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 Date : 2018-12-01DOI: 10.17792/kcs.2018.35..147
서승희
{"title":"A Study on Publication Planning of Inmunsa Focusing on Publication of Volumes and Series","authors":"서승희","doi":"10.17792/kcs.2018.35..147","DOIUrl":"https://doi.org/10.17792/kcs.2018.35..147","url":null,"abstract":"","PeriodicalId":149053,"journ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volume":"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128317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8-12-01DOI: 10.17792/kcs.2018.35..119
김소연
{"title":"Iconology of Chae Yong-shin’s Portraits : Focusing on Portraits with the Folding Screens of Landscape for Background","authors":"김소연","doi":"10.17792/kcs.2018.35..119","DOIUrl":"https://doi.org/10.17792/kcs.2018.35..119","url":null,"abstract":"","PeriodicalId":149053,"journ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volume":"60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453616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8-11-01DOI: 10.17948/KCS.2018..81.481
Hyun-sik Choi
{"title":"The tradition and modernity of 'children'―Jeong, Ji-Yong and Children’s Poems―","authors":"Hyun-sik Choi","doi":"10.17948/KCS.2018..81.481","DOIUrl":"https://doi.org/10.17948/KCS.2018..81.481","url":null,"abstract":"","PeriodicalId":149053,"journ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volume":" 84","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394796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8-06-01DOI: 10.17792/kcs.2018.34..345
이재열
{"title":"The Role of Urban Poor Subjects in the Formation of Land Readjustment Driven Urban Landscape in Seoul, South Korea: A Geo-Historical Exploration of 56-40 Dae-Hyeon Dong(Past Howondang Building Location) in Seodaemun District","authors":"이재열","doi":"10.17792/kcs.2018.34..345","DOIUrl":"https://doi.org/10.17792/kcs.2018.34..345","url":null,"abstract":"","PeriodicalId":149053,"journ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volume":"14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452947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8-06-01DOI: 10.17792/kcs.2018.34..39
김종학
이 글의 목적은 일본의 근대 실증사학이 형성된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고, 그 맥락에서 다보하시 기요시(田保橋潔)의 조선사 연구의 특징과 한계를 고찰하는 데 있다. 모든 역사학은 기본적으로 실증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실증사학이라는 말은 동어반복에 지나지 않는다. 이 글은 일본의 근대 실증사학의 본질은 사료의 수집과 해석에 관한 합리적 방법론이 아니라, 역사가의 존재와 목소리를 감추는 것을 미덕으로 여기는 역사학계의 에토스에 있었다고 주장한다. 랑케사학의 권위는 역사가들이 그 역할을 방대한 1차 문헌의 수집과 정리로 제한하는 것을 정당화했지만, 그 전유(專有) 과정에서 본연의 역사신학적 전제나 독일 역사주의 전통이 사상(捨象)된 것 또한 불가피한 귀결이었다. 다보하시 기요시의 조선사 연구, 특히 『근대 일선관계의 연구(近代日鮮關係の硏究)』(1940)는 근대 일본 실증사학의 전범(典範)이었다. 그러나 역사가가 주관을 배제하고 1차 문헌에 기록된 대로만 역사를 서술하면 객관적 진리에 도달할 수 있다는 근대 실증사학의 전망은 끝내 실현되지 않았다. 다보하시의 조선사 연구에서 나타난 불편한 진실에 대한 침묵이나 역사인식의 범용함과 같은 문제점은 상당부분 근대 일본 실증사학의 에토스로부터 유래한 병증(病症)이었다.
{"title":"The Ethos of the Modern Japanese Positive History and Tabohashi Kiyoshi's Study on Joseon History","authors":"김종학","doi":"10.17792/kcs.2018.34..39","DOIUrl":"https://doi.org/10.17792/kcs.2018.34..39","url":null,"abstract":"이 글의 목적은 일본의 근대 실증사학이 형성된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고, 그 맥락에서 다보하시 기요시(田保橋潔)의 조선사 연구의 특징과 한계를 고찰하는 데 있다. 모든 역사학은 기본적으로 실증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실증사학이라는 말은 동어반복에 지나지 않는다. 이 글은 일본의 근대 실증사학의 본질은 사료의 수집과 해석에 관한 합리적 방법론이 아니라, 역사가의 존재와 목소리를 감추는 것을 미덕으로 여기는 역사학계의 에토스에 있었다고 주장한다. 랑케사학의 권위는 역사가들이 그 역할을 방대한 1차 문헌의 수집과 정리로 제한하는 것을 정당화했지만, 그 전유(專有) 과정에서 본연의 역사신학적 전제나 독일 역사주의 전통이 사상(捨象)된 것 또한 불가피한 귀결이었다. 다보하시 기요시의 조선사 연구, 특히 『근대 일선관계의 연구(近代日鮮關係の硏究)』(1940)는 근대 일본 실증사학의 전범(典範)이었다. 그러나 역사가가 주관을 배제하고 1차 문헌에 기록된 대로만 역사를 서술하면 객관적 진리에 도달할 수 있다는 근대 실증사학의 전망은 끝내 실현되지 않았다. 다보하시의 조선사 연구에서 나타난 불편한 진실에 대한 침묵이나 역사인식의 범용함과 같은 문제점은 상당부분 근대 일본 실증사학의 에토스로부터 유래한 병증(病症)이었다.","PeriodicalId":149053,"journ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volume":"5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436001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8-06-01DOI: 10.17792/kcs.2018.34..397
유진희
