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1 국내에서 심혈관 질환에 의한 사망은 꾸준히 증가추세에 있 어 2010년 10만명 당 33.9명 이었으나 2011년 10만명 당 49.8 명으로 사망원인 3위를 꾸준히 지키고 있다. 1) Framingham risk score (FRS)는 널리 알려진 심혈관계 질환 위험 수준 평가 척도로, 성별, 연령, 총 콜레스테롤, 고밀도 콜레스테 롤, 흡연여부, 수축기 혈압에 따라 10년 이내의 심혈관 질환 위험도를 예측한다. 2) 이를 이용해 심혈관 위험 수준을 파악 하고 조기에 이러한 위험인자들을 조정해주고자 하는 노력 이 진행되고 있다. 혈중 gamma-glutamyltransferase (GGT)는 임상적으로 지방간 등의 간 질환을 평가하기 위해 흔히 사용된다. GGT 는 간에서 대부분 생산되긴 하지만, 상피세포의 글루타치온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 GGT의 상승은 산화 스트레스 를 반영한다고 알려진다. 3) 산화스트레스는 동맥경화의 주요 원인이므로, 심혈관 질환과 GGT의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이 라 추측되어 왔다. Franzini 등은 동맥경화반(atherosclerotic plaque)에 GGT 유사단백이 존재하고 혈중 GGT의 활동성 이 직접적으로 경화반의 진행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다고 하 였고, Kozakova 등 은 조기 동맥경화반을 결정짓는 독립적 인 요인일 것이라 하였다. 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GGT를 심혈관 질환 예측을 위한 주요 인자로 보아야 한다는 연구 가 진행되고 있다. 실제 여러 연구에서 GGT 농도와 심혈관 질환의 발생률과 사망률은 밀접한 관계를 보인다는 결과도 발표되고 있다. 6-8)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 술이나 간질환과 같은 GGT에 크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를 단순 히 보정하는 정도의 분석만 시행하여 술과 같은 또 하나의 심혈관계 질환 위험인자의 역할을 완전히 배제하지 못하였 다. 본 저자의 연구 는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편견을 최소 화 하고자 고도 음주자, 비정상 간수치를 보이는 대상자, 간 질환자를 모두 제외하고 시행하였다. 또한 GGT가 상승되어 있을 경우 술이나 간질환에 의한 것인지 감별하기 어려울 수 있어, GGT를 포함한 간수치가 모두 정상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만을 대상자로 선별하였다. 선별된 대상자들의 GGT와 심혈관계 위험 지수인 FRS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상범 위 내라도 GGT는 심혈관계 위험 정도와 유의한 연관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남성에서는 이러한 유의성이 심혈 관 질환과 관계된다고 알려진 비만(체질량 지수, 허리둘레) 과, GGT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인 간효소 수치와 음주력 을 보정한 후에도 지속되었다(다중회귀분석 결과: β = 0.698, P = 0.013). 다만 여성에서는 비만(체질량 지수, 허리둘레)을 보정하였을 때는 유의성이 있었으나, 간효소 수치와 음주력 까지 보정한 결과에서는 유의한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는데 (다중회귀분석 결과: β = 0.448, P = 0.105) 남녀 별로 다른 결과를 보인 것에는 첫째, FRS 계산식이 남녀별로 다르다는 점이 고려될 수 있다. FRS는 남녀를 고려하여 심혈관 위험을 예측하는 계산식으로, 남녀 별로 같은 위험인자에 대해 배점 이 다르며, 같은 점수가 계산되었을 경우 남자에서 10년 위 정상 범위 내의 혈청 Gamma-glutamyltransferase와 심혈관 질환의 위험요인과의 관련성: Framingham Risk Score를 중심으로 (대한비만학회지 제22권 제1호 2013) 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Gamma-glutamyltransferase within Normal Range and Risk Fa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s: Based on the Framingham Risk Score (Korean J Obes Vol.22 No.1 2013)
261国内因心血管疾病而死亡的人数呈持续增加趋势,2010年每10万人中有33.9人死亡,2011年每10万人中有49.8人死亡,一直占据死亡原因的第三位。1) Framingham risk score (FRS)是一个广为人知的心血管疾病风险水平评估尺度,根据性别、年龄、总胆固醇、高密度胆固醇、是否吸烟、收缩压等情况,预测10年内心血管疾病危险度。2)利用心血管危险水平,早期调整这些危险因素的努力正在进行。血液中的gamma-glutamyltransferase (GGT)在临床上常用于评价脂肪肝等肝病。虽然GGT大部分在肝脏中生产,但GGT对上皮细胞的谷氨酸代谢有重要作用,因此GGT的上升反映了氧化压力。3)氧化压力是动脉硬化的主要原因,因此推测心血管疾病与GGT有密切关系。Franzini等人认为动脉硬化斑块中存在GGT类似蛋白,血液中GGT的活动性可能直接影响硬化斑块的发展,Kozakova等可能是决定早期动脉硬化斑块的独立因素。基于这一理论,有研究认为GGT是预测心血管疾病的主要因素。实际上,在各种研究中也发表了GGT浓度和心血管疾病的发生率和死亡率有着密切关系的结果。6-8)然而,这些研究大多只对可能对GGT产生重大影响的因素进行简单的修正,如酒或肝病,未能完全排除另一个心血管疾病危险因素的作用。