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 Date : 2023-09-30DOI: 10.33097/jncta.2023.07.09.1480
Sung-Yoon Won, Dong-Eun Lee
껌을 씹는 행동이 마스크 내부 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마스크 종류 별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대상자에게 2종류의 마스크를 배부하고, 마스크를 착용한 채로 15분 동안 껌을 씹도록 하였다. 마스크 내부의 온도와 습도, 세균 오염도(CFU)를 측정하였으며, 검출된 세균의 종류를 확인하기 위해 DNA 염기서열분 석을 시행하였다. 껌 씹기 행동은 마스크 내부의 온도, 습도, 세균 오염도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검출된 세균의 종류는 Staphylococcus 속의 S. epidermidis S. aureus, S. haemolyticus, S. warneri와 Streptococcus 속의 S. parasanguinis, S. infantis, S. koreensis, S. rubneri, S. sanguinis, S. gordonii였다. 마스크 오염도는 KF-AD가 가장 높았으며, KF94 가 그다음이었고, 외과용 마스크가 가장 낮았다.
为了评估嚼口香糖的行为对口罩内部污染的影响,并确认口罩种类是否有差异,进行了本实验。给对象发放了2种口罩,让其戴着口罩嚼口香糖15分钟。对口罩内部的温度、湿度和细菌污染度(CFU)进行了测定,并为确认检测出的细菌种类,进行了DNA碱基测序。嚼口香糖的行为大大增加了口罩内部的温度、湿度、细菌污染度。检测出的细菌种类为Staphylococcus中的S. epidermidis S. aureus, S. haemolyticus, S. warneri和Streptococcus中的S. parasanguinis, S. infantis, S. koreensis, S. rubneri, S. sanguinis, S. gordonii。口罩污染度方面,KF-AD最高,KF94次之,外科口罩最低。
{"title":"Effect of Chewing Gum on the Bacterial Contamination in Different Mask Types","authors":"Sung-Yoon Won, Dong-Eun Lee","doi":"10.33097/jncta.2023.07.09.1480","DOIUrl":"https://doi.org/10.33097/jncta.2023.07.09.1480","url":null,"abstract":"껌을 씹는 행동이 마스크 내부 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마스크 종류 별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대상자에게 2종류의 마스크를 배부하고, 마스크를 착용한 채로 15분 동안 껌을 씹도록 하였다. 마스크 내부의 온도와 습도, 세균 오염도(CFU)를 측정하였으며, 검출된 세균의 종류를 확인하기 위해 DNA 염기서열분 석을 시행하였다. 껌 씹기 행동은 마스크 내부의 온도, 습도, 세균 오염도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검출된 세균의 종류는 Staphylococcus 속의 S. epidermidis S. aureus, S. haemolyticus, S. warneri와 Streptococcus 속의 S. parasanguinis, S. infantis, S. koreensis, S. rubneri, S. sanguinis, S. gordonii였다. 마스크 오염도는 KF-AD가 가장 높았으며, KF94 가 그다음이었고, 외과용 마스크가 가장 낮았다.","PeriodicalId":485513,"journ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volume":"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15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09-30DOI: 10.33097/jncta.2023.07.09.1438
Kyung-Eun Lee
본 연구는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인관계역량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사회적 관계망 접 촉빈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D광역시 2개 대학 간호학과 1학년에 재학 중인 141명 을 대상으로 2022년 5월 15일부터 31일까지 수집한 데이터를 2차 자료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대인관계 역량은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관계망 접촉빈도는 대인관계역량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긍정적 부분매개효과를 가졌다. 사회적 관계망 접촉빈도의 매개효과 설명력은 3.21%로 유의하게 나타났 다. 따라서 간호학과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하여 대인관계역량과 사회적 관계망 접촉빈도 강화가 중 요하다. 