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 Date : 2019-06-01DOI: 10.17961/jdmr.22.3.201906.61
Park Eun Young, 이진화
서비스는 저장이 어렵고 생산과 소비가 동시에 일어나는 특성 때문에 대부분의 서비스 기업은 효과적인 대기시간 관리를 통해 고객의 만족과 서비스 품질 평가를 제고하고자 한다. 서비스 대기 관리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실제 고객이 경험하는 대기시간보다 느껴지는 지각된 대기시간이 더 중요하며, 그러한 지각된 대기시간은 고객 개개인의 다양한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밝혀왔다. 또한 지각된 대기시간이 감정이라는 매개를 통해 만족이나 서비스 평가에 영향을 준다는 경로를 확인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어, 고객의 대기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 중 기업이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요인들을 규명하는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이 지각된 대기시간을 주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계획할 수 있는 요인으로서 대기 공간의 위치에 주목해 대기공간이 서비스 제공 공간과 멀수록 고객은 대기시간을 길게 지각하며, 이러한 인식은 부정적 감정을 형성하여 기대 서비스 품질을 낮게 평가하도록 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연구모델 검증을 위해, 국내 수도권 소재 패밀리레스토랑 내방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활용한 검증 결과 연구모델의 가정이 모두 지지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서비스 대기관리 연구에 있어 지각된 대기시간을 조절하는 새로운 원인변수를 밝혀내었으며, 서비스 구매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는 서비스 구매 전 단계(pre-processing phase)에 중점을 두고 지각된 대기시간이 기대 서비스품질 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는 데에 이론적 의의가 있다. 또한 서비스 기업에게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대기시간 관리 전략을 제안하였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title":"대기공간 위치가 지각된 대기시간 및 기대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authors":"Park Eun Young, 이진화","doi":"10.17961/jdmr.22.3.201906.61","DOIUrl":"https://doi.org/10.17961/jdmr.22.3.201906.61","url":null,"abstract":"서비스는 저장이 어렵고 생산과 소비가 동시에 일어나는 특성 때문에 대부분의 서비스 기업은 효과적인 대기시간 관리를 통해 고객의 만족과 서비스 품질 평가를 제고하고자 한다. 서비스 대기 관리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실제 고객이 경험하는 대기시간보다 느껴지는 지각된 대기시간이 더 중요하며, 그러한 지각된 대기시간은 고객 개개인의 다양한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밝혀왔다. 또한 지각된 대기시간이 감정이라는 매개를 통해 만족이나 서비스 평가에 영향을 준다는 경로를 확인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어, 고객의 대기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 중 기업이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요인들을 규명하는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이 지각된 대기시간을 주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계획할 수 있는 요인으로서 대기 공간의 위치에 주목해 대기공간이 서비스 제공 공간과 멀수록 고객은 대기시간을 길게 지각하며, 이러한 인식은 부정적 감정을 형성하여 기대 서비스 품질을 낮게 평가하도록 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연구모델 검증을 위해, 국내 수도권 소재 패밀리레스토랑 내방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활용한 검증 결과 연구모델의 가정이 모두 지지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서비스 대기관리 연구에 있어 지각된 대기시간을 조절하는 새로운 원인변수를 밝혀내었으며, 서비스 구매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는 서비스 구매 전 단계(pre-processing phase)에 중점을 두고 지각된 대기시간이 기대 서비스품질 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는 데에 이론적 의의가 있다. 또한 서비스 기업에게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대기시간 관리 전략을 제안하였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PeriodicalId":168875,"journ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volume":"10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507719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9-06-01DOI: 10.17961/jdmr.22.3.201906.101
Jin-Baek Kim
{"title":"소셜커머스 웹사이트의 단골 의도 모형: 전자 서비스 및 소비 환경 속성의 영향을 중심으로","authors":"Jin-Baek Kim","doi":"10.17961/jdmr.22.3.201906.101","DOIUrl":"https://doi.org/10.17961/jdmr.22.3.201906.101","url":null,"abstract":"","PeriodicalId":168875,"journ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volume":"3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139173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9-06-01DOI: 10.17961/jdmr.22.3.201906.117
이은미, 우미옥
{"title":"헬스앤뷰티스토어의 추구편익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유형화에 관한 연구: 헬스케어 관여도 수준을 중심으로","authors":"이은미, 우미옥","doi":"10.17961/jdmr.22.3.201906.117","DOIUrl":"https://doi.org/10.17961/jdmr.22.3.201906.117","url":null,"abstract":"","PeriodicalId":168875,"journ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volume":"3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450496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9-06-01DOI: 10.17961/jdmr.22.3.201906.125
한상설
{"title":"옴니채널 성향, 카테고리 지식, 구전정보 기대감, 사회적 결정이 고려상표군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온라인 쇼핑 중심으로","authors":"한상설","doi":"10.17961/jdmr.22.3.201906.125","DOIUrl":"https://doi.org/10.17961/jdmr.22.3.201906.125","url":null,"abstract":"","PeriodicalId":168875,"journ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volume":"1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543135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9-04-01DOI: 10.17961/jdmr.22.2.201904.55
이의연, 유성용, 이종민, 이준혁
