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 Date : 2019-03-01DOI: 10.22510/kjofm.2019.36.1.002
Sang Jun Cho, Chune Young Chung
본 연구에서는 교수출신 사외이사의 전문성에 대한 측도로 교수의 연구실적과 전공에 따른 분류를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교수의 전문성이 기업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규명하였다. 그리고 유의미한 경우 지배주주의 유무와 기업의 불확실성 하에서 교수출신 사외이사의 전문성이 기업성과에 끼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2011년부터 2015년까지 금융관련 업종에 속하는 기업 중 교수출신 사외이사가 속해있는 기업을 표본으로 사용하였으며, 기업성과를 측정하는데 있어서는 자기자본수익률과 총자산 수익률 그리고 Tobin’s Q를 사용하였다. 또한 교수출신 사외이사를 전공과 연구실적에 따라 분류 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출신 사외이사의 전문성에 대한 측도에 있어서 전공은 부정적이거나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못하였으나 최근 10년 이내의 연구실적은 유의미하게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다. 이를 통하여 교수 출신 사외이사 중에서 전문성을 갖추지 못하였으며 경영자와 이해관계가 일치하여 사외이사로서 기능하지 못하는 사외이사의 존재를 규명할 수 있었다. 둘째, 금융기업에 지배주주가 존재하거나 불확실성이 높아 사외이사의 감시기능이 더욱 중요할 경우 교수출신 사외이사의 전문성이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사외이사의 독립성에 치중되어있는 연구에서 벗어나 금융기업 사외이사의 전문성을 측정하는 측정치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한 분석으로 전문성이 기업성과와 관련 있음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전문성에 대한 측정치는 사외이사 선임과 보상수준의 결정 등에 있어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금융기업 사외이사의 전문성에 관한 연구 확장에 도움이 될 것이다.
本研究对教授出身的社外理事的专业性,也根据教授的研究业绩和专业进行了分类,以此来查明教授的专业性是否对企业成果产生有意义的影响。在有意义的情况下,实证分析了在控股股东的有无和企业的不确定性下,教授出身的社外理事的专业性对企业成果产生的影响。为了实证分析,从2011年到2015年,在金融相关行业的企业中,以教授出身的社外理事所属的企业为样本,在测定企业成果时,使用了自身资本收益率和总资产收益率以及Tobin ' s Q。另外,根据专业和研究业绩对教授出身的社外理事进行了分类。本论文的分析结果如下。第一,在教授出身的社外理事的专业性方面,专业虽然没有产生否定或有意义的影响,但是最近10年内的研究业绩却有意义的正相关关系。通过这种方式,查明了在教授出身的社外理事中,不具备专业性,而且因与经营者的利害关系一致,不能起到社外理事作用的社外理事的存在。第二,金融企业中存在支配股东或不确定性较高,因此社外理事的监视功能更加重要时,教授出身的社外理事的专业性会产生更加积极的影响。通过本研究,摆脱了着重于社外理事独立性的研究,提供了测定金融企业社外理事专业性的测定值。而且,通过分析显示出专业性与企业成果有关。本研究中提出的对专业性的测定值,将会在选任社外理事和补偿水平的决定等上,有用地使用,对金融企业社外理事的专业性相关的研究扩张,将会有所帮助。
{"title":"사외이사의 실질적 전문성이 금융회사에 미치는 영향: 교수출신 사외이사를 중심으로","authors":"Sang Jun Cho, Chune Young Chung","doi":"10.22510/kjofm.2019.36.1.002","DOIUrl":"https://doi.org/10.22510/kjofm.2019.36.1.002","url":null,"abstract":"본 연구에서는 교수출신 사외이사의 전문성에 대한 측도로 교수의 연구실적과 전공에 따른 분류를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교수의 전문성이 기업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규명하였다. 그리고 유의미한 경우 지배주주의 유무와 기업의 불확실성 하에서 교수출신 사외이사의 전문성이 기업성과에 끼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u0000실증분석을 위하여 2011년부터 2015년까지 금융관련 업종에 속하는 기업 중 교수출신 사외이사가 속해있는 기업을 표본으로 사용하였으며, 기업성과를 측정하는데 있어서는 자기자본수익률과 총자산 수익률 그리고 Tobin’s Q를 사용하였다. 또한 교수출신 사외이사를 전공과 연구실적에 따라 분류 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u0000첫째, 교수출신 사외이사의 전문성에 대한 측도에 있어서 전공은 부정적이거나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못하였으나 최근 10년 이내의 연구실적은 유의미하게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다. 이를 통하여 교수 출신 사외이사 중에서 전문성을 갖추지 못하였으며 경영자와 이해관계가 일치하여 사외이사로서 기능하지 못하는 사외이사의 존재를 규명할 수 있었다. 둘째, 금융기업에 지배주주가 존재하거나 불확실성이 높아 사외이사의 감시기능이 더욱 중요할 경우 교수출신 사외이사의 전문성이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u0000본 연구를 통하여 사외이사의 독립성에 치중되어있는 연구에서 벗어나 금융기업 사외이사의 전문성을 측정하는 측정치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한 분석으로 전문성이 기업성과와 관련 있음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전문성에 대한 측정치는 사외이사 선임과 보상수준의 결정 등에 있어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금융기업 사외이사의 전문성에 관한 연구 확장에 도움이 될 것이다.","PeriodicalId":22847,"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volume":"25 1","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3-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824489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9-03-01DOI: 10.22510/KJOFM.2019.36.1.004
Jun Jo, 정찬식
