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最新文献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最新文献

英文 中文
Effect of aqueous extract of black maca (Lepidium meyenii) on increased vasodilatation factors in corpus cavernosum and testosterone in blood 黑玛咖水提物对海绵体血管舒张因子及血睾酮升高的影响
Q4 Agricultural and Biological Sciences Pub Date : 2023-10-31 DOI: 10.9721/kjfst.2023.55.5.404
SangJoon Mo
본 논문은 검은 마카(Lepidium meyenii) 수성 추출물이 남성 갱년기 증상의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16주령 된 SD랫에 4주간 검은 마카 수성 추출물을 투여한 후, 해면체 내 혈관 확장 인자, DHT, testosterone, 17β-HSD, SHBG, 정자수, 고환의 조직병리학적 변화, 몸무게, 간독성, 신장독성, 및 지질대사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세포 실험을 통해 검은 마카 수성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혈관확장 인자인 NO의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고, 해면체 내 분석을 통해 NO, eNOS, 및 cGMP의 농도가 검은 마카 수성 추출물 투여량이 많을수록 유의성 있게 증가하는 것도 확인하였다. PGE2 농도 역시 검은 마카 고농도 투여군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성은 있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혈액내 남성호르몬의 수준을 확인한 결과 역시 검은 마카 투여량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DHT, testosterone, 및 17β-HSD의 농도가 증가하였고 SHBG의 농도는 반대로 감소하였다. 부고환 내 정자수를 확인한 결과 검은 마카수성 추출물 투여군과 비투여군 모두 차이는 없었으나, 고환 및 부고환의 조직병리학적 염색 결과 검은 마카 300 mg/kg 투여군에서 비투여군 대비 정자형성 층, 정자 머리 및 정자 덩어리가 더 두껍고 많이 관찰되었다. 단기간의 고농도 검은 마카 투여에 따른 안전성을 확인한 결과 체중, 간기능, 신장기능 모두 큰 변화를 확인할 수 없었다. 지질대사의 경우 혈액 내 총콜레스테롤 농도가 다른 지질대사 성분에 비해 검은 마카 수성 추출물 투여가 많을수록 통계적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검은 마카 수성 추출물은 남성갱년기 장애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지표들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이용한 남성 갱년기 장애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本文黑玛卡(lepidium meyenii)水星提取物对男性更年期症状的改善带来的影响为了解16你的sd长4周黑玛卡提取物注射后,水星海绵体血管扩张我仁慈,dht、激素、17β-个,shbg,精子数,睾丸的组织病理变化,体重,肝毒性肾毒性、及对地质代谢等的影响。细胞实验确认了黑马卡水提取物浓度依赖性地增加血管扩张因子NO的水平,海绵体内分析也确认了NO、eNOS和cGMP的浓度随着黑马卡水提取物投入量的增加而有显著性的增加。PGE2浓度在黑马卡高浓度人群中也有增加的倾向,但无法确认其统计意义。另外,对血液中男性荷尔蒙水平的检测也显示,根据黑马卡的剂量,DHT、testosterone和17β-HSD的浓度有所增加,SHBG的浓度则相反减少。附睾精子的数量,我确认的结果,黑玛卡提取物注射水星和非注射军都没有差别,但睾丸和附睾的组织病理染色结果显示,黑玛卡300毫克/千克注射注射在非军对比层形成精子,精子头部及精子块更厚,观察了许多。对短期内使用高浓度黑马卡的安全性进行确认的结果,体重、肝功能、肾脏功能都没有太大的变化。从地质代谢的情况看,血液内的总胆固醇浓度与其他地质代谢成分相比,黑糖水提取物的使用越多,统计上的显著减少。结论是,黑色马卡水提取物可以改善男性更年期障碍出现的各种指标,并提出了利用这些可以帮助改善男性更年期障碍的材料的可能性。
