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 Date : 2019-08-01DOI: 10.17961/JDMR.22.4.201908.81
J. Na, Kim Tai Hoan
{"title":"A study on the effects of Supervisor’s Abusive Supervis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ubordinates through work and life balance","authors":"J. Na, Kim Tai Hoan","doi":"10.17961/JDMR.22.4.201908.81","DOIUrl":"https://doi.org/10.17961/JDMR.22.4.201908.81","url":null,"abstract":"","PeriodicalId":168875,"journ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volume":"7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711976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9-08-01DOI: 10.17961/jdmr.22.4.201908.173
송선진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을 대상으로 행복을 결정짓는 중요한 선행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오프라인 유통매장의 고객경험 서비스 디자인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562명의 응답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를 보면 행복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사전 변수는 자신의 신체적 건강에 대한 만족도였으며, 인간관계, 자신의 강점 활용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거의 언급되지 않았던 새로움 추구(Novelty seeking)라는 변수도 행복을 결정 짓는데 매우 중요한 변수임을 밝혀내었고, 여가만족도 또한 행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선행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자신의 건강에 대해 만족하는 경우 행복감은 가장 많이 향상되며, 사회적으로 좋은 인간관계를 유지하고 자신의 강점을 잘 파악하며 매사에 새로움을 도전하며 여가를 잘 즐기는 것은 행복의 지름길인 것이다. 또한 청년층과 중장년층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전요인을 비교해 본 결과, 연령의 차이에 따라 행복을 결정짓는 요인의 중요성은 다르게 나타났다. 최근 오프라인 유통매장에서는 소비자 방문율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디자인하고 있는데, 이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향후 행복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디자인한다면 보다 더 호응 높고 효과적인 프로그램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itle":"사회적 관계 형성 및 새로움 추구 니즈 충족을 통한 소비자 행복도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오프라인 유통매장의 고객경험 프로그램 디자인을 위한 시사점을 중심으로","authors":"송선진","doi":"10.17961/jdmr.22.4.201908.173","DOIUrl":"https://doi.org/10.17961/jdmr.22.4.201908.173","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을 대상으로 행복을 결정짓는 중요한 선행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오프라인 유통매장의 고객경험 서비스 디자인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562명의 응답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를 보면 행복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사전 변수는 자신의 신체적 건강에 대한 만족도였으며, 인간관계, 자신의 강점 활용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거의 언급되지 않았던 새로움 추구(Novelty seeking)라는 변수도 행복을 결정 짓는데 매우 중요한 변수임을 밝혀내었고, 여가만족도 또한 행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선행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자신의 건강에 대해 만족하는 경우 행복감은 가장 많이 향상되며, 사회적으로 좋은 인간관계를 유지하고 자신의 강점을 잘 파악하며 매사에 새로움을 도전하며 여가를 잘 즐기는 것은 행복의 지름길인 것이다. 또한 청년층과 중장년층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전요인을 비교해 본 결과, 연령의 차이에 따라 행복을 결정짓는 요인의 중요성은 다르게 나타났다. 최근 오프라인 유통매장에서는 소비자 방문율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디자인하고 있는데, 이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향후 행복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디자인한다면 보다 더 호응 높고 효과적인 프로그램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PeriodicalId":168875,"journ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volume":"117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707593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9-08-01DOI: 10.17961/jdmr.22.4.201908.215
Noh Eun-Jung, Seong-Soo Cha
1인 가구, 맞벌이 가구의 증가와 본격적인 고령사회에 발맞춰 편의점은 근거리 소형 포맷으로써 환경변화에 가장 빠르게 대응해 나가고 있다. 그 중 주목할 만한 흐름이 간편가정식 등 자체 식품 PB의 확대이다. PB에 대한 연구는 그 동안 가격과 품질 위주의 1세대 PB를 중심으로 한 연구는 많았으나 유통업체가 주도적으로 기획하여 자체 브랜드로 육성한 3세대 PB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본 연구는 편의점 식품 PB가 독립된 브랜드 에쿼티로서의 특성인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신뢰 등의 선택속성이 구매의도 및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고, 또한 소비자의 주관적 품질인 지각된 품질과 가격대비 상대적 편익인 지각된 가치가 구매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편의점 식품 PB의 브랜드 이미지, 지각된 품질, 지각된 가치 그리고 브랜드 신뢰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편의점 식품 PB가 NB처럼 하나의 브랜드로서 인식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구매의도는 구전의도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편의점의 핵심 타겟인 밀레니얼 세대에게 호의적 브랜드로서 인식된다면 구전을 통한 확산도 가능함을 시사하였다.