경제 패러다임이 급변하는 시대인 지금,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기업에도 지속적인 성장을 위하여 최고경영자의 역할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최고경영자의 역할은 기업의 경영성과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에 그들의 의사결정에 따라 성과가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경영자의 의사결정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인 경영자의 인적 특성 중 연령, 성별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EO의 연령이 낮을수록, CEO의 성별이 남성일수록 해당 기업은 고위험-고수익을 추구하였다. 둘째, 그 결과 CEO의 연령이 낮을수록 자산증가의 속도는 더욱 증가하였다. 셋째, 이러한 공격적인 경영과 자산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CEO의 연령이 낮을수록 오히려 부채의 자본비용은 감소하고 신용등급은 상향되는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결과는 특정 기업의 위험 및 경영성과에서 동일 산업에 속한 여타 기업의 위험 및 경영성과의 중앙값을 차감한 산업조정 종속변수를 사용하여도 질적으로 거의 동일한 강건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기업 경영에 있어 높은 연령의 CEO 및 여성 CEO에게 경영의 효율성 및 효과성의 개선을 위해 특별한 노력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가 있으며, 중소기업에 투자하는 투자자에게는 CEO의 연령과 성별이 중요한 투자 지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경제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할 수 있다.
{"title":"중소기업 CEO의 인적 특성이 기업의 위험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authors":"Jun Jo, 정찬식","doi":"10.22510/KJOFM.2019.36.1.004","DOIUrl":"https://doi.org/10.22510/KJOFM.2019.36.1.004","url":null,"abstract":"경제 패러다임이 급변하는 시대인 지금,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기업에도 지속적인 성장을 위하여 최고경영자의 역할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최고경영자의 역할은 기업의 경영성과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에 그들의 의사결정에 따라 성과가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경영자의 의사결정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인 경영자의 인적 특성 중 연령, 성별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u0000첫째, CEO의 연령이 낮을수록, CEO의 성별이 남성일수록 해당 기업은 고위험-고수익을 추구하였다.\u0000둘째, 그 결과 CEO의 연령이 낮을수록 자산증가의 속도는 더욱 증가하였다.\u0000셋째, 이러한 공격적인 경영과 자산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CEO의 연령이 낮을수록 오히려 부채의 자본비용은 감소하고 신용등급은 상향되는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u0000이러한 실증결과는 특정 기업의 위험 및 경영성과에서 동일 산업에 속한 여타 기업의 위험 및 경영성과의 중앙값을 차감한 산업조정 종속변수를 사용하여도 질적으로 거의 동일한 강건한 결과를 보였다.\u0000본 연구는, 기업 경영에 있어 높은 연령의 CEO 및 여성 CEO에게 경영의 효율성 및 효과성의 개선을 위해 특별한 노력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가 있으며, 중소기업에 투자하는 투자자에게는 CEO의 연령과 성별이 중요한 투자 지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경제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할 수 있다.","PeriodicalId":22847,"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volume":"7 1","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3-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281006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9-03-01DOI: 10.22510/KJOFM.2019.36.1.001
Kyung Hee Park, Byunjinho
{"title":"시장분위기와 이익공시에 따른 비대칭적 시장반응에 대한 연구","authors":"Kyung Hee Park, Byunjinho","doi":"10.22510/KJOFM.2019.36.1.001","DOIUrl":"https://doi.org/10.22510/KJOFM.2019.36.1.001","url":null,"abstract":"","PeriodicalId":22847,"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volume":"13 1","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3-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724150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9-01-01DOI: 10.22510/kjofm.2019.36.3.004
김주완, 백재승
국내의 대표적 경영컨설팅기관인 한국생산성본부와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은 각각 표준화된 설문조사방법을 활용하여 매년 국가고객만족지수(NCSI)와 한국산업의 브랜드파워지수(K-BPI) 및 한국산업의 고객만족도(KCSI) 우수 기업들을 발표하고 있다. 기업의 상품, 서비스를 직접 이용해본 고객들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설문조사를 통해 산출해내는 이들 세 지수는 국내 기업들의 고객 평판도를 측정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잣대이다. 본 연구는 이들 지표를 이용하여 기업이 만들어내는 상품, 서비스에 관한 소비자의 인식과 평가, 즉 고객 평판도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07년부터 2017년까지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고객 평판도의 대용치인 NCSI, K-BPI 그리고 KCSI를 이용하여 기업가치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기업가치 대용치인 토빈의 Q와 고객 평판도의 영향력을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본 후 수상발표일을 기준으로 비정상주가수익률(CAR)을 측정하여 주가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재무적 의사결정 과정에서 무형자산으로서 고객 평판도가 가지는 의의와 활용가치에 대해 가늠해 볼 수 있다. 