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 Date : 2017-02-01DOI: 10.22174/JCR.2017.54.1.124
Yeran Kim
{"title":"Media Struggles and Contestations Over Life and Death: A Genealogic Perspective of Historicising Sewolho Disaster","authors":"Yeran Kim","doi":"10.22174/JCR.2017.54.1.124","DOIUrl":"https://doi.org/10.22174/JCR.2017.54.1.124","url":null,"abstract":"","PeriodicalId":46724,"journal":{"name":"Communications-European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volume":"42 1","pages":"124-171"},"PeriodicalIF":1.6,"publicationDate":"2017-0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898128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4,"RegionCategory":"文学","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7-02-01DOI: 10.22174/jcr.2017.54.1.48
김경화
{"title":"Mobile Visual Practices: From a Media Archaeological Approach for Visual Apparatus","authors":"김경화","doi":"10.22174/jcr.2017.54.1.48","DOIUrl":"https://doi.org/10.22174/jcr.2017.54.1.48","url":null,"abstract":"","PeriodicalId":46724,"journal":{"name":"Communications-European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volume":"89 1","pages":"48-74"},"PeriodicalIF":1.6,"publicationDate":"2017-0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244357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4,"RegionCategory":"文学","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7-02-01DOI: 10.22174/JCR.2017.54.1.172
Jae-Hyun Lee, So-Eun Lee
{"title":"Potentialities and Actualities of MediaᐨNetwork: An Analysis of Media Devices’ Connections by Household","authors":"Jae-Hyun Lee, So-Eun Lee","doi":"10.22174/JCR.2017.54.1.172","DOIUrl":"https://doi.org/10.22174/JCR.2017.54.1.172","url":null,"abstract":"","PeriodicalId":46724,"journal":{"name":"Communications-European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volume":"17 1","pages":"172-218"},"PeriodicalIF":1.6,"publicationDate":"2017-0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464756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4,"RegionCategory":"文学","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7-02-01DOI: 10.22174/JCR.2017.54.1.314
Nohil Park, Jeong Jiyeon, Jeongheon J. C. Chang
{"title":"Senior Citizens’ News Media Use and News Credibility: An Analysis of the 2013ᐨ2015 National Survey Data of the Media Users","authors":"Nohil Park, Jeong Jiyeon, Jeongheon J. C. Chang","doi":"10.22174/JCR.2017.54.1.314","DOIUrl":"https://doi.org/10.22174/JCR.2017.54.1.314","url":null,"abstract":"","PeriodicalId":46724,"journal":{"name":"Communications-European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volume":"535 1","pages":"314-347"},"PeriodicalIF":1.6,"publicationDate":"2017-0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707019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4,"RegionCategory":"文学","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6-08-01DOI: 10.22174/JCR.2016.53.2.11
Jin-woo Park
{"title":"Crossroad among Political History and Cultural History, Histories of Media Technology and Social Transformation: The Progress of Media History Studies in France and Related Issues","authors":"Jin-woo Park","doi":"10.22174/JCR.2016.53.2.11","DOIUrl":"https://doi.org/10.22174/JCR.2016.53.2.11","url":null,"abstract":"","PeriodicalId":46724,"journal":{"name":"Communications-European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volume":"42 1","pages":"11-47"},"PeriodicalIF":1.6,"publicationDate":"2016-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582164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4,"RegionCategory":"文学","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6-08-01DOI: 10.22174/JCR.2016.53.2.265
이은주, 박준모
본 연구는 최근 급증한 인터넷 상의 여성 혐오 발언 규제에 대한 태도에 집단적, 개인적 수준의 차이가 있음에 주목, 이를 설명하는 요인으로 여성 혐오 발언이 드러내는 반여성적 시각 및 그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인식의 역할을 검증했다. 구체적으로 메시지 수용자의 성별과 여성 혐오 발언 노출 빈도에 따라 여성 혐오 발언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달라지고, 이는 해당 발언의 규제에 대한 태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웹기반 설문 조사를 통해 탐색했다. 응답자들은(N = 323) 4가지 유형의 여성 혐오 발언을 읽은 뒤 각 발언이 드러내는 반여성적 시각 및 그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인식, 관련 규제에 대한 지지정도를 묻는 문항에 답했다. 연구 결과, 첫째, 여성이 남성에 비해 해당 발언이 더 부정적인 여성관을 드러내는 것으로 인식했다. 둘째, 발언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긴 했으나, 여성 응답자의 경우 대체로 다른 여성보다는 일반 성인, 일반 성인보다는 다른 남성들이 여성 혐오 발언에 더 영향을 많이 받을 것이라고 응답한 반면, 남성 응답자들은 사회적 거리에 따른 제3자 편향 지각의 차이를 거의 보이지 않았다. 셋째, 여성 혐오 발언 규제에 대한 지지는 해당 발언이 다른 남성들에게 부정적 영향을 준다고 생각할수록, 여성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나타낸다고 인식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인의 성별에 관계없이, 평소 여성 혐오 발언 접촉 경험이 많을 수록 여성 혐오 발언이 다른 사람들, 특히 다른 남성들에게 부정적 영향력을 더 많이 미칠 것으로 추정했고, 이는 해당발언 규제에 대한 지지로 이어졌다. 반면, 접촉 경험이 많을수록 여성 혐오 발언의 부정적 여성관에 대한 인식이 둔감해질 것이라는 가설(desensitization)은 지지되지 않았다.