{"title":"Journey to the De-constructing Post/Colonial Masculinity-Book Review: Heo yun, A Study on Male Performativity in 1950’s Modern Korean Novels","authors":"유진희","doi":"10.17792/kcs.2018.34..397","DOIUrl":"https://doi.org/10.17792/kcs.2018.34..397","url":null,"abstract":"","PeriodicalId":149053,"journ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volume":"5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923296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8-06-01DOI: 10.17792/kcs.2018.34..123
JEON HOTAE
고구려 고분벽화는 문화사, 예술사, 종교·사상사, 사회사적 가치와 의미를 모두 지닌 유적이다. 문화사적 측면에서 고구려 고분벽화는 문화적 보편성과 독자성이 구현되고 문화 재창조의 과정이 확인되는 유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고분벽화는 고구려에서 이루어진 문화·예술 교류의 과정과 결과를 담은 작품이기도 하다. 고분벽화는 고구려 생활문화사의 입체적 이해 및 원형에 대한 추적을 가능하게 해주며 과학기술사적 성취과정과 결과도 확인시켜 준다. 예술사적 측면에서 볼 때 고분벽화는 외래 문화요소임에도 불구하고 고구려 예술 장르로서 독자적 위상을 확보한 좋은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고분벽화는 고구려에서 이루어진 예술 제재의 개성적 재해석과 재구성 과정에 대한 접근과 이해를 가능하게 해주며 회화사적 기법과 양식의 전개 과정을 밝히고 성취수준을 확인시켜 주는 의미 있는 예술작품이기도 하다. 종교·사상사적 측면에서 주목되는 것은 고분벽화가 고구려인이 지니고 있던 내세관, 세계관을 형상화하여 드러내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는 사실이다. 이는 내세관, 세계관의 바탕을 이루는 종교·신앙의 전개과정을 파악하게 한다는 의미도 지닌다. 고분벽화는 또한 고구려인이 지닌 내세관, 종교·신앙과 관련된 관념과 형상, 무덤 구조의 연동 관계를 확인시켜 준다. 사회사적 측면에서 고분벽화는 고구려 역사·문화 복원의 기초 자료를 제공해 주는 의미 있는 유적이다. 고분벽화는 고구려 사회질서와 신분 관계의 재구성에도 활용될 수 있다. 고분벽화는 고구려 사회사, 문화사, 예술사, 종교사의 복합적 이해도 가능하게 한다.
{"title":"Value and Meaning of Koguryŏ Tomb Murals as Cultural Heritage","authors":"JEON HOTAE","doi":"10.17792/kcs.2018.34..123","DOIUrl":"https://doi.org/10.17792/kcs.2018.34..123","url":null,"abstract":"고구려 고분벽화는 문화사, 예술사, 종교·사상사, 사회사적 가치와 의미를 모두 지닌 유적이다. 문화사적 측면에서 고구려 고분벽화는 문화적 보편성과 독자성이 구현되고 문화 재창조의 과정이 확인되는 유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고분벽화는 고구려에서 이루어진 문화·예술 교류의 과정과 결과를 담은 작품이기도 하다. 고분벽화는 고구려 생활문화사의 입체적 이해 및 원형에 대한 추적을 가능하게 해주며 과학기술사적 성취과정과 결과도 확인시켜 준다. 예술사적 측면에서 볼 때 고분벽화는 외래 문화요소임에도 불구하고 고구려 예술 장르로서 독자적 위상을 확보한 좋은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고분벽화는 고구려에서 이루어진 예술 제재의 개성적 재해석과 재구성 과정에 대한 접근과 이해를 가능하게 해주며 회화사적 기법과 양식의 전개 과정을 밝히고 성취수준을 확인시켜 주는 의미 있는 예술작품이기도 하다.\u0000종교·사상사적 측면에서 주목되는 것은 고분벽화가 고구려인이 지니고 있던 내세관, 세계관을 형상화하여 드러내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는 사실이다. 이는 내세관, 세계관의 바탕을 이루는 종교·신앙의 전개과정을 파악하게 한다는 의미도 지닌다. 고분벽화는 또한 고구려인이 지닌 내세관, 종교·신앙과 관련된 관념과 형상, 무덤 구조의 연동 관계를 확인시켜 준다.\u0000사회사적 측면에서 고분벽화는 고구려 역사·문화 복원의 기초 자료를 제공해 주는 의미 있는 유적이다. 고분벽화는 고구려 사회질서와 신분 관계의 재구성에도 활용될 수 있다. 고분벽화는 고구려 사회사, 문화사, 예술사, 종교사의 복합적 이해도 가능하게 한다.","PeriodicalId":149053,"journ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volume":"6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033460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8-05-01DOI: 10.17948/KCS.2018..79.129
Jin-han Lee
{"title":"A Study on Records in 'Samgukyusa' Regarding Transport of Bul-a (Buddha’s tooth) during the Reign of King Yejong and the Messenger","authors":"Jin-han Lee","doi":"10.17948/KCS.2018..79.129","DOIUrl":"https://doi.org/10.17948/KCS.2018..79.129","url":null,"abstract":"","PeriodicalId":149053,"journ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volume":"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05-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909814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A Study on the Origin of the Concept of ‘Medium Plays’ through the Wonsan Regional Theater in the 1920s and 1930s","authors":"Kim, Namseok","doi":"10.17948/KCS.2018..79.7","DOIUrl":"https://doi.org/10.17948/KCS.2018..79.7","url":null,"abstract":"","PeriodicalId":149053,"journ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volume":"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05-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962452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8-02-01DOI: 10.17948/kcs.2018..78.125
Jae-gwang Kang
{"title":"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Victory of Gwangjusanseong(廣州山城) Battle of Yi Sehwa(李世華) in the Period of the War against Mongol","authors":"Jae-gwang Kang","doi":"10.17948/kcs.2018..78.125","DOIUrl":"https://doi.org/10.17948/kcs.2018..78.125","url":null,"abstract":"","PeriodicalId":149053,"journ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volume":"2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0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615298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