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最新文献

The Korean Cultural Studies最新文献

英文 中文
An Introduction to Haehaenggi 海行基简介
Pub Date : 2018-02-01 DOI: 10.17948/kcs.2018..78.323
W. Chung
{"title":"An Introduction to Haehaenggi","authors":"W. Chung","doi":"10.17948/kcs.2018..78.323","DOIUrl":"https://doi.org/10.17948/kcs.2018..78.323","url":null,"abstract":"","PeriodicalId":149053,"journ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volume":"8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0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623884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Study on the Korean Collective Poetry (of The Year 1946) 韩国集体诗歌研究(一九四六年)
Pub Date : 2018-02-01 DOI: 10.17948/kcs.2018..78.43
Jiyon Shin
{"title":"A Study on the Korean Collective Poetry (of The Year 1946)","authors":"Jiyon Shin","doi":"10.17948/kcs.2018..78.43","DOIUrl":"https://doi.org/10.17948/kcs.2018..78.43","url":null,"abstract":"","PeriodicalId":149053,"journ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volume":"2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0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354097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Study On Fruit Supply To The Royal Court In Joseon Dynasty 朝鲜王朝宫廷水果供应研究
Pub Date : 2017-12-01 DOI: 10.17792/KCS.2017.33..175
Kim Hai Yin
{"title":"Study On Fruit Supply To The Royal Court In Joseon Dynasty","authors":"Kim Hai Yin","doi":"10.17792/KCS.2017.33..175","DOIUrl":"https://doi.org/10.17792/KCS.2017.33..175","url":null,"abstract":"","PeriodicalId":149053,"journ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volume":"7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748338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중동에서의 한국학 동향과 전망 -이스라엘을 중심으로- 韩国学在中东的动向与展望——以以色列为中心
Pub Date : 2017-12-01 DOI: 10.17792/KCS.2017.33..263
이주연
{"title":"중동에서의 한국학 동향과 전망 -이스라엘을 중심으로-","authors":"이주연","doi":"10.17792/KCS.2017.33..263","DOIUrl":"https://doi.org/10.17792/KCS.2017.33..263","url":null,"abstract":"","PeriodicalId":149053,"journ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volume":"3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786180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유리천장을 깨고 싶던 여성의 협력적 삶 쓰기 -박남옥, 『박남옥-한국 첫 여성 영화감독』 (마음산책, 2017)- 朴南玉,《朴南玉——韩国第一位女电影导演》(心灵散步2017)——
Pub Date : 2017-12-01 DOI: 10.17792/KCS.2017.33..249
조일동
{"title":"유리천장을 깨고 싶던 여성의 협력적 삶 쓰기 -박남옥, 『박남옥-한국 첫 여성 영화감독』 (마음산책, 2017)-","authors":"조일동","doi":"10.17792/KCS.2017.33..249","DOIUrl":"https://doi.org/10.17792/KCS.2017.33..249","url":null,"abstract":"","PeriodicalId":149053,"journ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volume":"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164126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21세기 한국 사회에서 제3세대 재일조선인의 담론 구성 -축구 선수 정대세를 중심으로- 构成21世纪韩国社会第三代在日朝鲜人的讨论-以足球选手郑大世为中心
Pub Date : 2017-12-01 DOI: 10.17792/KCS.2017.33..211
조영한
본 연구는 21세기 한국 사회에서 제3세대 재일조선인의 담론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2010년 월드컵 대회에 북한 대표팀으로 출전하여 스타가 된 정대세 선수에 대한 언론 보도를 분석한다. 정대세는 일본 나고야에서 출생한 제3세대 재일조선인으로서 아버지로부터 한국 국적을 물려받았지만, 월드컵 출전을 위하여 북한 여권을 발급받았다. 2010년 월드컵의 활약으로 정대세는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으며 월드컵 이후에는 독일, 한국 그리고 일본에서 프로축구 선수로 뛰고 있다. 자신의 정체성 및 생각을 뚜렷하게 표현하는 정대세는 한국 언론을 통하여 많이 소개되면서 한국 사회에서 큰 이슈가 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2007년부터 2013년까지 정대세에 대한 한국 언론을 분석하여 주요 담론의 특성을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었다. 그 결과 정대세 담론은 유연한 시민권자로서, 살아있는 역사로서, 그리고 이데올로기 분쟁의 장으로 제3세대 재일조선인을 상징적으로 구성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정대세에 대한 한국 미디어의 담론은 여전히 한국 사회에 식민과 냉전의 기억, 상처 그리고 구조적인 잔재가 남아있음을 시사해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제3세대 재일조선인의 대표적 개인으로 정대세에 대한 한국 사회의 담론을 분석함으로서 한국 사회의 탈식민 및 탈냉전의 가능성을 재고해보고자 하였다.