{"title":"성별과 노출 빈도에 따른 여성 혐오 발언 규제 지지도의 차이: 메시지의 반여성적 시각 및 영향력 지각을 중심으로","authors":"이은주, 박준모","doi":"10.22174/JCR.2016.53.2.265","DOIUrl":"https://doi.org/10.22174/JCR.2016.53.2.265","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최근 급증한 인터넷 상의 여성 혐오 발언 규제에 대한 태도에 집단적, 개인적 수준의 차이가 있음에 주목, 이를 설명하는 요인으로 여성 혐오 발언이 드러내는 반여성적 시각 및 그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인식의 역할을 검증했다. 구체적으로 메시지 수용자의 성별과 여성 혐오 발언 노출 빈도에 따라 여성 혐오 발언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달라지고, 이는 해당 발언의 규제에 대한 태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웹기반 설문 조사를 통해 탐색했다. 응답자들은(N = 323) 4가지 유형의 여성 혐오 발언을 읽은 뒤 각 발언이 드러내는 반여성적 시각 및 그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인식, 관련 규제에 대한 지지정도를 묻는 문항에 답했다. 연구 결과, 첫째, 여성이 남성에 비해 해당 발언이 더 부정적인 여성관을 드러내는 것으로 인식했다. 둘째, 발언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긴 했으나, 여성 응답자의 경우 대체로 다른 여성보다는 일반 성인, 일반 성인보다는 다른 남성들이 여성 혐오 발언에 더 영향을 많이 받을 것이라고 응답한 반면, 남성 응답자들은 사회적 거리에 따른 제3자 편향 지각의 차이를 거의 보이지 않았다. 셋째, 여성 혐오 발언 규제에 대한 지지는 해당 발언이 다른 남성들에게 부정적 영향을 준다고 생각할수록, 여성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나타낸다고 인식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인의 성별에 관계없이, 평소 여성 혐오 발언 접촉 경험이 많을 수록 여성 혐오 발언이 다른 사람들, 특히 다른 남성들에게 부정적 영향력을 더 많이 미칠 것으로 추정했고, 이는 해당발언 규제에 대한 지지로 이어졌다. 반면, 접촉 경험이 많을수록 여성 혐오 발언의 부정적 여성관에 대한 인식이 둔감해질 것이라는 가설(desensitization)은 지지되지 않았다.","PeriodicalId":46724,"journal":{"name":"Communications-European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volume":"19 1","pages":"265-304"},"PeriodicalIF":1.6,"publicationDate":"2016-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187783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4,"RegionCategory":"文学","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6-08-01DOI: 10.22174/JCR.2016.53.2.204
이재현, 강민지, 최순욱, 이소은
이 글의 목적은 ‘탈구’의 관점을 통해 미디어 이용의 변화를 설명하는 것이다. 기존의 연구는 미디어 이용의 변화를 과다하게 추정하거나 분절적 집단의 형성이라는 정태적 결과로 바라보고, 미디어 이용의 의미를 시공간 요소와 분리하여 해석하는 한계를 가졌다. 이 글은 탈구 개념을 통해 미디어 이용의 변화를 크기와 방향, 즉 벡터로 표현되는 동태적 과정으로 바라보고, 이를 시계열 자료의 분석을 통해 드러냄으로써 기존 연구의 한계를 이론적, 방법론적으로 극복하고자 하였다. 탈구는 들뢰즈·과타리의 몰적-분자적 동학을 미디어 이용 분석에 적용한 것으로, 주류적 질서와 이탈의 관계에 주목함으로써 변화의 내, 외부적 역동을 보다 정당하게 파악하도록 해 준다. 이 글에서는 탈구를 미디어, 시간, 공간의 세 가지 차원으로 설정하고 각각을 미디어 이용 이벤트, 이용 세션, 이용 장소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통적 이용 행위가 여전히 절대적인 우위를 차지하여 미디어 이용의 탈구가 체감만큼 급진적이지 않으나, 시청 기기의 분화와 같은 내부적 역동성 또한 부분적으로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세 차원의 벡터 값을 활용한 종합적 모델로 제시하고, 그 의의를 설명하였다.