본 연구는 리더의 정치적 기술이 직무열의, 조직몰입,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직무열의와 조직몰입의 이중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국내 기업 및 조직구성원에게서 수집된 563부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의 정치적 기술은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열의는 리더의 정치적 기술과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의 관계에서는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몰입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리더의 정치적 기술과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의 관계에서 직무열의와 조직몰입은 이중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이론적 시사점은 본 연구를 통해 다시 한 번 조직 내 구성원들의 인지, 정서, 태도, 행동과 같은 행동패턴을 확인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이러한 행동패턴이 사회교환이론에 의해 규명되어진다는 점을 밝힘으로써 이론적 확장에 기여하였다. 실무적 시사점은 본 연구를 통해 실제 경영현장에서 구성원들이 조직의 목표를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기꺼이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을 수행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조직차원에서 이러한 부정적인 영향 및 가능성을 사전에 인지하고 나아가 사회적 차원에서 모두가 인식할 수 있는 깨끗하고 공정한 조직 문화 및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itle":"유통조직 관점에서 상사의 정치적 기술이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에 미치는 영향: 직무열의와 조직몰입의 이중 매개효과","authors":"이의연, 유성용, 이종민, 이준혁","doi":"10.17961/jdmr.22.2.201904.55","DOIUrl":"https://doi.org/10.17961/jdmr.22.2.201904.55","url":null,"abstract":"본 연구는 리더의 정치적 기술이 직무열의, 조직몰입,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직무열의와 조직몰입의 이중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국내 기업 및 조직구성원에게서 수집된 563부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u0000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의 정치적 기술은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열의는 리더의 정치적 기술과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의 관계에서는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몰입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리더의 정치적 기술과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의 관계에서 직무열의와 조직몰입은 이중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u0000본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이론적 시사점은 본 연구를 통해 다시 한 번 조직 내 구성원들의 인지, 정서, 태도, 행동과 같은 행동패턴을 확인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이러한 행동패턴이 사회교환이론에 의해 규명되어진다는 점을 밝힘으로써 이론적 확장에 기여하였다. 실무적 시사점은 본 연구를 통해 실제 경영현장에서 구성원들이 조직의 목표를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기꺼이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을 수행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조직차원에서 이러한 부정적인 영향 및 가능성을 사전에 인지하고 나아가 사회적 차원에서 모두가 인식할 수 있는 깨끗하고 공정한 조직 문화 및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PeriodicalId":168875,"journ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volume":"2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4-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517224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9-04-01DOI: 10.17961/jdmr.22.2.201904.35
박옥신, 이희완
{"title":"유통경영 관점에서 비영리기관의 파트너십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지식경영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authors":"박옥신, 이희완","doi":"10.17961/jdmr.22.2.201904.35","DOIUrl":"https://doi.org/10.17961/jdmr.22.2.201904.35","url":null,"abstract":"","PeriodicalId":168875,"journ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volume":"1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4-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497684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9-04-01DOI: 10.17961/JDMR.22.2.201904.71
김정수, 홍기남, 박노현, 전태유
본 연구는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대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분류하고 군집분석을 하여 특성을 파악하였다.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군집분석한 결과는 네 집단인 보편소비추구 집단, 건강추구 집단, 미각·경제추구 집단, 편의추구 집단으로 군집화 되었다. 군집별 특성을 파악해본 결과, 가정간편식 선택속성 중에서 가격, 편리성, 다양성과 소비자만족이 집단간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사후검증 결과도 군집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가정간편식 선택속성이 소비자만족 및 소비자신뢰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서 전체적으로는 가정간편식 선택속성이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선택속성의 세부 요인별 분석결과에서는 요인에 따라 소비자만족 및 소비자신뢰에 미치는 영향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소비자만족이 소비자신뢰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소비자만족이 소비자신뢰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호 인과관계가 상당함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의 군집별 특성에 따라 시장세분화하고, 가정간편식 세부 요인별 선택속성에 따라 소비자만족 및 소비자신뢰에 미치는 영향이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이에 알맞는 가정간편식 개발에 힘쓰고 품질개발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것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title":"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가정간편식(HMR) 선택속성이 소비자만족 및 신뢰에 미치는 영향","authors":"김정수, 홍기남, 박노현, 전태유","doi":"10.17961/JDMR.22.2.201904.71","DOIUrl":"https://doi.org/10.17961/JDMR.22.2.201904.71","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대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분류하고 군집분석을 하여 특성을 파악하였다.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군집분석한 결과는 네 집단인 보편소비추구 집단, 건강추구 집단, 미각·경제추구 집단, 편의추구 집단으로 군집화 되었다. 