本研究为了观察21世纪韩国社会第3代在日朝鲜人的谈论情况,对2010年世界杯上作为朝鲜代表队出战并成为明星的郑大世选手的媒体报道进行了分析。郑大世出生于日本名古屋,是第三代旅日朝鲜人,他从父亲那里继承了韩国国籍,但为了参加世界杯,他获得了北韩护照。因在2010年世界杯上的出色表现,郑大世受到了全世界的关注。世界杯结束后,他在德国、韩国、日本等国家担任职业足球选手。郑大世鲜明地表达了自己的认同感和想法,通过韩国媒体被广泛介绍,在韩国社会也成为热门话题。本研究从2007年到2013年对韩国媒体的郑大世进行了分析,将主要讨论的特性大致分为三个部分。其结果,郑大世主张作为灵活的市民权者、活生生的历史、意识形态纷争的场所,象征性地构成了第3代在日朝鲜人。韩国媒体对郑大世的言论暗示,韩国社会仍然存在殖民和冷战的记忆、创伤以及结构性残余。最终本研究作为第3代在日朝鲜人的代表个人,分析了韩国社会对郑大世的谈论,试图重新考虑韩国社会脱离殖民和脱离冷战的可能性。
{"title":"21세기 한국 사회에서 제3세대 재일조선인의 담론 구성 -축구 선수 정대세를 중심으로-","authors":"조영한","doi":"10.17792/KCS.2017.33..211","DOIUrl":"https://doi.org/10.17792/KCS.2017.33..211","url":null,"abstract":"본 연구는 21세기 한국 사회에서 제3세대 재일조선인의 담론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2010년 월드컵 대회에 북한 대표팀으로 출전하여 스타가 된 정대세 선수에 대한 언론 보도를 분석한다. 정대세는 일본 나고야에서 출생한 제3세대 재일조선인으로서 아버지로부터 한국 국적을 물려받았지만, 월드컵 출전을 위하여 북한 여권을 발급받았다. 2010년 월드컵의 활약으로 정대세는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으며 월드컵 이후에는 독일, 한국 그리고 일본에서 프로축구 선수로 뛰고 있다. 자신의 정체성 및 생각을 뚜렷하게 표현하는 정대세는 한국 언론을 통하여 많이 소개되면서 한국 사회에서 큰 이슈가 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2007년부터 2013년까지 정대세에 대한 한국 언론을 분석하여 주요 담론의 특성을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었다. 그 결과 정대세 담론은 유연한 시민권자로서, 살아있는 역사로서, 그리고 이데올로기 분쟁의 장으로 제3세대 재일조선인을 상징적으로 구성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정대세에 대한 한국 미디어의 담론은 여전히 한국 사회에 식민과 냉전의 기억, 상처 그리고 구조적인 잔재가 남아있음을 시사해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제3세대 재일조선인의 대표적 개인으로 정대세에 대한 한국 사회의 담론을 분석함으로서 한국 사회의 탈식민 및 탈냉전의 가능성을 재고해보고자 하였다.","PeriodicalId":149053,"journ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volume":"11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746258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1940~50년대 ‘전시체제’와 국영전력사업체의 등장 20世纪40至50年代的“战时体制”和国营电力公司的登场
Pub Date : 2017-12-01 DOI: 10.17792/kcs.2017.33..63
노상호
한국의 전력사업(電力事業)은 제2차 세계대전과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국가의 관리와 통제라는 원칙을 유지, 발전시켰다. 에너지의 생산과 배분은 시민들이나 사기업이 관여할 수 없는 국가적 사업이라는 인식과 제도가 20세기 중반 전쟁의 경험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본고에서 필자는 조선전업주식회사(朝鮮電業株式會社)의 형성과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1930년대 말부터 등장한 전시체제의 자원관리를 분석하였다. 소위 혁신관료라고 불리는 일제의 전시관료집단은 기존의 시장경제원칙을 불신하고 전쟁의 준비와 승리를 위한 자원관리, 동원체제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공유하였다. 그들은 자원과 산업의 개발이야 말로 미래전의 승리를 위해서 가장 필요한 부분이라고 믿었고 결국 일제는 민유국영안이라는 전력의 국영화를 이루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낳은 전시자원관리는 해방 이후에도 계속 남한에서 존속하였다. 특히 조선전업은 지속적으로 전력국영화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거대국영기업에 대한 비판적인 인식과 목소리는 미국 측의 민영화 요구와 함께 국영화를 견제하는 역할을 하였지만 한국전쟁 이후 전재복구, 산업개발, 미국원조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한국정부는 이미 조선전업을 사실상 ‘정부대행기구’로 활용하였다. 1950년대 조선전업은 수력과 화력발전의 복구, 확대를 주도하였고 나아가 원자력발전에도 상당한 관심과 지식을 축적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1940년대와 50년대 전력국영관리 체제의 성립과 변화는 상당한 연속성을 보이며 에너지 정책과 개발과정이 갖고 있었던 폐쇄적 성격의 역사적 기원과 변화상을 잘 보여준다.
