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最新文献

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最新文献

英文 中文
A study on the effects of Supervisor’s Abusive Supervis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ubordinates through work and life balance 基于工作与生活平衡的主管虐待性监督对下属组织承诺影响研究
Pub Date : 2019-08-01 DOI: 10.17961/JDMR.22.4.201908.81
J. Na, Kim Tai Hoan
{"title":"A study on the effects of Supervisor’s Abusive Supervis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ubordinates through work and life balance","authors":"J. Na, Kim Tai Hoan","doi":"10.17961/JDMR.22.4.201908.81","DOIUrl":"https://doi.org/10.17961/JDMR.22.4.201908.81","url":null,"abstract":"","PeriodicalId":168875,"journ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volume":"7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711976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사회적 관계 형성 및 새로움 추구 니즈 충족을 통한 소비자 행복도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오프라인 유통매장의 고객경험 프로그램 디자인을 위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通过社会关系的形成及满足新的追求需求来提高消费者幸福度方案的研究:以实体零售店顾客体验计划设计的启示为中心
Pub Date : 2019-08-01 DOI: 10.17961/jdmr.22.4.201908.173
송선진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을 대상으로 행복을 결정짓는 중요한 선행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오프라인 유통매장의 고객경험 서비스 디자인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562명의 응답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를 보면 행복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사전 변수는 자신의 신체적 건강에 대한 만족도였으며, 인간관계, 자신의 강점 활용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거의 언급되지 않았던 새로움 추구(Novelty seeking)라는 변수도 행복을 결정 짓는데 매우 중요한 변수임을 밝혀내었고, 여가만족도 또한 행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선행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자신의 건강에 대해 만족하는 경우 행복감은 가장 많이 향상되며, 사회적으로 좋은 인간관계를 유지하고 자신의 강점을 잘 파악하며 매사에 새로움을 도전하며 여가를 잘 즐기는 것은 행복의 지름길인 것이다. 또한 청년층과 중장년층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전요인을 비교해 본 결과, 연령의 차이에 따라 행복을 결정짓는 요인의 중요성은 다르게 나타났다. 최근 오프라인 유통매장에서는 소비자 방문율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디자인하고 있는데, 이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향후 행복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디자인한다면 보다 더 호응 높고 효과적인 프로그램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本研究以我国成年人为对象,掌握了决定幸福的重要先行因素,并以此为实体零售卖场的顾客体验服务设计提出了启示。问卷对562人的回答进行了分析,结果如下。以所有年龄层为对象进行分析的结果显示,对幸福度产生最大影响的事前变数是对自己身体健康的满意度,其次是人际关系、利用自己的优势。另外,在现有的研究中几乎没有提到的“追求新奇(Novelty seeking)”变数也是决定幸福的非常重要的变数,休闲满意度也是对幸福产生显著影响的“留意的先行因素”。也就是说,对自己的健康感到满足的时候,幸福感会得到最大的提高,在社会上维持良好的人际关系,很好地掌握自己的优点,对每件事都挑战新鲜,好好享受闲暇是幸福的捷径。另外,对影响青年层和中壮年层幸福感的事前因素进行比较的结果显示,根据年龄的差异,决定幸福因素的重要性也有所不同。最近实体流通卖场为了提高消费者访问率,正在设计多样的程序。如果利用这一研究结果,设计今后增进幸福的程序,预计将会成为更加呼应和有效的程序。