실증연구 결과 NCSI, K-BPI, KCSI 우수기업으로 수상된 경우 시장가치(토빈의 Q)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상과 기업가치의 독립-종속 관계를 바꾼 분석 및 3년 연속수상과 기업가치의 관계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역시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고객 평판도가 기업가치를 신호하는 중간 고리로 작용하여 기업의 장기적이고 연속적인 가치상승에 선순환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조를 확인하였다. 각 지수의 수상발표일 전후 주가 변화를 측정한 결과 누적평균비정상수익률 (CAR)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itle":"고객 평판도와 기업가치: NCSI, K-BPI, KCSI 수상을 중심으로","authors":"김주완, 백재승","doi":"10.22510/kjofm.2019.36.3.004","DOIUrl":"https://doi.org/10.22510/kjofm.2019.36.3.004","url":null,"abstract":"국내의 대표적 경영컨설팅기관인 한국생산성본부와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은 각각 표준화된 설문조사방법을 활용하여 매년 국가고객만족지수(NCSI)와 한국산업의 브랜드파워지수(K-BPI) 및 한국산업의 고객만족도(KCSI) 우수 기업들을 발표하고 있다. 기업의 상품, 서비스를 직접 이용해본 고객들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설문조사를 통해 산출해내는 이들 세 지수는 국내 기업들의 고객 평판도를 측정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잣대이다. 본 연구는 이들 지표를 이용하여 기업이 만들어내는 상품, 서비스에 관한 소비자의 인식과 평가, 즉 고객 평판도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07년부터 2017년까지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고객 평판도의 대용치인 NCSI, K-BPI 그리고 KCSI를 이용하여 기업가치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기업가치 대용치인 토빈의 Q와 고객 평판도의 영향력을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본 후 수상발표일을 기준으로 비정상주가수익률(CAR)을 측정하여 주가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재무적 의사결정 과정에서 무형자산으로서 고객 평판도가 가지는 의의와 활용가치에 대해 가늠해 볼 수 있다. 실증연구 결과 NCSI, K-BPI, KCSI 우수기업으로 수상된 경우 시장가치(토빈의 Q)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상과 기업가치의 독립-종속 관계를 바꾼 분석 및 3년 연속수상과 기업가치의 관계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역시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고객 평판도가 기업가치를 신호하는 중간 고리로 작용하여 기업의 장기적이고 연속적인 가치상승에 선순환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조를 확인하였다. 각 지수의 수상발표일 전후 주가 변화를 측정한 결과 누적평균비정상수익률 (CAR)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eriodicalId":22847,"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volume":"63 1","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9-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864015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8-12-01DOI: 10.22510/kjofm.2018.35.4.002
이은미, 박광우, 김현동
본 연구는 2014년 11월 후강통 시행으로 인한 중국 자본시장의 전면 개방이 국제분산투자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후강통 시행 전후 5개국(한국, 미국, 일본, 홍콩, 중국) 주요주가지수들 간의 상관관계, 공적분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후강통 시행으로 인한 위험분산효과 및 위험 대비 수익률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후강통 시행 이후 중국시장의 홍콩 및 미국시장과의 동조화는 강화된 반면, 한국 및 일본시장과의 동조화는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5개국 모두를 포함하는 포트폴리오의 변동성은 후강통 시행 이후 증가하였다. 반면 중국시장과 4개국 간 포트폴리오들의 샤프지수는 후강통 시행 이후 모두 향상되었다. 이는 후강통 시행 이후 포트폴리오의 변동성 변화 대비 수익률의 상대적 증가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는 후강통 시행이 국제 포트폴리오의 위험분산효과를 약화시키는 경향을 보여주지만, 위험 대비 보상의 관점에서는 분산투자에 긍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itle":"The Effect of Shanghai-Hong Kong Stock Connect on International Portfolio Diversification","authors":"이은미, 박광우, 김현동","doi":"10.22510/kjofm.2018.35.4.002","DOIUrl":"https://doi.org/10.22510/kjofm.2018.35.4.002","url":null,"abstract":"본 연구는 2014년 11월 후강통 시행으로 인한 중국 자본시장의 전면 개방이 국제분산투자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후강통 시행 전후 5개국(한국, 미국, 일본, 홍콩, 중국) 주요주가지수들 간의 상관관계, 공적분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후강통 시행으로 인한 위험분산효과 및 위험 대비 수익률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후강통 시행 이후 중국시장의 홍콩 및 미국시장과의 동조화는 강화된 반면, 한국 및 일본시장과의 동조화는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5개국 모두를 포함하는 포트폴리오의 변동성은 후강통 시행 이후 증가하였다. 반면 중국시장과 4개국 간 포트폴리오들의 샤프지수는 후강통 시행 이후 모두 향상되었다. 이는 후강통 시행 이후 포트폴리오의 변동성 변화 대비 수익률의 상대적 증가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는 후강통 시행이 국제 포트폴리오의 위험분산효과를 약화시키는 경향을 보여주지만, 위험 대비 보상의 관점에서는 분산투자에 긍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PeriodicalId":22847,"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volume":"417 1","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580681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8-12-01DOI: 10.22510/kjofm.2018.35.4.005