이를 위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신입생들이 새로운 사람들과의 교류를 확대할 수 있는 기회 제공과 정 규 교육과정 및 비교과 프로그램을 활용한 타 대학학과와의 연계협력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title":"The Effect of Interpersonal Competency of Nursing Freshmen on College Life Adapta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Network Contact Frequency","authors":"Kyung-Eun Lee","doi":"10.33097/jncta.2023.07.09.1438","DOIUrl":"https://doi.org/10.33097/jncta.2023.07.09.1438","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인관계역량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사회적 관계망 접 촉빈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D광역시 2개 대학 간호학과 1학년에 재학 중인 141명 을 대상으로 2022년 5월 15일부터 31일까지 수집한 데이터를 2차 자료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대인관계 역량은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관계망 접촉빈도는 대인관계역량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긍정적 부분매개효과를 가졌다. 사회적 관계망 접촉빈도의 매개효과 설명력은 3.21%로 유의하게 나타났 다. 따라서 간호학과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하여 대인관계역량과 사회적 관계망 접촉빈도 강화가 중 요하다. 이를 위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신입생들이 새로운 사람들과의 교류를 확대할 수 있는 기회 제공과 정 규 교육과정 및 비교과 프로그램을 활용한 타 대학학과와의 연계협력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PeriodicalId":485513,"journ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volume":"3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14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09-30DOI: 10.33097/jncta.2023.07.09.1391
Chanhee Kwak
모바일 게임에서 인앱 결제(in-app purchase) 모델은 일반적인 비즈니스 모델로 자리 잡았지만, 다양한 이용자에게 만족감을 주는지 아닌지는 의문이었다. 특히, 게임 내에서 결제를 노골적으로 유도하거나, 지나치게 낮 은 확률로 보상을 지급하는 확률형 아이템 판매는 지속적인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모바일 게임 매 출 상위 10개 게임의 리뷰에 대한 토픽 모델링을 수행하여, 현재 높은 매출을 기록하고 있는 게임들에 대한 이용 자들의 평가를 분석하였다. BERTopic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즐거운 경험, 게임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불만, 과금 체계 및 결과에 대한 불만, 게임 운영에 대한 불만, 게임 시작 용이성, 그리고 콘텐츠 자체에 대한 불만 등 여섯 가지 토픽을 도출하였다. 아울러 현재 인앱 결제 모델을 채택한 모바일 게임 운영과 제도 설정에 전략적이며 실천 적인 제언 도출하고, 모바일 게임 리뷰 데이터의 토픽 모델링 분석에 BERT 기반 최신 기법을 적용하여 이론적인 함의를 제시하였다. 이에 더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지속 가능한 모바일 게임 생태계에 대한 논의를 발전시켰다.
{"title":"A Study of Mobile Game Reviews Using Topic Modeling : Focusing on In-App Payment Models","authors":"Chanhee Kwak","doi":"10.33097/jncta.2023.07.09.1391","DOIUrl":"https://doi.org/10.33097/jncta.2023.07.09.1391","url":null,"abstract":"모바일 게임에서 인앱 결제(in-app purchase) 모델은 일반적인 비즈니스 모델로 자리 잡았지만, 다양한 이용자에게 만족감을 주는지 아닌지는 의문이었다. 특히, 게임 내에서 결제를 노골적으로 유도하거나, 지나치게 낮 은 확률로 보상을 지급하는 확률형 아이템 판매는 지속적인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모바일 게임 매 출 상위 10개 게임의 리뷰에 대한 토픽 모델링을 수행하여, 현재 높은 매출을 기록하고 있는 게임들에 대한 이용 자들의 평가를 분석하였다. BERTopic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즐거운 경험, 게임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불만, 과금 체계 및 결과에 대한 불만, 게임 운영에 대한 불만, 게임 시작 용이성, 그리고 콘텐츠 자체에 대한 불만 등 여섯 가지 토픽을 도출하였다. 아울러 현재 인앱 결제 모델을 채택한 모바일 게임 운영과 제도 설정에 전략적이며 실천 적인 제언 도출하고, 모바일 게임 리뷰 데이터의 토픽 모델링 분석에 BERT 기반 최신 기법을 적용하여 이론적인 함의를 제시하였다. 이에 더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지속 가능한 모바일 게임 생태계에 대한 논의를 발전시켰다.","PeriodicalId":485513,"journ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volume":"4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14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09-30DOI: 10.33097/jncta.2023.07.09.1549
Jung-Hwan Cho, Boo-Gil Seok