本作者的研究为了将由此可能产生的偏见最小化,将高度饮酒者、显示非正常水数值的对象、肝病患者全部排除在外。另外,如果GGT上升,就很难鉴别是否是酒或肝病所致,因此只筛选出包括GGT在内的卤水值都在正常范围内的情况为对象。对筛选对象的GGT与心血管危险指数FRS的关系进行分析的结果显示,即使在正常范围内,GGT也与心血管危险程度有密切的联系。特别是在男性中,这种注意性在修正了被认为与心血管疾病有关的肥胖(体质指数,腰围)和能够对GGT产生影响的因子——肝酶数值和饮酒能力之后也持续了下来(多重回归分析结果:β = 0.698, P = 0.013)。只是女性肥胖(体质指数、腰围),在保定的时候有注意了,但肝酶数据和饮酒在保定的结果,注意到历史关联性没有出现,(多重회귀분석结果:β= 0。448,p = 0 . 105)按男女表现出不同的结果,第一,frs算式男女各不同,这一点可以考虑。FRS是根据男女因素预测心血管危险的计算方式,男女对相同的危险因素评分不同,如果计算相同的分数,男性10年以上正常范围内的血清Gamma-glutamyltransferase与心血管疾病危险因素的关联性: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Gamma-glutamyltransferase within Normal Range and Risk Fa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sBased on the Framingham Risk Score (Korean J Obes Vol.22 No.1 2013)
{"title":"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Gamma-glutamyltransferase within Normal Range and Risk Fa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s: Based on the Framingham Risk Score","authors":"Hae-Jin Ko, Chang-Su Choi, Chang-Ho Youn, Duk Hee Lee, Sungyong Lee","doi":"10.7570/KJO.2013.22.1.21","DOIUrl":"https://doi.org/10.7570/KJO.2013.22.1.21","url":null,"abstract":"261 국내에서 심혈관 질환에 의한 사망은 꾸준히 증가추세에 있 어 2010년 10만명 당 33.9명 이었으나 2011년 10만명 당 49.8 명으로 사망원인 3위를 꾸준히 지키고 있다. 1) Framingham risk score (FRS)는 널리 알려진 심혈관계 질환 위험 수준 평가 척도로, 성별, 연령, 총 콜레스테롤, 고밀도 콜레스테 롤, 흡연여부, 수축기 혈압에 따라 10년 이내의 심혈관 질환 위험도를 예측한다. 2) 이를 이용해 심혈관 위험 수준을 파악 하고 조기에 이러한 위험인자들을 조정해주고자 하는 노력 이 진행되고 있다. 혈중 gamma-glutamyltransferase (GGT)는 임상적으로 지방간 등의 간 질환을 평가하기 위해 흔히 사용된다. GGT 는 간에서 대부분 생산되긴 하지만, 상피세포의 글루타치온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 GGT의 상승은 산화 스트레스 를 반영한다고 알려진다. 3) 산화스트레스는 동맥경화의 주요 원인이므로, 심혈관 질환과 GGT의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이 라 추측되어 왔다. Franzini 등은 동맥경화반(atherosclerotic plaque)에 GGT 유사단백이 존재하고 혈중 GGT의 활동성 이 직접적으로 경화반의 진행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다고 하 였고, Kozakova 등 은 조기 동맥경화반을 결정짓는 독립적 인 요인일 것이라 하였다. 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GGT를 심혈관 질환 예측을 위한 주요 인자로 보아야 한다는 연구 가 진행되고 있다. 실제 여러 연구에서 GGT 농도와 심혈관 질환의 발생률과 사망률은 밀접한 관계를 보인다는 결과도 발표되고 있다. 6-8)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 술이나 간질환과 같은 GGT에 크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를 단순 히 보정하는 정도의 분석만 시행하여 술과 같은 또 하나의 심혈관계 질환 위험인자의 역할을 완전히 배제하지 못하였 다. 본 저자의 연구 는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편견을 최소 화 하고자 고도 음주자, 비정상 간수치를 보이는 대상자, 간 질환자를 모두 제외하고 시행하였다. 또한 GGT가 상승되어 있을 경우 술이나 간질환에 의한 것인지 감별하기 어려울 수 있어, GGT를 포함한 간수치가 모두 정상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만을 대상자로 선별하였다. 선별된 대상자들의 GGT와 심혈관계 위험 지수인 FRS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상범 위 내라도 GGT는 심혈관계 위험 정도와 유의한 연관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남성에서는 이러한 유의성이 심혈 관 질환과 관계된다고 알려진 비만(체질량 지수, 허리둘레) 과, GGT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인 간효소 수치와 음주력 을 보정한 후에도 지속되었다(다중회귀분석 결과: β = 0.698, P = 0.013). 