{"title":"편의점 PB식품의 선택속성이 소비자의 구매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authors":"Noh Eun-Jung, Seong-Soo Cha","doi":"10.17961/jdmr.22.4.201908.215","DOIUrl":"https://doi.org/10.17961/jdmr.22.4.201908.215","url":null,"abstract":"1인 가구, 맞벌이 가구의 증가와 본격적인 고령사회에 발맞춰 편의점은 근거리 소형 포맷으로써 환경변화에 가장 빠르게 대응해 나가고 있다. 그 중 주목할 만한 흐름이 간편가정식 등 자체 식품 PB의 확대이다. PB에 대한 연구는 그 동안 가격과 품질 위주의 1세대 PB를 중심으로 한 연구는 많았으나 유통업체가 주도적으로 기획하여 자체 브랜드로 육성한 3세대 PB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본 연구는 편의점 식품 PB가 독립된 브랜드 에쿼티로서의 특성인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신뢰 등의 선택속성이 구매의도 및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고, 또한 소비자의 주관적 품질인 지각된 품질과 가격대비 상대적 편익인 지각된 가치가 구매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편의점 식품 PB의 브랜드 이미지, 지각된 품질, 지각된 가치 그리고 브랜드 신뢰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편의점 식품 PB가 NB처럼 하나의 브랜드로서 인식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구매의도는 구전의도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편의점의 핵심 타겟인 밀레니얼 세대에게 호의적 브랜드로서 인식된다면 구전을 통한 확산도 가능함을 시사하였다.","PeriodicalId":168875,"journ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volume":"2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584957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9-08-01DOI: 10.17961/jdmr.22.4.201908.57
이웅배, 정진섭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신산업 분야의 성장이 가속화됨에 따라, 이에 따른 중소기업의 규제 완화가 긴요해지고 있다. 한국 정부는 미래 신제품·신기술 개발과 육성을 위해 ‘포괄적 네거티브 규제’로의 전환을 천명하였다. 포괄적 네거티브 규제는 ‘입법방식 유연화’와 ‘규제샌드박스 제도’를 도입하여 규제개혁의 성과 창출을 꾀하고 있다. 특허청은 4차 산업혁명과 밀접한 7개 분야의 기술특허 분류체계를 새롭게 정립하여,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규제의 표준화’를 추진하고, 이를 통해 신속한 지적재산권 확보 등을 지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 분야를 중심으로 중소기업의 규제 정책과 관련 규제 이슈에 초점을 두었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과 중소기업 규제정책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3개 분야의 관련 현황 및 적정 규제개혁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요약하면, 중소기업 규제개혁의 기본적인 구조는 ‘규제편익’과 ‘규제비용’을 고려하여 수행되어야 한다. 또한, 적정한 규제개혁구간에 대한 이론적인 관점에서 해당 분야의 규제개혁 이슈도 연계하여 고찰하였다. 끝으로 결론 부문에서는 정부의 중소기업 규제개혁 성공을 위한 규제개혁 생태계의 구축과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itle":"4차 산업혁명 시대의 중소기업 규제개혁: IoT, Cloud, Big Data을 중심으로","authors":"이웅배, 정진섭","doi":"10.17961/jdmr.22.4.201908.57","DOIUrl":"https://doi.org/10.17961/jdmr.22.4.201908.57","url":null,"abstract":"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신산업 분야의 성장이 가속화됨에 따라, 이에 따른 중소기업의 규제 완화가 긴요해지고 있다. 한국 정부는 미래 신제품·신기술 개발과 육성을 위해 ‘포괄적 네거티브 규제’로의 전환을 천명하였다. 포괄적 네거티브 규제는 ‘입법방식 유연화’와 ‘규제샌드박스 제도’를 도입하여 규제개혁의 성과 창출을 꾀하고 있다. 특허청은 4차 산업혁명과 밀접한 7개 분야의 기술특허 분류체계를 새롭게 정립하여,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규제의 표준화’를 추진하고, 이를 통해 신속한 지적재산권 확보 등을 지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 분야를 중심으로 중소기업의 규제 정책과 관련 규제 이슈에 초점을 두었다.\u0000먼저,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과 중소기업 규제정책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3개 분야의 관련 현황 및 적정 규제개혁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요약하면, 중소기업 규제개혁의 기본적인 구조는 ‘규제편익’과 ‘규제비용’을 고려하여 수행되어야 한다. 또한, 적정한 규제개혁구간에 대한 이론적인 관점에서 해당 분야의 규제개혁 이슈도 연계하여 고찰하였다. 끝으로 결론 부문에서는 정부의 중소기업 규제개혁 성공을 위한 규제개혁 생태계의 구축과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PeriodicalId":168875,"journ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volume":"17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205068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9-08-01DOI: 10.17961/jdmr.22.4.201908.153
Kyoung-Ae An, 김태영
{"title":"R&D투자가 우리나라 기술무역에 미치는 효과 분석","authors":"Kyoung-Ae An, 김태영","doi":"10.17961/jdmr.22.4.201908.153","DOIUrl":"https://doi.org/10.17961/jdmr.22.4.201908.153","url":null,"abstract":"","PeriodicalId":168875,"journ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volume":"1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659642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9-08-01DOI: 10.17961/jdmr.22.4.201908.33
Chang Bong Bae, Junghee Kim