본 연구는 기계학습법을 활용하여 스포츠센터의 매출액 예측 및 관련 주요 요인을 파악하여 스포츠센터 운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2019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부산광역시 스포츠센터의 일 매출액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매출이 발생한 날짜의 기상정보를 수집하고 주말여부, 계절, 부산시 일일 코로나 확진자 데이터를 수집하여 설명변수로 투입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Python ver 3.8로 분석하였으며 선형 회귀 모형, 랜덤포레스트, XGboost 3가지의 기계학습 모형을 사용해 예측력을 교차 검증하였 다. 교차검증 결과 XGboost 모델이 가장 높은 예측력을 보여주었으며 스포츠센터 매출액에 대한 예측을 실시하였 을 때 57.9%의 정확도를 나타냈다. 요인 중요도 분석결과 계절, 날씨 요인이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 의 결과를 토대로 기상정보와 날짜 등을 고려하여 스포츠센터 경영자들에게 좀 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면 시 설 운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本研究的目的是利用机器学习法,掌握体育中心的销售额预测及相关主要因素,提供体育中心运营所需的基础资料。为了进行研究,从2019年1月开始到2022年12月为止,收集了釜山广域市体育中心的日销售额数据。收集销售发生日期的气象信息,收集周末与否,季节,釜山市每日科罗纳确诊者数据,作为说明变数投入。收集的数据被分析为Python ver 3.8,并使用线性回归模型、随机森林模型和XGboost 3种机器学习模型交叉验证了预测能力。交叉验证的结果显示,XGboost模型的预测能力最高,体育中心销售额预测的准确度为57.9%。因素的重要度分析结果显示,季节、天气因素被广泛使用,以本研究的结果为基础,考虑气象信息和日期等,向体育中心的经营者们提供更准确的信息的话,会对设施的运营有所帮助。
{"title":"Study on Development of Sports Center Sales Prediction Model Using Machine Learning","authors":"Jung-Hwan Cho, Boo-Gil Seok","doi":"10.33097/jncta.2023.07.09.1549","DOIUrl":"https://doi.org/10.33097/jncta.2023.07.09.1549","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기계학습법을 활용하여 스포츠센터의 매출액 예측 및 관련 주요 요인을 파악하여 스포츠센터 운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2019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부산광역시 스포츠센터의 일 매출액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매출이 발생한 날짜의 기상정보를 수집하고 주말여부, 계절, 부산시 일일 코로나 확진자 데이터를 수집하여 설명변수로 투입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Python ver 3.8로 분석하였으며 선형 회귀 모형, 랜덤포레스트, XGboost 3가지의 기계학습 모형을 사용해 예측력을 교차 검증하였 다. 교차검증 결과 XGboost 모델이 가장 높은 예측력을 보여주었으며 스포츠센터 매출액에 대한 예측을 실시하였 을 때 57.9%의 정확도를 나타냈다. 요인 중요도 분석결과 계절, 날씨 요인이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 의 결과를 토대로 기상정보와 날짜 등을 고려하여 스포츠센터 경영자들에게 좀 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면 시 설 운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PeriodicalId":485513,"journ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volume":"4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15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09-30DOI: 10.33097/jncta.2023.07.09.1421
Kyoungho Choi
오늘날 현대인들은 건강에 관한 관심이 많은바, 이에 따라 국가에서 제공하는 국민건강검진뿐만 아니라, 개인적으로 건강검진을 받기도 한다. 특히 개인적으로 받는 건강검진과 관련해서는 주요 검사항목으로 기본검진 외에 암(cancer)과 관련된 사항들이 대부분인데, 이 과정에서 고가의 방사선 의료장비가 활용되고 있다. 보건의료 시설 및 장비 등은 형평과 효율이라는 원칙으로 공급되고 관리되어야 한다. 그런데 너무 효율만을 강조하다 보면 형평성이 확보되지 못해, 국민의 건강권이 보장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방사선 의료자원의 불균형 여부 가 어떤지를 탐색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통계적 방법 및 빅데이터 분석 방법의 하나인 체르노프 얼굴 분석 등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방사선 고가의료장비 뿐만 아니라, 방사선사에 대해서도 지역 간 불균형이 심한 것으로 나타 났다. 