{"title":"Effect of aqueous extract of black maca (Lepidium meyenii) on increased vasodilatation factors in corpus cavernosum and testosterone in blood","authors":"SangJoon Mo","doi":"10.9721/kjfst.2023.55.5.404","DOIUrl":"https://doi.org/10.9721/kjfst.2023.55.5.404","url":null,"abstract":"본 논문은 검은 마카(Lepidium meyenii) 수성 추출물이 남성 갱년기 증상의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16주령 된 SD랫에 4주간 검은 마카 수성 추출물을 투여한 후, 해면체 내 혈관 확장 인자, DHT, testosterone, 17β-HSD, SHBG, 정자수, 고환의 조직병리학적 변화, 몸무게, 간독성, 신장독성, 및 지질대사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세포 실험을 통해 검은 마카 수성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혈관확장 인자인 NO의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고, 해면체 내 분석을 통해 NO, eNOS, 및 cGMP의 농도가 검은 마카 수성 추출물 투여량이 많을수록 유의성 있게 증가하는 것도 확인하였다. PGE2 농도 역시 검은 마카 고농도 투여군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성은 있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혈액내 남성호르몬의 수준을 확인한 결과 역시 검은 마카 투여량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DHT, testosterone, 및 17β-HSD의 농도가 증가하였고 SHBG의 농도는 반대로 감소하였다. 부고환 내 정자수를 확인한 결과 검은 마카수성 추출물 투여군과 비투여군 모두 차이는 없었으나, 고환 및 부고환의 조직병리학적 염색 결과 검은 마카 300 mg/kg 투여군에서 비투여군 대비 정자형성 층, 정자 머리 및 정자 덩어리가 더 두껍고 많이 관찰되었다. 단기간의 고농도 검은 마카 투여에 따른 안전성을 확인한 결과 체중, 간기능, 신장기능 모두 큰 변화를 확인할 수 없었다. 지질대사의 경우 혈액 내 총콜레스테롤 농도가 다른 지질대사 성분에 비해 검은 마카 수성 추출물 투여가 많을수록 통계적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검은 마카 수성 추출물은 남성갱년기 장애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지표들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이용한 남성 갱년기 장애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PeriodicalId":17861,"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8014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ntioxidant capac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with Lespedeza cuneata G. Don powder 胡枝子粉面抗氧化能力及品质特征
Q4 Agricultural and Biological Sciences Pub Date : 2023-10-31 DOI: 10.9721/kjfst.2023.55.5.425
Kyeong-Tae Kang, Young-Jun Jung, Seung-Ju Lee, Moo-Yeol Baik, Dae-Ok Kim
{"title":"Antioxidant capac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with Lespedeza cuneata G. Don powder","authors":"Kyeong-Tae Kang, Young-Jun Jung, Seung-Ju Lee, Moo-Yeol Baik, Dae-Ok Kim","doi":"10.9721/kjfst.2023.55.5.425","DOIUrl":"https://doi.org/10.9721/kjfst.2023.55.5.425","url":null,"abstract":"","PeriodicalId":17861,"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955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Effect of dry heat treatment on sulforaphane contents and antioxidant capacities in broccoli seeds and florets 干热处理对西兰花种子和小花萝卜硫素含量及抗氧化能力的影响
Q4 Agricultural and Biological Sciences Pub Date : 2023-10-31 DOI: 10.9721/kjfst.2023.55.5.494
Yangji Kim, Seok-Joong Kim