군집별 특성을 파악해본 결과, 가정간편식 선택속성 중에서 가격, 편리성, 다양성과 소비자만족이 집단간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사후검증 결과도 군집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u0000가정간편식 선택속성이 소비자만족 및 소비자신뢰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서 전체적으로는 가정간편식 선택속성이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선택속성의 세부 요인별 분석결과에서는 요인에 따라 소비자만족 및 소비자신뢰에 미치는 영향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소비자만족이 소비자신뢰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소비자만족이 소비자신뢰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호 인과관계가 상당함을 입증하였다.\u0000본 연구는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의 군집별 특성에 따라 시장세분화하고, 가정간편식 세부 요인별 선택속성에 따라 소비자만족 및 소비자신뢰에 미치는 영향이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이에 알맞는 가정간편식 개발에 힘쓰고 품질개발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것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PeriodicalId":168875,"journ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volume":"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4-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057186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9-04-01DOI: 10.17961/jdmr.22.2.201904.17
박은영, 이진화
{"title":"말산업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authors":"박은영, 이진화","doi":"10.17961/jdmr.22.2.201904.17","DOIUrl":"https://doi.org/10.17961/jdmr.22.2.201904.17","url":null,"abstract":"","PeriodicalId":168875,"journ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volume":"60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4-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770482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9-04-01DOI: 10.17961/jdmr.22.2.201904.111
김윤정
{"title":"모바일을 통한 저비용항공서비스 선택시 가격민감도에 따른 광고메시지 적합성의 조절효과","authors":"김윤정","doi":"10.17961/jdmr.22.2.201904.111","DOIUrl":"https://doi.org/10.17961/jdmr.22.2.201904.111","url":null,"abstract":"","PeriodicalId":168875,"journ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volume":"10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4-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177617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9-04-01DOI: 10.17961/JDMR.22.2.201904.91
Soon-Hong Park, Namhun Kim, Il Suck Sun
경영환경은 초고도 발전과 성장을 추구하며 변화를 거듭하고 있고, 급격한 변화적 환경 속에서 프랜차이즈산업은 소비적 트렌드와 서비스 혁신을 통해 소비자의 민감한 요구를 제공하며 고객감동을 실현시켜야만 생존적 경쟁력을 갖추게 되는 시대가 되었다. 이러한 환경적 경영압박 속에서 프랜차이즈기업은 조직의 인적자원에 대하여 전략적 관리가 절실하며, 체계적인 인적자원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프랜차이즈기업 종사자를 중심으로 개인의 행동유형 특성에 따라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 직무성과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조사 및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결과, 프랜차이즈기업 종사자의 DISC 행동유형 중에서 주도형(D형)과 안정형(S형)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DISC 행동유형 중에서 주도형(D형)은 직무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프랜차이즈기업 종사자의 조직몰입은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성과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시대적 환경에 따른 개인의 성향적 특성과 프랜차이즈기업의 특수성이 반영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인적자원 관리 및 개선 측면의 프랜차이즈산업 발전방안을 마련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프랜차이즈기업 종사자의 개인의 적성과 특성, 직무 적합도, 조직 내 인간관계 갈등해소에 활용할 전략을 도출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title":"DISC 행동유형에 따른 조직몰입 및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프랜차이즈기업 종사자를 중심으로","authors":"Soon-Hong Park, Namhun Kim, Il Suck Sun","doi":"10.17961/JDMR.22.2.201904.91","DOIUrl":"https://doi.org/10.17961/JDMR.22.2.201904.91","url":null,"abstract":"경영환경은 초고도 발전과 성장을 추구하며 변화를 거듭하고 있고, 급격한 변화적 환경 속에서 프랜차이즈산업은 소비적 트렌드와 서비스 혁신을 통해 소비자의 민감한 요구를 제공하며 고객감동을 실현시켜야만 생존적 경쟁력을 갖추게 되는 시대가 되었다. 이러한 환경적 경영압박 속에서 프랜차이즈기업은 조직의 인적자원에 대하여 전략적 관리가 절실하며, 체계적인 인적자원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프랜차이즈기업 종사자를 중심으로 개인의 행동유형 특성에 따라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 직무성과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조사 및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결과, 프랜차이즈기업 종사자의 DISC 행동유형 중에서 주도형(D형)과 안정형(S형)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DISC 행동유형 중에서 주도형(D형)은 직무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프랜차이즈기업 종사자의 조직몰입은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성과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시대적 환경에 따른 개인의 성향적 특성과 프랜차이즈기업의 특수성이 반영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인적자원 관리 및 개선 측면의 프랜차이즈산업 발전방안을 마련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프랜차이즈기업 종사자의 개인의 적성과 특성, 직무 적합도, 조직 내 인간관계 갈등해소에 활용할 전략을 도출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PeriodicalId":168875,"journ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volume":"103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4-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279679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