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 Date : 2018-12-01DOI: 10.22510/kjofm.2018.35.4.006
Hang Thi Thuy Pham, Jungsungchang
{"title":"The Impact of Government Ownership on Dividend Policy:Case in Viet Nam","authors":"Hang Thi Thuy Pham, Jungsungchang","doi":"10.22510/kjofm.2018.35.4.006","DOIUrl":"https://doi.org/10.22510/kjofm.2018.35.4.006","url":null,"abstract":"","PeriodicalId":22847,"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volume":"103 1","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077124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8-12-01DOI: 10.22510/KJOFM.2018.35.4.008
Jae-Seung Baek, 장은갑
{"title":"The Effect of Korea-US and Korea-China FTA on the Stock Price Reaction of the Industry and Individual Firm","authors":"Jae-Seung Baek, 장은갑","doi":"10.22510/KJOFM.2018.35.4.008","DOIUrl":"https://doi.org/10.22510/KJOFM.2018.35.4.008","url":null,"abstract":"","PeriodicalId":22847,"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volume":"101 1","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339575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8-12-01DOI: 10.22510/kjofm.2018.35.4.016
윤희정, 김홍배, 터먼샘
{"title":"Crowdfunding For Africa Coffee Industry","authors":"윤희정, 김홍배, 터먼샘","doi":"10.22510/kjofm.2018.35.4.016","DOIUrl":"https://doi.org/10.22510/kjofm.2018.35.4.016","url":null,"abstract":"","PeriodicalId":22847,"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volume":"32 1","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771316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8-09-01DOI: 10.22510/kjofm.2018.35.3.007
Chan-Hui Nah, Jae-Seung Baek
금융자유화의 진전, 기술혁신, 시장개방 등으로 세계금융은 대형화 겸업화 추세에 있고, 국내에서도 4대 금융지주회사들이 출범한 바 이들 금융지주사들의 주식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금융변화를 예측하고 제도개선을 위한 학문적, 경제적 시사점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KOSPI수익률, 금리, 환율이 은행업종과 4대 금융지주의 주식수익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위해 수정된 일반자기회귀 조건부분산모형(GARCH-M)을 사용하였다. 기존연구와 달리 은행업종 및 국내 4대 금융지주를 함께 분석하고 금리의 경우 금리 수준뿐만 아니라 금리의 변동성에 초점을 둔다는 데에 차별화된 의의가 있다. 분석자료는 2003년부터 2017년까지 국내 은행업종 및 4대 금융지주의 일별 주식수익률, KOSPI 수익률, 콜금리, CD금리, 국고채 수익률과 환율을 이용하였다. 실증분석결과 KOSPI 수익률이 은행업종과 4대 금융지주 주식수익률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KOSPI 수익률과 금융지주 주식수익률은 양(+)의 관계인 한편 그 정도는 금융지주 별로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환율이 영향을 미쳤는데 환율 변동률이 증가하면 금융지주 주식수익률은 하락했으며, 금융지주들중 하나지주, 우리은행의 환율영향이 다른 금융지주들 보다 더 컸다. 또한 금리 자체는 만기 별 종류에 상관없이 금융지주의 주식수익률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금리의 변동성이 금융지주 주식수익률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측면에서는 국채 3년 및 5년 수익률 같은 중장기 금리의 변동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금융지주 간에 본질가치에 의한 변수 외에 거시경제변수가 시장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므로 이를 투자와 위험관리에 참고할 수 있는 학문적 자료를 제공한다.
