 주민역량 강화를 위한 사업들이 인구감소 대응 전략의 핵심이 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title":"A Case Study of the Depopulated Rural County’s Adaptive Strategy to the Further Aging and Depopulating Situation: Bonghwa, Gyeongsangbuk-do","authors":"Youngkug Joh","doi":"10.22905/kaopqj.2023.57.3.3","DOIUrl":"https://doi.org/10.22905/kaopqj.2023.57.3.3","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경상북도 봉화군을 사례로 본격적인 인구감소 시대를 맞아 지역의 과소화 실태 및 인구감소 대응 방식을 평가해 보려 한 연구이다. 봉화군은 전형적인 인구감소지역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인구학적 의미의 한계마을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행정리들의 공동체 기능인 상당히 취약해져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초의 과소 대책이라고 할 수 있는 인구감소지역 지원 기본계획은 주민주도, 내발적 전략으로서의 성격이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광역적 커뮤니티 구축과 활동 지원 등 주민역량 강화를 위한 사업들이 인구감소 대응 전략의 핵심이 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PeriodicalId":428210,"journal":{"name":"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volume":"1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8500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06-30DOI: 10.22905/kaopqj.2023.57.2.9
Yura Cho
{"title":"The Financialization of Housing in Spain and the Advent of New Housing Crisis - Focusing on the Deregulation and the Alternative Housing Movements before and after the Financial Crisis -","authors":"Yura Cho","doi":"10.22905/kaopqj.2023.57.2.9","DOIUrl":"https://doi.org/10.22905/kaopqj.2023.57.2.9","url":null,"abstract":"","PeriodicalId":428210,"journal":{"name":"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volume":"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569441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06-30DOI: 10.22905/kaopqj.2023.57.2.7
Jinhyo Kim, O. Kwon, Junghwa Ra
{"title":"Analysis of Landscape Resource Change before and after Development Plan for Landscape-friendly District Unit Development Plan and Improvement Plan - Case Study of Shinseo Innovation City -","authors":"Jinhyo Kim, O. Kwon, Junghwa Ra","doi":"10.22905/kaopqj.2023.57.2.7","DOIUrl":"https://doi.org/10.22905/kaopqj.2023.57.2.7","url":null,"abstract":"","PeriodicalId":428210,"journal":{"name":"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volume":"50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349353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06-30DOI: 10.22905/kaopqj.2023.57.2.1
Y. Jee, C. Ku
{"title":"Application Location-based Social Network Data for the Construction of Point of Interest (POI): Using Stiring Edit Distance (Levenshtein Distance) Method","authors":"Y. Jee, C. Ku","doi":"10.22905/kaopqj.2023.57.2.1","DOIUrl":"https://doi.org/10.22905/kaopqj.2023.57.2.1","url":null,"abstract":"","PeriodicalId":428210,"journal":{"name":"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volume":"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6-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974492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