브로콜리 종자와 꽃송이의 건조 분말을 이용하여 60℃ 온도에서 습열 처리와 건열 처리를 수행하여 sulforaphane 생성 및 myrosinase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건열 처리 후 항산화능과 폴리페놀 함량의 변화도 분석하였다. 건조 분말에 1:10의 비율로 수분을 가한 후 60℃에서 5분간 습열 처리하면 30℃에서 반응시킨 비열처리군에 비해 종자 및 꽃송이 모두에서 sulforaphane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수분 함량을 1:2.5와 1:5로 낮추어 습열 처리하면 1:10에 비해 sulforaphane 함량이 높지 않았다. 건조 분말을 수분 첨가 없이 60℃에서 건열 처리한 종자의 경우 12시간 처리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고 이는 습열 처리 종자에 비해 sulforaphanin 함량이 약 8.6% 증가하였다. 꽃송이의 경우에는 18시간 건열 처리에서 최대 sulforaphane 함량을 보였으며 이는 습열 처리군 보다 140% 더 높게 나타났다. 건열처리 시 종자의 myrosinase 활성은 시간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으나 습열 처리 종자에 비해 훨씬 높게 유지되었다. 꽃송이의 myrosinase는 건열 처리 전보다 6시간에 증가한 이후 감소 경향을 나타내었다. 건열 처리 시료의 항산화능을 분석한 결과, 종자의 경우 항산화능과 폴리페놀 함량은 변화가 없었으며 꽃송이의 경우는 항산화능과 폴리페놀 함량 모두 12시간까지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브로콜리 종자와 꽃송이에서 sulforaphane 함량 증대에는 60℃에서의 건열 처리가 같은 온도에서의 습열 처리보다 우수한 열처리 공정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러한 열처리는 브로콜리 종자에서 항산화능 손실을 일으키지 않았으며 꽃송이에서는 항산화능을 증대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利用西兰花种子和花朵的干燥粉末,在60℃温度下进行湿热处理和干热处理,分析了对sulforaphane生成及myrosinase活性的效果。还分析了干热处理后抗氧化性能和多酚含量的变化。干燥粉末以1:10的比例加水,60℃湿热5分钟,与30℃反应的非热处理群相比,种子及花朵中sulforaphane的含量都有所增加。但将水分含量降低到1:2.5和1:5,进行湿热处理,sulforaphane含量不高于1:10。干燥粉末在60℃无添加水分的干热处理种子,12小时处理的最大值,比湿热处理种子sulforaphanin含量增加约8.6%。花的情况是,在18小时的干热处理中,sulforaphane含量最高,比湿热处理群高出140%。干热处理时种子的myrosinase活性随时间逐渐减少,但比湿热处理种子保持得更高。花朵的myrosinase比干热处理前增加6小时后呈减少趋势。对干热处理试料抗氧化能力进行分析的结果显示,种子的抗氧化能力和多酚含量没有变化,花朵的抗氧化能力和多酚含量都增加到12小时。以上结果表明,西兰花种子和花朵的sulforaphane含量增大,60℃时的干热处理比相同温度下的湿热处理是更好的热处理工程。经确认,这种热处理不会对西兰花种子造成抗氧化能力损失,而且可以提高花苞的抗氧化能力。
{"title":"Effect of dry heat treatment on sulforaphane contents and antioxidant capacities in broccoli seeds and florets","authors":"Yangji Kim, Seok-Joong Kim","doi":"10.9721/kjfst.2023.55.5.494","DOIUrl":"https://doi.org/10.9721/kjfst.2023.55.5.494","url":null,"abstract":"브로콜리 종자와 꽃송이의 건조 분말을 이용하여 60℃ 온도에서 습열 처리와 건열 처리를 수행하여 sulforaphane 생성 및 myrosinase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건열 처리 후 항산화능과 폴리페놀 함량의 변화도 분석하였다. 건조 분말에 1:10의 비율로 수분을 가한 후 60℃에서 5분간 습열 처리하면 30℃에서 반응시킨 비열처리군에 비해 종자 및 꽃송이 모두에서 sulforaphane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수분 함량을 1:2.5와 1:5로 낮추어 습열 처리하면 1:10에 비해 sulforaphane 함량이 높지 않았다. 건조 분말을 수분 첨가 없이 60℃에서 건열 처리한 종자의 경우 12시간 처리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고 이는 습열 처리 종자에 비해 sulforaphanin 함량이 약 8.6% 증가하였다. 꽃송이의 경우에는 18시간 건열 처리에서 최대 sulforaphane 함량을 보였으며 이는 습열 처리군 보다 140% 더 높게 나타났다. 건열처리 시 종자의 myrosinase 활성은 시간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으나 습열 처리 종자에 비해 훨씬 높게 유지되었다. 꽃송이의 myrosinase는 건열 처리 전보다 6시간에 증가한 이후 감소 경향을 나타내었다. 