다만 여성에서는 비만(체질량 지수, 허리둘레)을 보정하였을 때는 유의성이 있었으나, 간효소 수치와 음주력 까지 보정한 결과에서는 유의한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는데 (다중회귀분석 결과: β = 0.448, P = 0.105) 남녀 별로 다른 결과를 보인 것에는 첫째, FRS 계산식이 남녀별로 다르다는 점이 고려될 수 있다. FRS는 남녀를 고려하여 심혈관 위험을 예측하는 계산식으로, 남녀 별로 같은 위험인자에 대해 배점 이 다르며, 같은 점수가 계산되었을 경우 남자에서 10년 위 정상 범위 내의 혈청 Gamma-glutamyltransferase와 심혈관 질환의 위험요인과의 관련성: Framingham Risk Score를 중심으로 (대한비만학회지 제22권 제1호 2013) 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Gamma-glutamyltransferase within Normal Range and Risk Fa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s: Based on the Framingham Risk Score (Korean J Obes Vol.22 No.1 2013)","PeriodicalId":432482,"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Obesity","volume":"5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3-03-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193333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2-12-01DOI: 10.7570/KJO.2012.21.4.245
Sung Yeon Lee, Ji Suk Han, Rul Bin Kim, Hojin Kim, S. Yu, Chul Sik Kim, Seong-Jin Lee, S. Ihm, Choong Kee Park, K. Yoo, Min Jeong Kim, J. Kang
{"title":"The Relationship of Central Obesity to the Risk of Complicated Diverticulitis","authors":"Sung Yeon Lee, Ji Suk Han, Rul Bin Kim, Hojin Kim, S. Yu, Chul Sik Kim, Seong-Jin Lee, S. Ihm, Choong Kee Park, K. Yoo, Min Jeong Kim, J. Kang","doi":"10.7570/KJO.2012.21.4.245","DOIUrl":"https://doi.org/10.7570/KJO.2012.21.4.245","url":null,"abstract":"","PeriodicalId":432482,"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Obesity","volume":"6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2-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421861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2-12-01DOI: 10.7570/KJO.2012.21.4.213
I. Y. Oh, So-Young Kim, J. Suk, Sang Wook Jung, Jin Park, K. Go, G. Yang, H. Jeon, Y. Rho, B. Kim, M. Kim
In Young Oh, So Young Kim, Jang Mi Suk, Sang Wook Jung, Jin Oh Park, Kyung Chan Go, Gwang Wung Yang, Han Yong Jeon, Yong Hwan Rho, Beom Joon Kim, Myeung Nam Kim Department of Dermatology, Chung-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PK Daebong Life Science (2) ; Department of Convergence Medicine and Pharmaceutical Biosciences, Chung-Ang University ; Department of Textile Engineering, Inha University Graduate School; Division of Nano-systems Engineering, Inha University(5); and Ventex Co., Ltd. (6)
In Young Oh, So Young Kim, Jang Mi Suk, Jung Sang Wook, Park Jin Oh, Go - Chan, Yang guangwong, Jeon Han Yong, ryong Hwan, Kim Beom jun, Kim Myeung Nam中央大学医学院皮肤内科PK大田生命科学(2);中央大学融合医学与药物生物科学系;仁荷大学研究生院纺织工程系;韩国仁荷大学纳米系统工程系(5);Ventex Co., Ltd. (6)
{"title":"A Pilot Study of Special Drug Delivering Fabric's Effect on Cellulite Reduction","authors":"I. Y. Oh, So-Young Kim, J. Suk, Sang Wook Jung, Jin Park, K. Go, G. Yang, H. Jeon, Y. Rho, B. Kim, M. Kim","doi":"10.7570/KJO.2012.21.4.213","DOIUrl":"https://doi.org/10.7570/KJO.2012.21.4.213","url":null,"abstract":"In Young Oh, So Young Kim, Jang Mi Suk, Sang Wook Jung, Jin Oh Park, Kyung Chan Go, Gwang Wung Yang, Han Yong Jeon, Yong Hwan Rho, Beom Joon Kim, Myeung Nam Kim Department of Dermatology, Chung-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PK Daebong Life Science (2) ; Department of Convergence