의료법 제1조 대로 모든 국민은 수준 높은 의료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고가의료장비에 대한 지역별 불균형이 해소될 필요가 있음을 실증적 자료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title":"Investigating Disparities in Regional Radiological Medical Resources and Exploring Remedial Approaches","authors":"Kyoungho Choi","doi":"10.33097/jncta.2023.07.09.1421","DOIUrl":"https://doi.org/10.33097/jncta.2023.07.09.1421","url":null,"abstract":"오늘날 현대인들은 건강에 관한 관심이 많은바, 이에 따라 국가에서 제공하는 국민건강검진뿐만 아니라, 개인적으로 건강검진을 받기도 한다. 특히 개인적으로 받는 건강검진과 관련해서는 주요 검사항목으로 기본검진 외에 암(cancer)과 관련된 사항들이 대부분인데, 이 과정에서 고가의 방사선 의료장비가 활용되고 있다. 보건의료 시설 및 장비 등은 형평과 효율이라는 원칙으로 공급되고 관리되어야 한다. 그런데 너무 효율만을 강조하다 보면 형평성이 확보되지 못해, 국민의 건강권이 보장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방사선 의료자원의 불균형 여부 가 어떤지를 탐색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통계적 방법 및 빅데이터 분석 방법의 하나인 체르노프 얼굴 분석 등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방사선 고가의료장비 뿐만 아니라, 방사선사에 대해서도 지역 간 불균형이 심한 것으로 나타 났다. 의료법 제1조 대로 모든 국민은 수준 높은 의료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고가의료장비에 대한 지역별 불균형이 해소될 필요가 있음을 실증적 자료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PeriodicalId":485513,"journ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volume":"4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15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09-30DOI: 10.33097/jncta.2023.07.09.1527
Yeo-Myeong Choi
본 논문은 4차 산업혁명 환경속에서 지속가능한 경영과 혁신을 위해 전사적 품질경영활동을 도입하고 실 행중인 국내 제조기반 중소기업의 생산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활동요인을 분석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전 략적 추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제조기반 중소기업에 재직중인 임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를 진행하여 수집된 324부를 SPSS 23.0, AMOS 23.0을 활용해 실증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전사적 품질경영활 동의 5가지 하위요인들이 생산성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급변하는 4차 산업환경에서 제조기반 중소기업의 경영진이 전략적으로 시스템을 구축하고 실행하는 목적인 생산 성 향상에 전통적인 전사적 품질경영활동이 근원적 활동으로써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itle":"Effects of Total Quality Management Activities on Productivity of Manufacturing-based SMEs","authors":"Yeo-Myeong Choi","doi":"10.33097/jncta.2023.07.09.1527","DOIUrl":"https://doi.org/10.33097/jncta.2023.07.09.1527","url":null,"abstract":"본 논문은 4차 산업혁명 환경속에서 지속가능한 경영과 혁신을 위해 전사적 품질경영활동을 도입하고 실 행중인 국내 제조기반 중소기업의 생산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활동요인을 분석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전 략적 추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제조기반 중소기업에 재직중인 임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를 진행하여 수집된 324부를 SPSS 23.0, AMOS 23.0을 활용해 실증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전사적 품질경영활 동의 5가지 하위요인들이 생산성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급변하는 4차 산업환경에서 제조기반 중소기업의 경영진이 전략적으로 시스템을 구축하고 실행하는 목적인 생산 성 향상에 전통적인 전사적 품질경영활동이 근원적 활동으로써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PeriodicalId":485513,"journ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volume":"4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14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09-30DOI: 10.33097/jncta.2023.07.09.1376
Joon Min Lee, Kyeong Tae Kim, Jae Young Choi