건열 처리 시료의 항산화능을 분석한 결과, 종자의 경우 항산화능과 폴리페놀 함량은 변화가 없었으며 꽃송이의 경우는 항산화능과 폴리페놀 함량 모두 12시간까지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브로콜리 종자와 꽃송이에서 sulforaphane 함량 증대에는 60℃에서의 건열 처리가 같은 온도에서의 습열 처리보다 우수한 열처리 공정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러한 열처리는 브로콜리 종자에서 항산화능 손실을 일으키지 않았으며 꽃송이에서는 항산화능을 증대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PeriodicalId":17861,"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984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Simple identification method to distinguish Bacillus pumilus from B. zhangzhouensis 鉴别漳州芽孢杆菌细芽孢杆菌的简易鉴定方法
Q4 Agricultural and Biological Sciences Pub Date : 2023-10-31 DOI: 10.9721/kjfst.2023.55.5.515
Jung-Woo Ko, Ye-Jin Kim, Cheon-Seok Park
된장과 간장을 포함하는 한국 전통장류의 발효와 숙성에는 B. pumilus와 B. zhangzhouensis를 포함하는 Bacillus 균주가 발효에 가장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이천시 모가면 서경리에서 제조한 전통 간장과 된장으로부터 균주를 분리하였고, B. pumilus와 B. zhangzhouensis를 포함하는 다양한 미생물을 분리하였으나, B. pumilus와 B. zhangzhouensis의 16s rRNA 영역의 유사성으로 인해 정확한 구분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6s rRNA 염기서열을 통한 확인을 대신하여 고체 배지에서 자라는 콜로니의 형태학적 성상을 통하여 두 균주를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콜로니의 형태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BHI, BL, PC, TS의 4가지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육안 및 현미경을 통하여 형태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BHI, PC, TS 배지에서는 두 균주간에 성상 차이가 크게 발생하지 않았으며, BL 배지에서는 두 균주 간에 성상 차이가 크게 발생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차이는 BL 배지의 높은 포도당 함량과 트립톤, 망간 이온의 존재로 인한 B. pumilus 균주의 바이오필름의 형성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판단된다. 최종적으로 BL 고체 배지를 통하여 B. pumilus와 B. zhangzhouensis의 신속한 구분이 가능함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하여 이 균주들의 분류에 있어 16s rRNA 영역의 단방향 PCR과 BL 고체 배지에서의 형태학적 성상 구분을 통하여 간편하고 저렴하게 두 균주의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유전자 서열만으로는 구분이 단순하지 않았던 두 균주의 신속한 동정법을 제시함으로써 여러 산업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据悉,在包括大酱和酱油的韩国传统酱类的发酵和发酵中,含有B. pumilus和B. zhangzhouensis的Bacillus菌株对发酵起着最重要的作用。本研究从京畿道利川市某面西京里制造的传统酱油和大酱中分离出菌株,分离出了包括B. pumilus和B. zhangzhouensis在内的多种微生物,但由于B. pumilus和B. zhangzhouensis的16s rRNA区域的类类性,无法正确区分。因此,本研究研究了通过固体培养基上生长的colony的形态学性状来区分两个菌株的方法,而不是通过16s rRNA碱基序列来确认。为了掌握colony的形态特性,使用了BHI、BL、PC、TS四种徽章,通过肉眼和显微镜观察形态特性。在BHI、PC和TS培养基中,两个菌株之间的性状差异不大,而在BL培养基中,两个菌株之间的性状差异较大。据判断,这种差异是由于BL培养基中葡萄糖含量高和色氨酸、锰离子的存在导致的B. pumilus菌株生物膜的形成。最终通过b . pumilus bl固体徽章和b . zhangzhouensis可以区分的迅速进行了确认,并通过这些菌株的分类,16s rrna领域的单向pcr和bl固体徽章中的형태학적性状通过区分简便,可以便宜两菌株的分析判断。因此,提出了仅通过遗传基因序列区分并不单纯的两种菌株的迅速同情法,预计将对多个产业有所帮助。