{"title":"사회적 관계 형성 및 새로움 추구 니즈 충족을 통한 소비자 행복도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오프라인 유통매장의 고객경험 프로그램 디자인을 위한 시사점을 중심으로","authors":"송선진","doi":"10.17961/jdmr.22.4.201908.173","DOIUrl":"https://doi.org/10.17961/jdmr.22.4.201908.173","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을 대상으로 행복을 결정짓는 중요한 선행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오프라인 유통매장의 고객경험 서비스 디자인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562명의 응답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를 보면 행복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사전 변수는 자신의 신체적 건강에 대한 만족도였으며, 인간관계, 자신의 강점 활용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거의 언급되지 않았던 새로움 추구(Novelty seeking)라는 변수도 행복을 결정 짓는데 매우 중요한 변수임을 밝혀내었고, 여가만족도 또한 행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선행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자신의 건강에 대해 만족하는 경우 행복감은 가장 많이 향상되며, 사회적으로 좋은 인간관계를 유지하고 자신의 강점을 잘 파악하며 매사에 새로움을 도전하며 여가를 잘 즐기는 것은 행복의 지름길인 것이다. 또한 청년층과 중장년층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전요인을 비교해 본 결과, 연령의 차이에 따라 행복을 결정짓는 요인의 중요성은 다르게 나타났다. 최근 오프라인 유통매장에서는 소비자 방문율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디자인하고 있는데, 이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향후 행복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디자인한다면 보다 더 호응 높고 효과적인 프로그램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PeriodicalId":168875,"journ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volume":"11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707593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편의점 PB식품의 선택속성이 소비자의 구매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便利店PB食品的选择属性对消费者的购买意图及口传意图的影响
Pub Date : 2019-08-01 DOI: 10.17961/jdmr.22.4.201908.215
Noh Eun-Jung, Seong-Soo Cha
1인 가구, 맞벌이 가구의 증가와 본격적인 고령사회에 발맞춰 편의점은 근거리 소형 포맷으로써 환경변화에 가장 빠르게 대응해 나가고 있다. 그 중 주목할 만한 흐름이 간편가정식 등 자체 식품 PB의 확대이다. PB에 대한 연구는 그 동안 가격과 품질 위주의 1세대 PB를 중심으로 한 연구는 많았으나 유통업체가 주도적으로 기획하여 자체 브랜드로 육성한 3세대 PB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본 연구는 편의점 식품 PB가 독립된 브랜드 에쿼티로서의 특성인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신뢰 등의 선택속성이 구매의도 및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고, 또한 소비자의 주관적 품질인 지각된 품질과 가격대비 상대적 편익인 지각된 가치가 구매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편의점 식품 PB의 브랜드 이미지, 지각된 품질, 지각된 가치 그리고 브랜드 신뢰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편의점 식품 PB가 NB처럼 하나의 브랜드로서 인식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구매의도는 구전의도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편의점의 핵심 타겟인 밀레니얼 세대에게 호의적 브랜드로서 인식된다면 구전을 통한 확산도 가능함을 시사하였다.
随着1人家庭、双职工家庭的增加和正式的高龄社会,便利店以近距离小型形式最快应对环境变化。其中值得关注的是简便家庭式等自身食品PB的扩大。此前,对PB的研究以以价格和品质为主的第一代PB为中心的有很多,但以流通企业主导企划,培育出自己品牌的第3代PB为对象的研究并不多。本研究是便利店的食品pb在独立的品牌,作为qwerty特点的品牌形象和品牌的信赖等属性选择购买意图及口传,是否影响分析我们的意图,也是消费者的主观质量迟到的品质和性价比相对便利的知觉价值购买意图及口传对意图的影响看了看。其结果显示,便利店食品PB的品牌形象、感知的品质、感知的价值以及对品牌的信赖会对购买意图产生显著的影响。这意味着便利店食品PB像NB一样被认为是一个品牌。另外,购买意图也会对口传意图产生留意的影响,对于便利店的核心目标千禧一代来说,如果被认为是友好的品牌的话,通过口传的扩散也是可能的。