대기 중 미세먼지 (Particular Matter)의 높은 농도에 노출되는 것은 인간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많은 연구가 미세먼지가 특히 높은 농도에서 인간에게 매우 유독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이유로 여러 국 가가 미세먼지 농도를 규제하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미세먼지 피해를 줄이기 위해 PM 농도 기반 의 조기 경보 시스템이 필요다. 본 논문에서 대한민국 서울의 PM2.5 농도를 예측하기 위해 3D CNN을 활용한 새로운 앙상블 예측 접근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매 6시간 최대 2일 동안 관측된 데이터에 대한 시공간 데이터 의 특징을 추출하고 결합하기 위해 공간 정보뿐만 아니라 시간 정보도 활용할 수 있는 3D CNN의 앙상블 예측을 사용한다. 결합한 특징은 공유 계층을 통해 의미 있는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개별 계층을 통해 시간별로 예측된 농 도를 반환한다. 제안된 방법은 서울 메트로폴리탄 지역의 PM2.5 및 기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2015년 1월 1일부터 2021년 2월 28일까지 예측을 수행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PM 2.5 관측 (실제 값), CMAQ 예측 및 ConvLSTM에 대해 종합적으로 모델을 평가하였다. 예측 성능 측면에서, 제안된 방법은 널리 사용되는 예측 모델과 비교하여 7.06%의 향상된 예측 정확도, 4.28%의 향상된 고농도 탐지율, 오경보율을 11.77%만큼 개선하였다.
{"title":"Ensemble Prediction of 3D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for the Prediction of PM2.5 Level for the Seoul, Republic of Korea","authors":"Joon Min Lee, Kyeong Tae Kim, Jae Young Choi","doi":"10.33097/jncta.2023.07.09.1376","DOIUrl":"https://doi.org/10.33097/jncta.2023.07.09.1376","url":null,"abstract":"대기 중 미세먼지 (Particular Matter)의 높은 농도에 노출되는 것은 인간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많은 연구가 미세먼지가 특히 높은 농도에서 인간에게 매우 유독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이유로 여러 국 가가 미세먼지 농도를 규제하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미세먼지 피해를 줄이기 위해 PM 농도 기반 의 조기 경보 시스템이 필요다. 본 논문에서 대한민국 서울의 PM2.5 농도를 예측하기 위해 3D CNN을 활용한 새로운 앙상블 예측 접근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매 6시간 최대 2일 동안 관측된 데이터에 대한 시공간 데이터 의 특징을 추출하고 결합하기 위해 공간 정보뿐만 아니라 시간 정보도 활용할 수 있는 3D CNN의 앙상블 예측을 사용한다. 결합한 특징은 공유 계층을 통해 의미 있는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개별 계층을 통해 시간별로 예측된 농 도를 반환한다. 제안된 방법은 서울 메트로폴리탄 지역의 PM2.5 및 기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2015년 1월 1일부터 2021년 2월 28일까지 예측을 수행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PM 2.5 관측 (실제 값), CMAQ 예측 및 ConvLSTM에 대해 종합적으로 모델을 평가하였다. 예측 성능 측면에서, 제안된 방법은 널리 사용되는 예측 모델과 비교하여 7.06%의 향상된 예측 정확도, 4.28%의 향상된 고농도 탐지율, 오경보율을 11.77%만큼 개선하였다.","PeriodicalId":485513,"journ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volume":"2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15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09-30DOI: 10.33097/jncta.2023.07.09.1399
Ji-Yeon Moon, Eui Chul Lee
본 연구의 목적은 2020 도쿄올림픽에서 9연패를 이뤄낸 한국 여자 양궁 대표 선수들의 올림픽 라운드 개 인전 64강부터 결승전까지, 단체전 8강부터 결승전까지 경기의 슈팅타임을 측정하고, 이를 화살 발사 순서, 선수 개인별, 경기 분류에 따라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여 경기 요인으로서의 점수와의 연관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개인전 및 단체전 중계 영상을 수집하여 영상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슈팅 타임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확인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화살 발사 순서에 따른 슈팅타임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지만 점수와 표적 점수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선수 개인별 슈팅타임은 통계적 신뢰수준 99% 이상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점수는 95%, 표적점수는 