{"title":"Simple identification method to distinguish Bacillus pumilus from B. zhangzhouensis","authors":"Jung-Woo Ko, Ye-Jin Kim, Cheon-Seok Park","doi":"10.9721/kjfst.2023.55.5.515","DOIUrl":"https://doi.org/10.9721/kjfst.2023.55.5.515","url":null,"abstract":"된장과 간장을 포함하는 한국 전통장류의 발효와 숙성에는 B. pumilus와 B. zhangzhouensis를 포함하는 Bacillus 균주가 발효에 가장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이천시 모가면 서경리에서 제조한 전통 간장과 된장으로부터 균주를 분리하였고, B. pumilus와 B. zhangzhouensis를 포함하는 다양한 미생물을 분리하였으나, B. pumilus와 B. zhangzhouensis의 16s rRNA 영역의 유사성으로 인해 정확한 구분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6s rRNA 염기서열을 통한 확인을 대신하여 고체 배지에서 자라는 콜로니의 형태학적 성상을 통하여 두 균주를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콜로니의 형태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BHI, BL, PC, TS의 4가지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육안 및 현미경을 통하여 형태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BHI, PC, TS 배지에서는 두 균주간에 성상 차이가 크게 발생하지 않았으며, BL 배지에서는 두 균주 간에 성상 차이가 크게 발생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차이는 BL 배지의 높은 포도당 함량과 트립톤, 망간 이온의 존재로 인한 B. pumilus 균주의 바이오필름의 형성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판단된다. 최종적으로 BL 고체 배지를 통하여 B. pumilus와 B. zhangzhouensis의 신속한 구분이 가능함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하여 이 균주들의 분류에 있어 16s rRNA 영역의 단방향 PCR과 BL 고체 배지에서의 형태학적 성상 구분을 통하여 간편하고 저렴하게 두 균주의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유전자 서열만으로는 구분이 단순하지 않았던 두 균주의 신속한 동정법을 제시함으로써 여러 산업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PeriodicalId":17861,"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7998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rganic acid, and sugar compositions in bulb, peel, and root of five onion cultivars 五种洋葱品种球茎、果皮和根的理化特性、有机酸和糖组成
Q4 Agricultural and Biological Sciences Pub Date : 2023-10-31 DOI: 10.9721/kjfst.2023.55.5.398
Yena Kim, Young-Jun Kim, Youngjae Shin
In this study, the physicochemical qualities, organic acid, and sugar compositions in bulb, peel, and root of five onion cultivars (‘Tank’, ‘Bomul’, ‘Gujji’, ‘Cobra’, and ‘Hongbanjang’) grown in Korea were investigated. The main organic acids identified in the bulbs were malate, citrate, and oxalate. The primary organic acids in the peels were citrate and malate, whereas citrate and oxalate were the dominant organic acids in the roots. The bulb and peel exhibited higher total organic acid contents than the roots. The main sugar components in the bulbs were glucose, fructose, and sucrose. In the peel, the primary sugar components were glucose and fructose, whereas in the roots, only a trace amount of glucose was detected, and no other sugar components were found. These results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e potential use of onion peel and root as high-value food materials.