{"title":"편의점 PB식품의 선택속성이 소비자의 구매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authors":"Noh Eun-Jung, Seong-Soo Cha","doi":"10.17961/jdmr.22.4.201908.215","DOIUrl":"https://doi.org/10.17961/jdmr.22.4.201908.215","url":null,"abstract":"1인 가구, 맞벌이 가구의 증가와 본격적인 고령사회에 발맞춰 편의점은 근거리 소형 포맷으로써 환경변화에 가장 빠르게 대응해 나가고 있다. 그 중 주목할 만한 흐름이 간편가정식 등 자체 식품 PB의 확대이다. PB에 대한 연구는 그 동안 가격과 품질 위주의 1세대 PB를 중심으로 한 연구는 많았으나 유통업체가 주도적으로 기획하여 자체 브랜드로 육성한 3세대 PB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본 연구는 편의점 식품 PB가 독립된 브랜드 에쿼티로서의 특성인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신뢰 등의 선택속성이 구매의도 및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고, 또한 소비자의 주관적 품질인 지각된 품질과 가격대비 상대적 편익인 지각된 가치가 구매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편의점 식품 PB의 브랜드 이미지, 지각된 품질, 지각된 가치 그리고 브랜드 신뢰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편의점 식품 PB가 NB처럼 하나의 브랜드로서 인식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구매의도는 구전의도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편의점의 핵심 타겟인 밀레니얼 세대에게 호의적 브랜드로서 인식된다면 구전을 통한 확산도 가능함을 시사하였다.","PeriodicalId":168875,"journ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volume":"2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584957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중소기업 규제개혁: IoT, Cloud, Big Data을 중심으로 第四次产业革命时代中小企业规制改革:以物联网、云计算、大数据为中心
Pub Date : 2019-08-01 DOI: 10.17961/jdmr.22.4.201908.57
이웅배, 정진섭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신산업 분야의 성장이 가속화됨에 따라, 이에 따른 중소기업의 규제 완화가 긴요해지고 있다. 한국 정부는 미래 신제품·신기술 개발과 육성을 위해 ‘포괄적 네거티브 규제’로의 전환을 천명하였다. 포괄적 네거티브 규제는 ‘입법방식 유연화’와 ‘규제샌드박스 제도’를 도입하여 규제개혁의 성과 창출을 꾀하고 있다. 특허청은 4차 산업혁명과 밀접한 7개 분야의 기술특허 분류체계를 새롭게 정립하여,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규제의 표준화’를 추진하고, 이를 통해 신속한 지적재산권 확보 등을 지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 분야를 중심으로 중소기업의 규제 정책과 관련 규제 이슈에 초점을 두었다.먼저,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과 중소기업 규제정책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3개 분야의 관련 현황 및 적정 규제개혁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요약하면, 중소기업 규제개혁의 기본적인 구조는 ‘규제편익’과 ‘규제비용’을 고려하여 수행되어야 한다. 또한, 적정한 규제개혁구간에 대한 이론적인 관점에서 해당 분야의 규제개혁 이슈도 연계하여 고찰하였다. 끝으로 결론 부문에서는 정부의 중소기업 규제개혁 성공을 위한 규제개혁 생태계의 구축과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随着与第4次产业革命相关的新产业领域的增长加快,急需缓解中小企业的规制。韩国政府阐明,为开发和培育未来新产品、新技术,将转换为“全面消极限制”。全面否定规制引入“立法方式灵活性”和“规制沙盒制度”,试图创造规制改革的成果。专利厅重新确立了与第四次产业革命密切相关的7个领域的技术专利分类体系,推进国际通用的“规制标准化”,并通过该体系迅速确保知识产权等。本研究以“物联网、云、大数据”领域为中心,将焦点放在了中小企业的规制政策和相关规制焦点上。首先,本研究观察了第四次产业革命和中小企业规制政策的理论背景,分析了3个领域的相关现状及适当规制改革的内容。总而言之,中小企业规制改革的基本结构应该考虑到“规制便利”和“规制费用”。另外,从适当的规制改革区间的理论观点出发,联系相关领域的规制改革焦点进行了考察。最后,结论部分提出了政府为了中小企业规制改革的成功,构筑规制改革生态界和政策启示。
{"title":"4차 산업혁명 시대의 중소기업 규제개혁: IoT, Cloud, Big Data을 중심으로","authors":"이웅배, 정진섭","doi":"10.17961/jdmr.22.4.201908.57","DOIUrl":"https://doi.org/10.17961/jdmr.22.4.201908.57","url":null,"abstract":"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신산업 분야의 성장이 가속화됨에 따라, 이에 따른 중소기업의 규제 완화가 긴요해지고 있다. 한국 정부는 미래 신제품·신기술 개발과 육성을 위해 ‘포괄적 네거티브 규제’로의 전환을 천명하였다. 포괄적 네거티브 규제는 ‘입법방식 유연화’와 ‘규제샌드박스 제도’를 도입하여 규제개혁의 성과 창출을 꾀하고 있다. 