{"title":"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Stock Return of the Banking Industry and Financial Holding Companies","authors":"Chan-Hui Nah, Jae-Seung Baek","doi":"10.22510/kjofm.2018.35.3.007","DOIUrl":"https://doi.org/10.22510/kjofm.2018.35.3.007","url":null,"abstract":"금융자유화의 진전, 기술혁신, 시장개방 등으로 세계금융은 대형화 겸업화 추세에 있고, 국내에서도 4대 금융지주회사들이 출범한 바 이들 금융지주사들의 주식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금융변화를 예측하고 제도개선을 위한 학문적, 경제적 시사점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KOSPI수익률, 금리, 환율이 은행업종과 4대 금융지주의 주식수익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위해 수정된 일반자기회귀 조건부분산모형(GARCH-M)을 사용하였다. 기존연구와 달리 은행업종 및 국내 4대 금융지주를 함께 분석하고 금리의 경우 금리 수준뿐만 아니라 금리의 변동성에 초점을 둔다는 데에 차별화된 의의가 있다. 분석자료는 2003년부터 2017년까지 국내 은행업종 및 4대 금융지주의 일별 주식수익률, KOSPI 수익률, 콜금리, CD금리, 국고채 수익률과 환율을 이용하였다. 실증분석결과 KOSPI 수익률이 은행업종과 4대 금융지주 주식수익률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KOSPI 수익률과 금융지주 주식수익률은 양(+)의 관계인 한편 그 정도는 금융지주 별로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환율이 영향을 미쳤는데 환율 변동률이 증가하면 금융지주 주식수익률은 하락했으며, 금융지주들중 하나지주, 우리은행의 환율영향이 다른 금융지주들 보다 더 컸다. 또한 금리 자체는 만기 별 종류에 상관없이 금융지주의 주식수익률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금리의 변동성이 금융지주 주식수익률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측면에서는 국채 3년 및 5년 수익률 같은 중장기 금리의 변동성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금융지주 간에 본질가치에 의한 변수 외에 거시경제변수가 시장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므로 이를 투자와 위험관리에 참고할 수 있는 학문적 자료를 제공한다.","PeriodicalId":22847,"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volume":"7 1","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09-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862937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8-09-01DOI: 10.22510/kjofm.2018.35.3.004
Hankyung Lee, 김진수
{"title":"Quarterly Earnings Announcements and Short-Selling","authors":"Hankyung Lee, 김진수","doi":"10.22510/kjofm.2018.35.3.004","DOIUrl":"https://doi.org/10.22510/kjofm.2018.35.3.004","url":null,"abstract":"","PeriodicalId":22847,"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volume":"57 1","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09-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563141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8-09-01DOI: 10.22510/kjofm.2018.35.3.003
곽노걸
This study aims to analyse efficiencies of international main container ports. For the purpose, it selected twenty main ports based on the volume of cargo of ports recorded in Containerisation International Yearbook and conducted BCC(efficiency analysis) on them. The variables which may influence efficiency of ports were selec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Berth, Depth, Crane and Total area were input variables and Total TEU was an output variabl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EA-CCR efficiency of Shenchen Port(China) was 1.0, which was the most efficient poor analysed. Second, DEA-BCC efficiency of Port of Singapore, Shenchen Port(China), Ningbo Port (China), Port of Tanjung Pelepas (Malaysia) was 1.0, which was the most efficient analysed. Third, efficient scale of Shenchen Port(China) has been 1.0 for four subsequent years from 2004 to 2007, which was the most efficient analysed.
{"title":"Comparisons of Market Efficiencies using Stock Price Jump Information","authors":"곽노걸","doi":"10.22510/kjofm.2018.35.3.003","DOIUrl":"https://doi.org/10.22510/kjofm.2018.35.3.003","url":null,"abstract":"This study aims to analyse efficiencies of international main container ports. For the purpose, it selected twenty main ports based on the volume of cargo of ports recorded in Containerisation International Yearbook and conducted BCC(efficiency analysis) on them. The variables which may influence efficiency of ports were selec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Berth, Depth, Crane and Total area were input variables and Total TEU was an output variabl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EA-CCR efficiency of Shenchen Port(China) was 1.0, which was the most efficient poor analysed. Second, DEA-BCC efficiency of Port of Singapore, Shenchen Port(China), Ningbo Port (China), Port of Tanjung Pelepas (Malaysia) was 1.0, which was the most efficient analysed. Third, efficient scale of Shenchen Port(China) has been 1.0 for four subsequent years from 2004 to 2007, which was the most efficient analysed.","PeriodicalId":22847,"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volume":"58 1","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09-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783892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8-09-01DOI: 10.22510/kjofm.2018.35.3.001
Hyung-Chan Jung
{"title":"Corporate Restructuring in Korea during the Asian Financial Crisis: The Cases of Samsung Electronics and Daewoo Motor Company","authors":"Hyung-Chan Jung","doi":"10.22510/kjofm.2018.35.3.001","DOIUrl":"https://doi.org/10.22510/kjofm.2018.35.3.001","url":null,"abstract":"","PeriodicalId":22847,"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volume":"102 1","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09-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579186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8-09-01DOI: 10.22510/kjofm.2018.35.3.009
Mookwon Jung
{"title":"Spin-offs and Firm Value","authors":"Mookwon Jung","doi":"10.22510/kjofm.2018.35.3.009","DOIUrl":"https://doi.org/10.22510/kjofm.2018.35.3.009","url":null,"abstract":"","PeriodicalId":22847,"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volume":"7 1","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09-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878861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8-09-01DOI: 10.22510/kjofm.2018.35.3.010
Jangkoo Kang, Giho Jeong
본 연구는 한국 주식시장에서 실적 발표 기간에 단기 반전 효과가 그렇지 않은 기간에 비하여 강하게 나타난다는 사실을 보고한다. 본 연구의 주요한 실증적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적 발표기간에는 유의한 단기 반전 효과가 존재하고, 그렇지 않은 기간에는 유의한 단기 반전 효과가 존재하지 않으며, 실적 발표 기간의 강한 단기 반전 효과는 미국 시장을 표본으로 이용한 So and Wang(2014)의 결과와 일관된다. 둘째, 실적 발표 기간 직전의 유동성 공급의 감소는 이유는 역선택(adverse selection)에 대한 위험보다는 재고 위험(inventory risk)에 의하여 발생한다. 셋째, 실적 발표 기간 직전의 유동성 공급의 감소는 한국 시장에서 유동성 공급자의 역할을 하는 개인 투자자의 거래 회피에서 기인한다.