韩国电力事业在经历第二次世界大战和韩国战争后,维持和发展了国家管理和控制的原则。能源的生产和分配是市民和私营企业不能参与的国家性事业的认识和制度与20世纪中期战争的经验有着密切的关系。在本书中,笔者通过观察朝鲜专业股份公司的形成和变化,分析了从20世纪30年代末开始登场的战时体制的资源管理。被称为“革新官僚”的日本帝国主义战时官僚集团不信任现有的市场经济原则,一致认为有必要建立为战争准备和胜利的资源管理、动员体制。他们相信资源和产业的开发是为了未来战的胜利最必要的部分,最终日本帝国主义形成了民有国营案这一战斗力的国荣华。第二次世界大战产生的战时资源管理在解放以后继续在南韩存在。特别是朝鲜专业继续提出电力国营化的必要性。对国营企业的批判性认识和声音巨大的民营化要求和美国一起,电影起了牵制作用,但韩国战争以后恢复、产业开发、利用美援的转载。从这方面,韩国政府已经把造船专业实际上用作“政府代理机构”。50年代,朝鲜专业主导了水力和火力发电的恢复和扩大,进而开始对原子能发电积累相当的关心和知识。因此,20世纪40年代和50年代电力国营管理体制的成立和变化呈现出相当大的连续性,很好地体现了能源政策和开发过程所具有的封闭性性质的历史起源和变化。
{"title":"1940~50년대 ‘전시체제’와 국영전력사업체의 등장","authors":"노상호","doi":"10.17792/kcs.2017.33..63","DOIUrl":"https://doi.org/10.17792/kcs.2017.33..63","url":null,"abstract":"한국의 전력사업(電力事業)은 제2차 세계대전과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국가의 관리와 통제라는 원칙을 유지, 발전시켰다. 에너지의 생산과 배분은 시민들이나 사기업이 관여할 수 없는 국가적 사업이라는 인식과 제도가 20세기 중반 전쟁의 경험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본고에서 필자는 조선전업주식회사(朝鮮電業株式會社)의 형성과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1930년대 말부터 등장한 전시체제의 자원관리를 분석하였다. 소위 혁신관료라고 불리는 일제의 전시관료집단은 기존의 시장경제원칙을 불신하고 전쟁의 준비와 승리를 위한 자원관리, 동원체제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공유하였다. 그들은 자원과 산업의 개발이야 말로 미래전의 승리를 위해서 가장 필요한 부분이라고 믿었고 결국 일제는 민유국영안이라는 전력의 국영화를 이루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낳은 전시자원관리는 해방 이후에도 계속 남한에서 존속하였다. 특히 조선전업은 지속적으로 전력국영화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거대국영기업에 대한 비판적인 인식과 목소리는 미국 측의 민영화 요구와 함께 국영화를 견제하는 역할을 하였지만 한국전쟁 이후 전재복구, 산업개발, 미국원조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한국정부는 이미 조선전업을 사실상 ‘정부대행기구’로 활용하였다. 1950년대 조선전업은 수력과 화력발전의 복구, 확대를 주도하였고 나아가 원자력발전에도 상당한 관심과 지식을 축적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1940년대와 50년대 전력국영관리 체제의 성립과 변화는 상당한 연속성을 보이며 에너지 정책과 개발과정이 갖고 있었던 폐쇄적 성격의 역사적 기원과 변화상을 잘 보여준다.","PeriodicalId":149053,"journ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volume":"7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707320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三國遺事』 영어번역본의 문제점 분석 - 紀異 篇을 중심으로- 《三国遗事》英语翻译本中存在的问题分析——以祖先篇为中心——
Pub Date : 2017-12-01 DOI: 10.17792/KCS.2017.33..101
Jung Nayoung
{"title":"『三國遺事』 영어번역본의 문제점 분석 - 紀異 篇을 중심으로-","authors":"Jung Nayoung","doi":"10.17792/KCS.2017.33..101","DOIUrl":"https://doi.org/10.17792/KCS.2017.33..101","url":null,"abstract":"","PeriodicalId":149053,"journ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volume":"30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454581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he Trends of the Urban Culture from the late 19th Cenutry to the early 20th century and Japga (Vulgar Song) ‘Yusanga' 19世纪末至20世纪初的城市文化走向与日本俗歌“游桑歌”
Pub Date : 2017-12-01 DOI: 10.17792/kcs.2017.33..7
Ae-kyung Park