특허청은 4차 산업혁명과 밀접한 7개 분야의 기술특허 분류체계를 새롭게 정립하여,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규제의 표준화’를 추진하고, 이를 통해 신속한 지적재산권 확보 등을 지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 분야를 중심으로 중소기업의 규제 정책과 관련 규제 이슈에 초점을 두었다.\u0000먼저,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과 중소기업 규제정책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3개 분야의 관련 현황 및 적정 규제개혁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요약하면, 중소기업 규제개혁의 기본적인 구조는 ‘규제편익’과 ‘규제비용’을 고려하여 수행되어야 한다. 또한, 적정한 규제개혁구간에 대한 이론적인 관점에서 해당 분야의 규제개혁 이슈도 연계하여 고찰하였다. 끝으로 결론 부문에서는 정부의 중소기업 규제개혁 성공을 위한 규제개혁 생태계의 구축과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PeriodicalId":168875,"journ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volume":"17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205068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R&D투자가 우리나라 기술무역에 미치는 효과 분석 分析r&d投资对我国技术贸易的效果
Pub Date : 2019-08-01 DOI: 10.17961/jdmr.22.4.201908.153
Kyoung-Ae An, 김태영
{"title":"R&D투자가 우리나라 기술무역에 미치는 효과 분석","authors":"Kyoung-Ae An, 김태영","doi":"10.17961/jdmr.22.4.201908.153","DOIUrl":"https://doi.org/10.17961/jdmr.22.4.201908.153","url":null,"abstract":"","PeriodicalId":168875,"journ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volume":"1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659642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창업기업의 기업가 정신이 혁신역량, 혁신행동,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创业企业的企业家精神对创新力量,创新行动,经营成果的影响
Pub Date : 2019-08-01 DOI: 10.17961/jdmr.22.4.201908.33
Chang Bong Bae, Junghee Kim
본 연구는 기업간 경쟁이 심화되고 급변하는 경영환경에서 7년 미만 창업기업의 데스밸리구간의 생존을 위한 체계적인 대응과 혁신강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에 기반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도출하여, 전국의 창업기업대상으로 설문조사에 의한 실증연구를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창업기업의 기업가 정신은 혁신성, 위험감수성, 진취성의 다차원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창업기업의 기업가 정신의 하위요소인 혁신성, 위험감수성, 진취성 모두 혁신역량과 혁신행동에 각각 정(+)의 영향을 주었다. 셋째, 창업기업의 기업가 정신의 하위요소인 혁신성, 위험감수성, 진취성 모두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넷째, 창업기업의 혁신역량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다섯째, 창업기업의 혁신행동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단순히 제품과 프로세스의 도입에 의한 혁신행동과 기업가 정신만으로는 창업기업의 경영성과를 높이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무엇보다 기업가 정신을 기반으로 한 혁신역량을 갖추는 것이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本研究试图在企业间竞争加剧和急剧变化的经营环境中,为了未满7年的创业企业在死亡谷区间的生存,出台系统的应对和强化革新方案。为此,基于理论背景,导出研究模型和假设,对全国创业企业进行问卷调查的实证研究。实证分析结果可以概括为:第一,创业企业的企业家精神由创新性,风险感受性,上进性的多层次构成。第二,创业企业的企业家精神的下位因素——创新性、风险感受性、进取性都对创新力量和创新行动产生正(+)的影响。三是创业企业的企业家精神的下位因素——创新性,风险感受性,进取性都对经营成果没有正(+)的影响。第四,创业企业的创新力量对经营成果产生正(+)影响。第五,创业企业的创新行动对经营成果没有正(+)的影响。这样的结果暗示了单纯通过引进产品和程序的革新行动和企业家精神,在提高创业企业的经营成果上是有限的,最重要的是要具备以企业家精神为基础的革新力量。