Medicine and Pharmaceutical Biosciences, Chung-Ang University ; Department of Textile Engineering, Inha University Graduate School; Division of Nano-systems Engineering, Inha University(5); and Ventex Co., Ltd. (6)","PeriodicalId":432482,"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Obesity","volume":"3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2-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507187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2-12-01DOI: 10.7570/KJO.2012.21.4.197
Kyung-Soo Kim, S. Park
{"title":"Drug Therapy for Obesity","authors":"Kyung-Soo Kim, S. Park","doi":"10.7570/KJO.2012.21.4.197","DOIUrl":"https://doi.org/10.7570/KJO.2012.21.4.197","url":null,"abstract":"","PeriodicalId":432482,"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Obesity","volume":"10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2-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554593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2-12-01DOI: 10.7570/KJO.2012.21.4.228
K. Kim, Shin-Hye Kim, Sangshin Park, Y. Khang, M. Park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prevalence of obesity and underweight [weight, body mass index (BMI), and waist circumference]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Methods: We analyzed the data of 2,820 subjects aged 10-18 years (1,478 boys and 1,342 girls)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conducted in 1998 and 2008. Results: Over the study period, mean values of body weight, BMI and waist circumferenc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ys; however no significant change was observed in girls. The proportion of overweight (1998 vs 2008; 6.3% vs 14.7%) and obese boys (1998 vs 2008; 4.7% vs 8.2%) were increased, while the prevalence of boys with normal weight was decreased (1998 vs 2008; 82.8% vs 71.4%).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valences of normal weight, overweight and obese girls was seen over the study period, however an increasing trend in prevalence of underweight was observed in elementary school girls at the beginning of puberty (1998 vs 2008; 4.8% vs 9.4%). Conclusions: Increasing obesity prevalence in teenaged boys, and emergence of underweight in girls at the beginning of puberty were observed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背景:本研究的目的是调查韩国儿童和青少年中肥胖和体重不足[体重、体重指数(BMI)和腰围]患病率的变化。方法:我们分析了1998年和2008年韩国国家健康与营养调查中10-18岁的2820名受试者(1478名男孩和1342名女孩)的数据。结果:在研究期间,男孩体重、BMI和腰围的平均值显著增加;然而,在女孩中没有观察到明显的变化。超重比例(1998年vs 2008年;6.3% vs 14.7%)和肥胖男孩(1998 vs 2008;(4.7% vs 8.2%)增加,而体重正常的男孩患病率下降(1998 vs 2008;82.8%对71.4%)。在研究期间,正常体重、超重和肥胖女孩的患病率没有显著差异,但在青春期开始的小学女孩中,体重不足的患病率呈上升趋势(1998年与2008年;4.8% vs 9.4%)。结论:在韩国儿童和青少年中观察到青春期男孩肥胖率增加,青春期开始时女孩体重不足。