本研究对韩国5个洋葱品种(‘Tank’、‘Bomul’、‘Gujji’、‘Cobra’和‘Hongbanjang’)的球茎、果皮和根的理化品质、有机酸和糖组成进行了研究。在鳞茎中鉴定出的主要有机酸为苹果酸、柠檬酸和草酸。果皮中主要有机酸为柠檬酸和苹果酸,根部中主要有机酸为柠檬酸和草酸。鳞茎和果皮的总有机酸含量高于根。球茎中的主要糖成分是葡萄糖、果糖和蔗糖。在果皮中,主要的糖成分是葡萄糖和果糖,而在根中,只检测到微量的葡萄糖,没有发现其他糖成分。这些结果为洋葱皮和洋葱根作为高价值食品材料的潜在利用提供了基础数据。
{"title":"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rganic acid, and sugar compositions in bulb, peel, and root of five onion cultivars","authors":"Yena Kim, Young-Jun Kim, Youngjae Shin","doi":"10.9721/kjfst.2023.55.5.398","DOIUrl":"https://doi.org/10.9721/kjfst.2023.55.5.398","url":null,"abstract":"In this study, the physicochemical qualities, organic acid, and sugar compositions in bulb, peel, and root of five onion cultivars (‘Tank’, ‘Bomul’, ‘Gujji’, ‘Cobra’, and ‘Hongbanjang’) grown in Korea were investigated. The main organic acids identified in the bulbs were malate, citrate, and oxalate. The primary organic acids in the peels were citrate and malate, whereas citrate and oxalate were the dominant organic acids in the roots. The bulb and peel exhibited higher total organic acid contents than the roots. The main sugar components in the bulbs were glucose, fructose, and sucrose. In the peel, the primary sugar components were glucose and fructose, whereas in the roots, only a trace amount of glucose was detected, and no other sugar components were found. These results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e potential use of onion peel and root as high-value food materials.","PeriodicalId":17861,"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98015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Effect of high-pressure incubation on the hydrolysis efficiency and characteristics of strong and floury rice hydrolysates 高压培养对浓粉大米水解产物水解效率及特性的影响
Q4 Agricultural and Biological Sciences Pub Date : 2023-08-31 DOI: 10.9721/kjfst.2023.55.4.378
Chang-Geun Son, Eun-Jung Choi, Wang-Bo Ryu, Geun-Pyo Hong
{"title":"Effect of high-pressure incubation on the hydrolysis efficiency and characteristics of strong and floury rice hydrolysates","authors":"Chang-Geun Son, Eun-Jung Choi, Wang-Bo Ryu, Geun-Pyo Hong","doi":"10.9721/kjfst.2023.55.4.378","DOIUrl":"https://doi.org/10.9721/kjfst.2023.55.4.378","url":null,"abstract":"","PeriodicalId":17861,"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4516253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Effects of barley β-glucan on postprandial blood glucose respons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大麦β-葡聚糖对餐后血糖反应的影响:系统综述和荟萃分析
Q4 Agricultural and Biological Sciences Pub Date : 2023-08-31 DOI: 10.9721/kjfst.2023.55.4.282
Min-Ju Park, K. Kim, Soo-yeon Park, J. Kwak, Ji-Yeon Kim
{"title":"Effects of barley β-glucan on postprandial blood glucose respons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authors":"Min-Ju Park, K. Kim, Soo-yeon Park, J. Kwak, Ji-Yeon Kim","doi":"10.9721/kjfst.2023.55.4.282","DOIUrl":"https://doi.org/10.9721/kjfst.2023.55.4.282","url":null,"abstract":"","PeriodicalId":17861,"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4272756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Microbiota analysis of 14 cheese samples imported to South Korea 进口至韩国的14份奶酪样品的微生物群分析
Q4 Agricultural and Biological Sciences Pub Date : 2023-08-31 DOI: 10.9721/kjfst.2023.55.4.370
Jin-Joo Lee, Sangoh Kim, Sang-Soon Kim
{"title":"Microbiota analysis of 14 cheese samples imported to South Korea","authors":"Jin-Joo Lee, Sangoh Kim, Sang-Soon Kim","doi":"10.9721/kjfst.2023.55.4.370","DOIUrl":"https://doi.org/10.9721/kjfst.2023.55.4.370","url":null,"abstract":"","PeriodicalId":17861,"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4346866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Effect of intense pulsed light (IPL) on sterilization of Bacillus cereus and spores in fresh-cut vegetables 强脉冲光(IPL)对新鲜切菜中蜡样芽孢杆菌及其孢子的杀菌作用