90%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슈팅타임의 표준편차가 가장 적게 나타난 선수가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셋째, 경기 분류에 따라 슈팅타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점수와 표적 점수에 대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단체전 경기보다 개인전 경기에서 슈팅타임이 일관성 있 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여자 엘리트 양궁 선수들은 화살 발사 순서, 선수 개인별, 경기 분류에 따라 슈팅타임에 영향이 있었으나, 선수 개인별 슈팅타임의 일관성 이외에는 경기력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itle":"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Shooting Time of Elite Archers and Athletic Performance : Case Study of the Korean National Team in Women’s Archery at the 2020 Tokyo Olympics","authors":"Ji-Yeon Moon, Eui Chul Lee","doi":"10.33097/jncta.2023.07.09.1399","DOIUrl":"https://doi.org/10.33097/jncta.2023.07.09.1399","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2020 도쿄올림픽에서 9연패를 이뤄낸 한국 여자 양궁 대표 선수들의 올림픽 라운드 개 인전 64강부터 결승전까지, 단체전 8강부터 결승전까지 경기의 슈팅타임을 측정하고, 이를 화살 발사 순서, 선수 개인별, 경기 분류에 따라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여 경기 요인으로서의 점수와의 연관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개인전 및 단체전 중계 영상을 수집하여 영상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슈팅 타임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확인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화살 발사 순서에 따른 슈팅타임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지만 점수와 표적 점수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선수 개인별 슈팅타임은 통계적 신뢰수준 99% 이상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점수는 95%, 표적점수는 90%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슈팅타임의 표준편차가 가장 적게 나타난 선수가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셋째, 경기 분류에 따라 슈팅타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점수와 표적 점수에 대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단체전 경기보다 개인전 경기에서 슈팅타임이 일관성 있 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여자 엘리트 양궁 선수들은 화살 발사 순서, 선수 개인별, 경기 분류에 따라 슈팅타임에 영향이 있었으나, 선수 개인별 슈팅타임의 일관성 이외에는 경기력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PeriodicalId":485513,"journ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volume":"1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15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23-09-30DOI: 10.33097/jncta.2023.07.09.1488
Byong-Sam Jung
본 연구의 목적은 2020년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에 나타난 중학생의 과학 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학교수준 변수와 학생수준 변수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시행한 2020년도의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의 중학생 과학성적과 설문조사 데이터 분석했다. 데이터에 포함된 대상은 중학교 212개교, 교사 481명, 중학생 10,605명이며, 설문조사 결과 및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가 포함되어있다. 