{"title":"Changes in Prevalence of Obesity and Underweight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1998-2008","authors":"K. Kim, Shin-Hye Kim, Sangshin Park, Y. Khang, M. Park","doi":"10.7570/KJO.2012.21.4.228","DOIUrl":"https://doi.org/10.7570/KJO.2012.21.4.228","url":null,"abstract":"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prevalence of obesity and underweight [weight, body mass index (BMI), and waist circumference]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Methods: We analyzed the data of 2,820 subjects aged 10-18 years (1,478 boys and 1,342 girls)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conducted in 1998 and 2008. Results: Over the study period, mean values of body weight, BMI and waist circumferenc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ys; however no significant change was observed in girls. The proportion of overweight (1998 vs 2008; 6.3% vs 14.7%) and obese boys (1998 vs 2008; 4.7% vs 8.2%) were increased, while the prevalence of boys with normal weight was decreased (1998 vs 2008; 82.8% vs 71.4%).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valences of normal weight, overweight and obese girls was seen over the study period, however an increasing trend in prevalence of underweight was observed in elementary school girls at the beginning of puberty (1998 vs 2008; 4.8% vs 9.4%). Conclusions: Increasing obesity prevalence in teenaged boys, and emergence of underweight in girls at the beginning of puberty were observed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PeriodicalId":432482,"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Obesity","volume":"3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2-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1527361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2-06-01DOI: 10.7570/KJO.2012.21.2.108
Eugene Kim, S. Oh
연구배경: 한국인의 복부비만과 대사증후군이 급증하고 있 고 이는 생활습관의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국 내에선 직업군별로 신체활동, 식습관 등의 건강생활습관에 다 양한 차이가 있으므로 복부비만과 대사증후군의 분포와 위험 도가 다를 수 있다. 방법: 국민건강영양조사 2007~2010년 자료 중 건강설문 및 검진조사에 참여한 30세 이상의 21,796명의 자료를 이용하였 다. 대사증후군의 정의는 modified NCEP 의 기준을 이용하였 고, 복부비만은 대한비만학회의 기준(허리 둘레: 남 90 cm, 여 85 cm)을 사용하였다. 결과: 30세 이상 여성은 29.0%, 남성은 31.9%가 대사증후 군으로 나타났다. 30세 이상 여성의 경우, 사무종사자에 대비 한 대사증후군의 교차곱비는 전업주부에서는 2.30으로 높게 나타났다(P = 0.001). 교차곱비를 대사증후군 각 구성요소들 에 대해 분석해 본 결과, 복부비만의 경우 1.76, 혈당상승은 1.72, HDL 콜레스테롤저하는 1.54, 그리고 중성 지방 상승은 1.97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30세 이상 남성의 경우, 사무종 사자에 대비한 대사증후군의 교차곱비는 단순 노무종사자는 0.59, 그리고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가 0.57로 조사되었다. 비 사무종사자 대비 사무종사자의 교차곱비를 대사증후군 각 구 성요소들에 대해 분석해 본 결과, 여성과는 다르게 혈압상승만 1.33으로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결론: 한국인의 직업군별 대사증후군 위험은 여성은 전업 주부에서, 남성은 사무직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사증 후군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도 전업주부의 경우 복부비만, 혈당 상승, HDL 콜레스테롤저하, 중성 지방 상승이 유의하 ABSTRACT