{"title":"미디어 이용의 탈구","authors":"이재현, 강민지, 최순욱, 이소은","doi":"10.22174/JCR.2016.53.2.204","DOIUrl":"https://doi.org/10.22174/JCR.2016.53.2.204","url":null,"abstract":"이 글의 목적은 ‘탈구’의 관점을 통해 미디어 이용의 변화를 설명하는 것이다. 기존의 연구는 미디어 이용의 변화를 과다하게 추정하거나 분절적 집단의 형성이라는 정태적 결과로 바라보고, 미디어 이용의 의미를 시공간 요소와 분리하여 해석하는 한계를 가졌다. 이 글은 탈구 개념을 통해 미디어 이용의 변화를 크기와 방향, 즉 벡터로 표현되는 동태적 과정으로 바라보고, 이를 시계열 자료의 분석을 통해 드러냄으로써 기존 연구의 한계를 이론적, 방법론적으로 극복하고자 하였다. 탈구는 들뢰즈·과타리의 몰적-분자적 동학을 미디어 이용 분석에 적용한 것으로, 주류적 질서와 이탈의 관계에 주목함으로써 변화의 내, 외부적 역동을 보다 정당하게 파악하도록 해 준다. 이 글에서는 탈구를 미디어, 시간, 공간의 세 가지 차원으로 설정하고 각각을 미디어 이용 이벤트, 이용 세션, 이용 장소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통적 이용 행위가 여전히 절대적인 우위를 차지하여 미디어 이용의 탈구가 체감만큼 급진적이지 않으나, 시청 기기의 분화와 같은 내부적 역동성 또한 부분적으로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세 차원의 벡터 값을 활용한 종합적 모델로 제시하고, 그 의의를 설명하였다.","PeriodicalId":46724,"journal":{"name":"Communications-European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volume":"1 1","pages":"204-264"},"PeriodicalIF":1.6,"publicationDate":"2016-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9063866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4,"RegionCategory":"文学","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6-08-01DOI: 10.22174/JCR.2016.53.2.138
Jongsul Lee
{"title":"The Current Changes and the Horizons of Historical Studies on Media in the field of Humanities","authors":"Jongsul Lee","doi":"10.22174/JCR.2016.53.2.138","DOIUrl":"https://doi.org/10.22174/JCR.2016.53.2.138","url":null,"abstract":"","PeriodicalId":46724,"journal":{"name":"Communications-European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volume":"40 1","pages":"138-203"},"PeriodicalIF":1.6,"publicationDate":"2016-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267780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4,"RegionCategory":"文学","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6-08-01DOI: 10.22174/jcr.2016.53.2.349
M. Schudson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는 2016년 6월 15일 마이클 셧슨(Michael Schudson) 미국 컬럼비아대학 저널리즘스쿨 교수를 초청해 공개 특별세미나 ‘The Arrival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ra and the Future of Journalism’을 개최했다. 셧슨 교수 는 이날 기조연설을 진행하였는데, 본 연구소는 국내 독자들을 위해 이 기조연설 녹취록 원문과 번역문을 함께 공개하기로 했다. 연설자의 원래 뜻을 전달하기 위해 가급적 직역하였으나, 일부 내용은 구어의 특성을 감안해 의역이 이루어졌다. 또 한 본문의 주석은 모두 역자가 붙인 것이다.
首尔大学新闻信息研究所于2016年6月15日邀请美国哥伦比亚大学新闻学院教授迈克尔-舒德森举行公开特别研讨会“The Arrival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ra and The Future of Journalism”。翰卜森教授当天进行了基调演讲,本研究所决定为国内读者同时公开该基调演讲录音记录原文和译文。为了传达演讲者的原意,尽量直译,但部分内容考虑到口语的特性,进行了意译。还有一篇课文的注释都是译者加的。
{"title":"Does Journalism’s Past Help Us Know Journalism’s Future?","authors":"M. Schudson","doi":"10.22174/jcr.2016.53.2.349","DOIUrl":"https://doi.org/10.22174/jcr.2016.53.2.349","url":null,"abstract":"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는 2016년 6월 15일 마이클 셧슨(Michael Schudson) \u0000미국 컬럼비아대학 저널리즘스쿨 교수를 초청해 공개 특별세미나 ‘The Arrival of \u0000the Artificial Intelligence Era and the Future of Journalism’을 개최했다. 셧슨 교수 \u0000는 이날 기조연설을 진행하였는데, 본 연구소는 국내 독자들을 위해 이 기조연설 \u0000녹취록 원문과 번역문을 함께 공개하기로 했다. 연설자의 원래 뜻을 전달하기 위해 \u0000가급적 직역하였으나, 일부 내용은 구어의 특성을 감안해 의역이 이루어졌다. 또 \u0000한 본문의 주석은 모두 역자가 붙인 것이다.","PeriodicalId":46724,"journal":{"name":"Communications-European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volume":"467 1","pages":"349-380"},"PeriodicalIF":1.6,"publicationDate":"2016-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899732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4,"RegionCategory":"文学","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6-08-01DOI: 10.22174/JCR.2016.53.2.305
Namhee Hong
{"title":"Features of SNS as Media and the Politics of Discourses: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Judges’ SNS usage","authors":"Namhee Hong","doi":"10.22174/JCR.2016.53.2.305","DOIUrl":"https://doi.org/10.22174/JCR.2016.53.2.305","url":null,"abstract":"","PeriodicalId":46724,"journal":{"name":"Communications-European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volume":"38 1","pages":"305-348"},"PeriodicalIF":1.6,"publicationDate":"2016-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441979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4,"RegionCategory":"文学","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