분석에 포함된 변수는 학교수준 6개, 학생수준 7개이고, 자료분석을 위해서 다층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적용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팬데믹 기간인 2020년도 학교수준 변수들 가운데 교사의 과학수업활동(γ=.41, p<.001), 원격수업만족도(γ=-.14, p<.05) 등이 과학성적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특히 과학교사의 수업활동은 학생들의 성취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고, 원격수업 관련 변수 중에서는 교사제작 쌍방향 수업방식이 가장 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title":"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during Covid19 Pandemic","authors":"Byong-Sam Jung","doi":"10.33097/jncta.2023.07.09.1488","DOIUrl":"https://doi.org/10.33097/jncta.2023.07.09.1488","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2020년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에 나타난 중학생의 과학 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학교수준 변수와 학생수준 변수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시행한 2020년도의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의 중학생 과학성적과 설문조사 데이터 분석했다. 데이터에 포함된 대상은 중학교 212개교, 교사 481명, 중학생 10,605명이며, 설문조사 결과 및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가 포함되어있다. 분석에 포함된 변수는 학교수준 6개, 학생수준 7개이고, 자료분석을 위해서 다층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적용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팬데믹 기간인 2020년도 학교수준 변수들 가운데 교사의 과학수업활동(γ=.41, p<.001), 원격수업만족도(γ=-.14, p<.05) 등이 과학성적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특히 과학교사의 수업활동은 학생들의 성취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고, 원격수업 관련 변수 중에서는 교사제작 쌍방향 수업방식이 가장 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PeriodicalId":485513,"journ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volume":"1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15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본 논문은 다중 GNSS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저복잡도를 갖는 신호 획득 기법을 제안하고, FPGA에 구 현하기 위한 효율적인 구조를 제안한다. 기존 Binary Offset Carrier(BOC) 변조 기반의 GNSS 신호는 GNSS 수 신기에서 다중 첨두 현상을 피하고자 최소 4배 오버샘플링이 필요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GPS와 GLONASS와 같 이 최소 2배 오버샘플링만으로도 신호 획득 과정에서 다중 첨두 현상을 피해 충분한 정밀도를 얻을 수 있는 기법 을 제안했다.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 기존 기법 대비 절반의 복잡도로 동일 성능을 얻을 수 있음을 보였으며 제 안 기법을 기반으로 실제 구현을 위한 효율적인 구조를 제안하여 Verilog-HDL을 사용해 Xilinx Kintex-7 FPGA 보드에 구현하였다. 그 결과 기존 기법에 비해 하드웨어 자원 소모는 줄이고 성능은 동일함을 확인함으로 써 제안 기법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title":"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mputationally Efficient Signal Acquisition Method for Multi-GNSS Receiver","authors":"Yeong-bin Ryu, Hyun-hee Won, Jun-woo Jung, Haeng-ik Kang, Seung-bok Kwon, Hyuk-jun Oh","doi":"10.33097/jncta.2023.07.09.1368","DOIUrl":"https://doi.org/10.33097/jncta.2023.07.09.1368","url":null,"abstract":"본 논문은 다중 GNSS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저복잡도를 갖는 신호 획득 기법을 제안하고, FPGA에 구 현하기 위한 효율적인 구조를 제안한다. 기존 Binary Offset Carrier(BOC) 변조 기반의 GNSS 신호는 GNSS 수 신기에서 다중 첨두 현상을 피하고자 최소 4배 오버샘플링이 필요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GPS와 GLONASS와 같 이 최소 2배 오버샘플링만으로도 신호 획득 과정에서 다중 첨두 현상을 피해 충분한 정밀도를 얻을 수 있는 기법 을 제안했다.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 기존 기법 대비 절반의 복잡도로 동일 성능을 얻을 수 있음을 보였으며 제 안 기법을 기반으로 실제 구현을 위한 효율적인 구조를 제안하여 Verilog-HDL을 사용해 Xilinx Kintex-7 FPGA 보드에 구현하였다. 그 결과 기존 기법에 비해 하드웨어 자원 소모는 줄이고 성능은 동일함을 확인함으로 써 제안 기법의 성능을 검증하였다.","PeriodicalId":485513,"journal":{"name":"차세대융합기술학회 논문지","volume":"4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503216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