Chunghyo Hong
{"title":"A Study on the Trading Volume’s Information Spillover, Volatility Cluster and Leverage Effect in Won/Dollar Futures Market","authors":"Chunghyo Hong","doi":"10.22510/kjofm.2018.35.4.005","DOIUrl":"https://doi.org/10.22510/kjofm.2018.35.4.005","url":null,"abstract":"","PeriodicalId":22847,"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volume":"18 1","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397405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8-12-01DOI: 10.22510/kjofm.2018.35.4.004
Minki Kim, 김동석, 정진수
본 논문에서는 2001년 7월부터 2017년 6월까지 국내 유가증권 시장 및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기업들에서 나타나는 주식수익률 이상 현상 중 하나인 수익성 프리머엄의 발생 요인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수익성 프리미엄이 체계적 위험으로 인해 발생하는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거시경제 요인 및 수익성 모방요인을 이용한 검증 결과, 수익성 프리미엄이 체계적 위험에 대한 보상이라는 증거를 발견하지 못했고, 오히려 정보 불확실성 및 주식의 차익거래 제한 정도가 높을수록 수익성 프리미엄이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수익성 프리미엄의 장기 회귀가 나타나지 않아, 이로부터 투자자의 사후 과잉반응보다 사전 과소반응에 가깝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를 토대로, 세 가지의 대표적인 투자자 과소 반응에 대한 행동 재무학 모형을 활용하여 비교 검증한 결과 Hong and Stein(1999)의 투자자 무관심 모형이 수익성 프리미엄을 가장 잘 설명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title":"Dissecting Profitability Premium in Korean Stock Markets","authors":"Minki Kim, 김동석, 정진수","doi":"10.22510/kjofm.2018.35.4.004","DOIUrl":"https://doi.org/10.22510/kjofm.2018.35.4.004","url":null,"abstract":"본 논문에서는 2001년 7월부터 2017년 6월까지 국내 유가증권 시장 및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기업들에서 나타나는 주식수익률 이상 현상 중 하나인 수익성 프리머엄의 발생 요인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수익성 프리미엄이 체계적 위험으로 인해 발생하는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거시경제 요인 및 수익성 모방요인을 이용한 검증 결과, 수익성 프리미엄이 체계적 위험에 대한 보상이라는 증거를 발견하지 못했고, 오히려 정보 불확실성 및 주식의 차익거래 제한 정도가 높을수록 수익성 프리미엄이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수익성 프리미엄의 장기 회귀가 나타나지 않아, 이로부터 투자자의 사후 과잉반응보다 사전 과소반응에 가깝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를 토대로, 세 가지의 대표적인 투자자 과소 반응에 대한 행동 재무학 모형을 활용하여 비교 검증한 결과 Hong and Stein(1999)의 투자자 무관심 모형이 수익성 프리미엄을 가장 잘 설명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eriodicalId":22847,"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volume":"39 1","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157390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8-12-01DOI: 10.22510/kjofm.2018.35.4.001
최문섭, Choi, Joung Hwa
{"title":"Preferred Stock Discounts and Noise Trader Risk in Taiwan","authors":"최문섭, Choi, Joung Hwa","doi":"10.22510/kjofm.2018.35.4.001","DOIUrl":"https://doi.org/10.22510/kjofm.2018.35.4.001","url":null,"abstract":"","PeriodicalId":22847,"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volume":"48 1","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9031389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8-12-01DOI: 10.22510/kjofm.2018.35.4.011
고희운, 강상훈
{"title":"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Volatilities of Commodity Market and Korea Stock Market","authors":"고희운, 강상훈","doi":"10.22510/kjofm.2018.35.4.011","DOIUrl":"https://doi.org/10.22510/kjofm.2018.35.4.011","url":null,"abstract":"","PeriodicalId":22847,"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volume":"29 1","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139954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