{"title":"Short-Term Reversals Ahead of Earnings Announcement in Korean Stock Market","authors":"Jangkoo Kang, Giho Jeong","doi":"10.22510/kjofm.2018.35.3.010","DOIUrl":"https://doi.org/10.22510/kjofm.2018.35.3.010","url":null,"abstract":"본 연구는 한국 주식시장에서 실적 발표 기간에 단기 반전 효과가 그렇지 않은 기간에 비하여 강하게 나타난다는 사실을 보고한다. 본 연구의 주요한 실증적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적 발표기간에는 유의한 단기 반전 효과가 존재하고, 그렇지 않은 기간에는 유의한 단기 반전 효과가 존재하지 않으며, 실적 발표 기간의 강한 단기 반전 효과는 미국 시장을 표본으로 이용한 So and Wang(2014)의 결과와 일관된다. 둘째, 실적 발표 기간 직전의 유동성 공급의 감소는 이유는 역선택(adverse selection)에 대한 위험보다는 재고 위험(inventory risk)에 의하여 발생한다. 셋째, 실적 발표 기간 직전의 유동성 공급의 감소는 한국 시장에서 유동성 공급자의 역할을 하는 개인 투자자의 거래 회피에서 기인한다.","PeriodicalId":22847,"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volume":"55 1","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09-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807353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8-09-01DOI: 10.22510/kjofm.2018.35.3.002
박영규
코스닥시장에서 유가증권시장으로 이전한 기업의 특성을 조사하고, 이전상장에 대한 주식시장반응과 영업성과변화를 분석한다. 이전상장기업은 대응 코스닥기업에 비해 총자산순이익률과 총자산회전율이 우수하다. 즉, 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수익성이 높은 기업이 유가증권시장으로 이동을 결정한다. 코스닥기업의 이전결의공시에 주식시장은 긍정적으로 반응한다. 그 이후 이전일 한 달 전부터 초과 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실제 유가증권시장으로 이전한 이후의 초과수익률은 하락 변경된다. 하지만, 이러한 주식성과의 하락반전이 장기저성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이전상장 전후의 영업성과의 변화도 주식수익률과 동일하며, 이전상장 이후 영업성과가 하락하지만 대응 코스피기업과 비슷한 수준에 불과해, 이전상장에 의한 성과하락은 아니다. 이전상장기업의 경우, 정규상장기업의 장기저성과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는 코스닥시장 상장효과에 기인한다.
{"title":"The Study on Firms to Switch from KOSDAQ to KOSPI","authors":"박영규","doi":"10.22510/kjofm.2018.35.3.002","DOIUrl":"https://doi.org/10.22510/kjofm.2018.35.3.002","url":null,"abstract":"코스닥시장에서 유가증권시장으로 이전한 기업의 특성을 조사하고, 이전상장에 대한 주식시장반응과 영업성과변화를 분석한다. 이전상장기업은 대응 코스닥기업에 비해 총자산순이익률과 총자산회전율이 우수하다. 즉, 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수익성이 높은 기업이 유가증권시장으로 이동을 결정한다. 코스닥기업의 이전결의공시에 주식시장은 긍정적으로 반응한다. 그 이후 이전일 한 달 전부터 초과 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실제 유가증권시장으로 이전한 이후의 초과수익률은 하락 변경된다. 하지만, 이러한 주식성과의 하락반전이 장기저성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이전상장 전후의 영업성과의 변화도 주식수익률과 동일하며, 이전상장 이후 영업성과가 하락하지만 대응 코스피기업과 비슷한 수준에 불과해, 이전상장에 의한 성과하락은 아니다. 이전상장기업의 경우, 정규상장기업의 장기저성과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는 코스닥시장 상장효과에 기인한다.","PeriodicalId":22847,"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volume":"56 1","pages":""},"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8-09-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537127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