Q4 Agricultural and Biological Sciences Pub Date : 2023-08-31 DOI: 10.9721/kjfst.2023.55.4.384
Je-Hyeok Jeon, Chan-Ick Cheigh
{"title":"Effect of intense pulsed light (IPL) on sterilization of Bacillus cereus and spores in fresh-cut vegetables","authors":"Je-Hyeok Jeon, Chan-Ick Cheigh","doi":"10.9721/kjfst.2023.55.4.384","DOIUrl":"https://doi.org/10.9721/kjfst.2023.55.4.384","url":null,"abstract":"","PeriodicalId":17861,"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4847579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Compar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s made with spring- and autumn-seeded wheats 春、秋种小麦白面包品质特性的比较
Q4 Agricultural and Biological Sciences Pub Date : 2023-08-31 DOI: 10.9721/kjfst.2023.55.4.353
So-Yoon Lee, Hyun-Min Cho, G. Lee, Y. Jo, Y. Jung, Hyun-Jin Park, Jun-Soo Lee, H. Jeong
{"title":"Compar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s made with spring- and autumn-seeded wheats","authors":"So-Yoon Lee, Hyun-Min Cho, G. Lee, Y. Jo, Y. Jung, Hyun-Jin Park, Jun-Soo Lee, H. Jeong","doi":"10.9721/kjfst.2023.55.4.353","DOIUrl":"https://doi.org/10.9721/kjfst.2023.55.4.353","url":null,"abstract":"","PeriodicalId":17861,"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4130736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期刊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全部 Acc. Chem. Res. ACS Applied Bio Materials ACS Appl. Electron. Mater. ACS Appl. Energy Mater. ACS Appl. Mater. Interfaces ACS Appl. Nano Mater. ACS Appl. Polym. Mater. ACS BIOMATER-SCI ENG ACS Catal. ACS Cent. Sci. ACS Chem. Biol. ACS Chemical Health & Safety ACS Chem. Neurosci. ACS Comb. Sci. ACS Earth Space Chem. ACS Energy Lett. ACS Infect. Dis. ACS Macro Lett. ACS Mater. Lett. ACS Med. Chem. Lett. ACS Nano ACS Omega ACS Photonics ACS Sens. ACS Sustainable Chem. Eng. ACS Synth. Biol. Anal. Chem. BIOCHEMISTRY-US Bioconjugate Chem. BIOMACROMOLECULES Chem. Res. Toxicol. Chem. Rev. Chem. Mater. CRYST GROWTH DES ENERG FUEL Environ. Sci. Technol. Environ. Sci. Technol. Lett. Eur. J. Inorg. Chem. IND ENG CHEM RES Inorg. Chem. J. Agric. Food. Chem. J. Chem. Eng. Data J. Chem. Educ. J. Chem. Inf. Model. J. Chem. Theory Comput. J. Med. Chem. J. Nat. Prod. J PROTEOME RES J. Am. Chem. Soc. LANGMUIR MACROMOLECULES Mol. Pharmaceutics Nano Lett. Org. Lett. ORG PROCESS RES DEV ORGANOMETALLICS J. Org. Chem. J. Phys. Chem. J. Phys. Chem. A J. Phys. Chem. B J. Phys. Chem. C J. Phys. Chem. Lett. Analyst Anal. Methods Biomater. Sci. Catal. Sci. Technol. Chem. Commun. Chem. Soc. Rev. CHEM EDUC RES PRACT CRYSTENGCOMM Dalton Trans. Energy Environ. Sci. ENVIRON SCI-NANO ENVIRON SCI-PROC IMP ENVIRON SCI-WAT RES Faraday Discuss. Food Funct. Green Chem. Inorg. Chem. Front. Integr. Biol. J. Anal. At. Spectrom. J. Mater. Chem. A J. Mater. Chem. B J. Mater. Chem. C Lab Chip Mater. Chem. Front. Mater. Horiz. MEDCHEMCOMM Metallomics Mol. Biosyst. Mol. Syst. Des. Eng. Nanoscale Nanoscale Horiz. Nat. Prod. Rep. New J. Chem. Org. Biomol. Chem. Org. Chem. Front. PHOTOCH PHOTOBIO SCI PCCP Polym. Chem.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0
微信
客服QQ
Book学术公众号 扫码关注我们
反馈
×
意见反馈
请填写您的意见或建议
请填写您的手机或邮箱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现在去查看 取消
×
提示
确定
Book学术官方微信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
文献互助 智能选刊 最新文献 互助须知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Book学术 All rights reserved.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京ICP备2023020795号-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