{"title":"창업기업의 기업가 정신이 혁신역량, 혁신행동,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authors":"Chang Bong Bae, Junghee Kim","doi":"10.17961/jdmr.22.4.201908.33","DOIUrl":"https://doi.org/10.17961/jdmr.22.4.201908.33","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기업간 경쟁이 심화되고 급변하는 경영환경에서 7년 미만 창업기업의 데스밸리구간의 생존을 위한 체계적인 대응과 혁신강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에 기반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도출하여, 전국의 창업기업대상으로 설문조사에 의한 실증연구를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창업기업의 기업가 정신은 혁신성, 위험감수성, 진취성의 다차원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창업기업의 기업가 정신의 하위요소인 혁신성, 위험감수성, 진취성 모두 혁신역량과 혁신행동에 각각 정(+)의 영향을 주었다. 셋째, 창업기업의 기업가 정신의 하위요소인 혁신성, 위험감수성, 진취성 모두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넷째, 창업기업의 혁신역량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다섯째, 창업기업의 혁신행동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단순히 제품과 프로세스의 도입에 의한 혁신행동과 기업가 정신만으로는 창업기업의 경영성과를 높이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무엇보다 기업가 정신을 기반으로 한 혁신역량을 갖추는 것이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PeriodicalId":168875,"journ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volume":"7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118117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O2O 커머스의 지각된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도와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불확실성 회피성향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O2O商务的感知服务质量对顾客满意度和再利用意图的影响:以不确定性回避倾向调节效果为中心
Pub Date : 2019-08-01 DOI: 10.17961/jdmr.22.4.201908.203
전표훈, 황사연, 서광석
{"title":"O2O 커머스의 지각된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도와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불확실성 회피성향 조절효과를 중심으로","authors":"전표훈, 황사연, 서광석","doi":"10.17961/jdmr.22.4.201908.203","DOIUrl":"https://doi.org/10.17961/jdmr.22.4.201908.203","url":null,"abstract":"","PeriodicalId":168875,"journ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volume":"9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577593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3
A Study of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Attitudes to Social Media 韩国和中国消费者对社交媒体的态度研究
Pub Date : 2019-08-01 DOI: 10.17961/JDMR.22.4.201908.69
Je Won Lee
{"title":"A Study of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Attitudes to Social Media","authors":"Je Won Lee","doi":"10.17961/JDMR.22.4.201908.69","DOIUrl":"https://doi.org/10.17961/JDMR.22.4.201908.69","url":null,"abstract":"","PeriodicalId":168875,"journ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volume":"2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636393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관광지의 선택요인이 관광지 매력도에 미치는 영향: 인적 유동성 관점 旅游地的选择因素对旅游地魅力度的影响:人力流动性观点
Pub Date : 2019-08-01 DOI: 10.17961/jdmr.22.4.201908.11
Ki Heung Jeon
{"title":"관광지의 선택요인이 관광지 매력도에 미치는 영향: 인적 유동성 관점","authors":"Ki Heung Jeon","doi":"10.17961/jdmr.22.4.201908.11","DOIUrl":"https://doi.org/10.17961/jdmr.22.4.201908.11","url":null,"abstract":"","PeriodicalId":168875,"journ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volume":"9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278568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인터넷쇼핑몰에서 브랜드 지각이 쇼핑성향 및 기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각된 유용성 조절효과 중심으로 关于品牌感知在网上购物中心对购物倾向及企业态度的影响研究:以感知有用性调节效果为中心