{"title":"The Trends of the Urban Culture from the late 19th Cenutry to the early 20th century and Japga (Vulgar Song) ‘Yusanga'","authors":"Ae-kyung Park","doi":"10.17792/kcs.2017.33..7","DOIUrl":"https://doi.org/10.17792/kcs.2017.33..7","url":null,"abstract":"","PeriodicalId":149053,"journ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volume":"110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408664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동문유해』 만주어 한글 표기와만주 문자의 대응 관계 고찰 -구별 기호가 있는 한글표기를 중심으로- 考察满语韩文标记与满语文字的对应关系——以有区别符号的韩文标记为中心——
Pub Date : 2017-11-01 DOI: 10.17948/KCS.2017..77.477
오민석
{"title":"『동문유해』 만주어 한글 표기와만주 문자의 대응 관계 고찰 -구별 기호가 있는 한글표기를 중심으로-","authors":"오민석","doi":"10.17948/KCS.2017..77.477","DOIUrl":"https://doi.org/10.17948/KCS.2017..77.477","url":null,"abstract":"","PeriodicalId":149053,"journal":{"name":"The Korean Cultural Studies","volume":"73 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7-1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628777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期刊
The Korean Cultural Studies
全部 Acc. Chem. Res. ACS Applied Bio Materials ACS Appl. Electron. Mater. ACS Appl. Energy Mater. ACS Appl. Mater. Interfaces ACS Appl. Nano Mater. ACS Appl. Polym. Mater. ACS BIOMATER-SCI ENG ACS Catal. ACS Cent. Sci. ACS Chem. Biol. ACS Chemical Health & Safety ACS Chem. Neurosci. ACS Comb. Sci. ACS Earth Space Chem. ACS Energy Lett. ACS Infect. Dis. ACS Macro Lett. ACS Mater. Lett. ACS Med. Chem. Lett. ACS Nano ACS Omega ACS Photonics ACS Sens. ACS Sustainable Chem. Eng. ACS Synth. Biol. Anal. Chem. BIOCHEMISTRY-US Bioconjugate Chem. BIOMACROMOLECULES Chem. Res. Toxicol. Chem. Rev. Chem. Mater. CRYST GROWTH DES ENERG FUEL Environ. Sci. Technol. Environ. Sci. Technol. Lett. Eur. J. Inorg. Chem. IND ENG CHEM RES Inorg. Chem. J. Agric. Food. Chem. J. Chem. Eng. Data J. Chem. Educ. J. Chem. Inf. Model. J. Chem. Theory Comput. J. Med. Chem. J. Nat. Prod. J PROTEOME RES J. Am. Chem. Soc. LANGMUIR MACROMOLECULES Mol. Pharmaceutics Nano Lett. Org. Lett. ORG PROCESS RES DEV ORGANOMETALLICS J. Org. Chem. J. Phys. Chem. J. Phys. Chem. A J. Phys. Chem. B J. Phys. Chem. C J. Phys. Chem. Lett. Analyst Anal. Methods Biomater. Sci. Catal. Sci. Technol. Chem. Commun. Chem. Soc. Rev. CHEM EDUC RES PRACT CRYSTENGCOMM Dalton Trans. Energy Environ. Sci. ENVIRON SCI-NANO ENVIRON SCI-PROC IMP ENVIRON SCI-WAT RES Faraday Discuss. Food Funct. Green Chem. Inorg. Chem. Front. Integr. Biol. J. Anal. At. Spectrom. J. Mater. Chem. A J. Mater. Chem. B J. Mater. Chem. C Lab Chip Mater. Chem. Front. Mater. Horiz. MEDCHEMCOMM Metallomics Mol. Biosyst. Mol. Syst. Des. Eng. Nanoscale Nanoscale Horiz. Nat. Prod. Rep. New J. Chem. Org. Biomol. Chem. Org. Chem. Front. PHOTOCH PHOTOBIO SCI PCCP Polym. Chem.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0
微信
客服QQ
Book学术公众号 扫码关注我们
反馈
×
意见反馈
请填写您的意见或建议
请填写您的手机或邮箱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现在去查看 取消
×
提示
确定
Book学术官方微信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
文献互助 智能选刊 最新文献 互助须知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Book学术 All rights reserved.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京ICP备2023020795号-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