본 연구는 기업간 경쟁이 심화되고 급변하는 경영환경에서 7년 미만 창업기업의 데스밸리구간의 생존을 위한 체계적인 대응과 혁신강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에 기반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도출하여, 전국의 창업기업대상으로 설문조사에 의한 실증연구를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창업기업의 기업가 정신은 혁신성, 위험감수성, 진취성의 다차원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창업기업의 기업가 정신의 하위요소인 혁신성, 위험감수성, 진취성 모두 혁신역량과 혁신행동에 각각 정(+)의 영향을 주었다. 셋째, 창업기업의 기업가 정신의 하위요소인 혁신성, 위험감수성, 진취성 모두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넷째, 창업기업의 혁신역량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다섯째, 창업기업의 혁신행동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단순히 제품과 프로세스의 도입에 의한 혁신행동과 기업가 정신만으로는 창업기업의 경영성과를 높이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무엇보다 기업가 정신을 기반으로 한 혁신역량을 갖추는 것이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itle":"창업기업의 기업가 정신이 혁신역량, 혁신행동,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authors":"Chang Bong Bae, Junghee Kim","doi":"10.17961/jdmr.22.4.201908.33","DOIUrl":"https://doi.org/10.17961/jdmr.22.4.201908.33","url":null,"abstract":"본 연구는 기업간 경쟁이 심화되고 급변하는 경영환경에서 7년 미만 창업기업의 데스밸리구간의 생존을 위한 체계적인 대응과 혁신강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에 기반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도출하여, 전국의 창업기업대상으로 설문조사에 의한 실증연구를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창업기업의 기업가 정신은 혁신성, 위험감수성, 진취성의 다차원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창업기업의 기업가 정신의 하위요소인 혁신성, 위험감수성, 진취성 모두 혁신역량과 혁신행동에 각각 정(+)의 영향을 주었다. 셋째, 창업기업의 기업가 정신의 하위요소인 혁신성, 위험감수성, 진취성 모두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넷째, 창업기업의 혁신역량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다섯째, 창업기업의 혁신행동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단순히 제품과 프로세스의 도입에 의한 혁신행동과 기업가 정신만으로는 창업기업의 경영성과를 높이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무엇보다 기업가 정신을 기반으로 한 혁신역량을 갖추는 것이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PeriodicalId":168875,"journ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volume":"7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118117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9-08-01DOI: 10.17961/jdmr.22.4.201908.203
전표훈, 황사연, 서광석
{"title":"O2O 커머스의 지각된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도와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불확실성 회피성향 조절효과를 중심으로","authors":"전표훈, 황사연, 서광석","doi":"10.17961/jdmr.22.4.201908.203","DOIUrl":"https://doi.org/10.17961/jdmr.22.4.201908.203","url":null,"abstract":"","PeriodicalId":168875,"journ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volume":"9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577593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9-08-01DOI: 10.17961/JDMR.22.4.201908.69
Je Won Lee
{"title":"A Study of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Attitudes to Social Media","authors":"Je Won Lee","doi":"10.17961/JDMR.22.4.201908.69","DOIUrl":"https://doi.org/10.17961/JDMR.22.4.201908.69","url":null,"abstract":"","PeriodicalId":168875,"journ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volume":"21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636393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9-08-01DOI: 10.17961/jdmr.22.4.201908.11
Ki Heung Jeon
{"title":"관광지의 선택요인이 관광지 매력도에 미치는 영향: 인적 유동성 관점","authors":"Ki Heung Jeon","doi":"10.17961/jdmr.22.4.201908.11","DOIUrl":"https://doi.org/10.17961/jdmr.22.4.201908.11","url":null,"abstract":"","PeriodicalId":168875,"journ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volume":"96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278568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9-08-01DOI: 10.17961/jdmr.22.3.201906.21
Sang-Taek Jeun, Wuxiao, Jo, Jae Cheon
{"title":"인터넷쇼핑몰에서 브랜드 지각이 쇼핑성향 및 기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각된 유용성 조절효과 중심으로","authors":"Sang-Taek Jeun, Wuxiao, Jo, Jae Cheon","doi":"10.17961/jdmr.22.3.201906.21","DOIUrl":"https://doi.org/10.17961/jdmr.22.3.201906.21","url":null,"abstract":"","PeriodicalId":168875,"journal":{"name":"Journal of Distribution and Management Research","volume":"39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647959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