Pub Date : 2019-08-01 DOI: 10.17961/jdmr.22.3.201906.21
Sang-Taek Jeun, Wuxiao, Jo, Jae Cheon
{"title":"인터넷쇼핑몰에서 브랜드 지각이 쇼핑성향 및 기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각된 유용성 조절효과 중심으로","authors":"Sang-Taek Jeun, Wuxiao, Jo, Jae Cheon","doi":"10.17961/jdmr.22.3.201906.21","DOIUrl":"https://doi.org/10.17961/jdmr.22.3.201906.21","url":null,"abstract":"","PeriodicalId":168875,"journ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volume":"3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647959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期刊
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
全部 Acc. Chem. Res. ACS Applied Bio Materials ACS Appl. Electron. Mater. ACS Appl. Energy Mater. ACS Appl. Mater. Interfaces ACS Appl. Nano Mater. ACS Appl. Polym. Mater. ACS BIOMATER-SCI ENG ACS Catal. ACS Cent. Sci. ACS Chem. Biol. ACS Chemical Health & Safety ACS Chem. Neurosci. ACS Comb. Sci. ACS Earth Space Chem. ACS Energy Lett. ACS Infect. Dis. ACS Macro Lett. ACS Mater. Lett. ACS Med. Chem. Lett. ACS Nano ACS Omega ACS Photonics ACS Sens. ACS Sustainable Chem. Eng. ACS Synth. Biol. Anal. Chem. BIOCHEMISTRY-US Bioconjugate Chem. BIOMACROMOLECULES Chem. Res. Toxicol. Chem. Rev. Chem. Mater. CRYST GROWTH DES ENERG FUEL Environ. Sci. Technol. Environ. Sci. Technol. Lett. Eur. J. Inorg. Chem. IND ENG CHEM RES Inorg. Chem. J. Agric. Food. Chem. J. Chem. Eng. Data J. Chem. Educ. J. Chem. Inf. Model. J. Chem. Theory Comput. J. Med. Chem. J. Nat. Prod. J PROTEOME RES J. Am. Chem. Soc. LANGMUIR MACROMOLECULES Mol. Pharmaceutics Nano Lett. Org. Lett. ORG PROCESS RES DEV ORGANOMETALLICS J. Org. Chem. J. Phys. Chem. J. Phys. Chem. A J. Phys. Chem. B J. Phys. Chem. C J. Phys. Chem. Lett. Analyst Anal. Methods Biomater. Sci. Catal. Sci. Technol. Chem. Commun. Chem. Soc. Rev. CHEM EDUC RES PRACT CRYSTENGCOMM Dalton Trans. Energy Environ. Sci. ENVIRON SCI-NANO ENVIRON SCI-PROC IMP ENVIRON SCI-WAT RES Faraday Discuss. Food Funct. Green Chem. Inorg. Chem. Front. Integr. Biol. J. Anal. At. Spectrom. J. Mater. Chem. A J. Mater. Chem. B J. Mater. Chem. C Lab Chip Mater. Chem. Front. Mater. Horiz. MEDCHEMCOMM Metallomics Mol. Biosyst. Mol. Syst. Des. Eng. Nanoscale Nanoscale Horiz. Nat. Prod. Rep. New J. Chem. Org. Biomol. Chem. Org. Chem. Front. PHOTOCH PHOTOBIO SCI PCCP Polym. Chem.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0
微信
客服QQ
Book学术公众号 扫码关注我们
反馈
×
意见反馈
请填写您的意见或建议
请填写您的手机或邮箱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现在去查看 取消
×
提示
确定
Book学术官方微信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
文献互助 智能选刊 最新文献 互助须知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Book学术 All rights reserved.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京ICP备2023020795号-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