{"title":"Gender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 of Occupation with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authors":"Eugene Kim, S. Oh","doi":"10.7570/KJO.2012.21.2.108","DOIUrl":"https://doi.org/10.7570/KJO.2012.21.2.108","url":null,"abstract":"연구배경: 한국인의 복부비만과 대사증후군이 급증하고 있 고 이는 생활습관의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국 내에선 직업군별로 신체활동, 식습관 등의 건강생활습관에 다 양한 차이가 있으므로 복부비만과 대사증후군의 분포와 위험 도가 다를 수 있다. 방법: 국민건강영양조사 2007~2010년 자료 중 건강설문 및 검진조사에 참여한 30세 이상의 21,796명의 자료를 이용하였 다. 대사증후군의 정의는 modified NCEP 의 기준을 이용하였 고, 복부비만은 대한비만학회의 기준(허리 둘레: 남 90 cm, 여 85 cm)을 사용하였다. 결과: 30세 이상 여성은 29.0%, 남성은 31.9%가 대사증후 군으로 나타났다. 30세 이상 여성의 경우, 사무종사자에 대비 한 대사증후군의 교차곱비는 전업주부에서는 2.30으로 높게 나타났다(P = 0.001). 교차곱비를 대사증후군 각 구성요소들 에 대해 분석해 본 결과, 복부비만의 경우 1.76, 혈당상승은 1.72, HDL 콜레스테롤저하는 1.54, 그리고 중성 지방 상승은 1.97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30세 이상 남성의 경우, 사무종 사자에 대비한 대사증후군의 교차곱비는 단순 노무종사자는 0.59, 그리고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가 0.57로 조사되었다. 비 사무종사자 대비 사무종사자의 교차곱비를 대사증후군 각 구 성요소들에 대해 분석해 본 결과, 여성과는 다르게 혈압상승만 1.33으로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결론: 한국인의 직업군별 대사증후군 위험은 여성은 전업 주부에서, 남성은 사무직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사증 후군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도 전업주부의 경우 복부비만, 혈당 상승, HDL 콜레스테롤저하, 중성 지방 상승이 유의하 ABSTRACT","PeriodicalId":432482,"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Obesity","volume":"4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2-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019391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2-03-30DOI: 10.7570/KJO.2012.21.1.18
M. Y. Kim, Jina Oh, M. Lim, E. Yun, Y. H. Kang
연구배경: 농촌지역 주민들의 비만수준을 파악하고 관련 요 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7년 산청군과 창원시의 성인 1,1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신체계측, 혈액검사를 수행하였다. 조사내용은 사회 경제적 특성, 건강행태, 동반 질환, 심리사회적 특성으로 구성 되었다. 심리사회적적 특성은 MOS-SSS를 이용한 사회적 지 지와 PWI-SF를 이용한 스트레스로 측정되었다. 결과: 조사대상자의 비만 유병률은 29.4%로 남자보다 여자 가 높았다. 남자는 연령과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현재 흡연과 24 g/day 이상의 음주를 하는 경우, 그 리고 고혈압 및 고혈당증 유소견자에서 비만비율이 통계적으 로 유의하게 높았다. 여자의 경우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무직 인 경우에, 그리고 고혈압, 고혈당증, 고콜레스테롤혈증 유소 견자의 경우 정상에 비하여 2배 가량 비만 유병률이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 및 스트레스 수준과 비만 유병률 의 분포에는 남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 < 0.05). 60세 이상 노인(641명, 58.0%)만을 선별하여 추가 분석한 결과 남자에서는 70세 이상에 비하여 60대에서 그리고 음주자 에서 비만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여자에서는 비만이 고혈압 및 고혈당증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으며,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 록 비만율이 낮아지는 경향성을 보였다(P-trend = 0.014). 결론: 노인이 많은 농촌주민의 비만 유병률은 30%에 달할 만큼 높으며, 비만은 사회경제적 수준이나 음주 및 흡연과 같 은 건강행태는 물론 고혈압, 고혈당증, 고콜레스테롤혈증과 같 은 소견과도 연관성을 나타냈다. 60대 이상 노인 여성에서의 사회적 지지 높을수록 비만률이 감소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ABSTRACT
{"title":"The Association of Socioeconomic and Psychosocial Factors with Obesity in a Rural Community","authors":"M. Y. Kim, Jina Oh, M. Lim, E. Yun, Y. H. Kang","doi":"10.7570/KJO.2012.21.1.18","DOIUrl":"https://doi.org/10.7570/KJO.2012.21.1.18","url":null,"abstract":"연구배경: 농촌지역 주민들의 비만수준을 파악하고 관련 요 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7년 산청군과 창원시의 성인 1,1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신체계측, 혈액검사를 수행하였다. 조사내용은 사회 경제적 특성, 건강행태, 동반 질환, 심리사회적 특성으로 구성 되었다. 심리사회적적 특성은 MOS-SSS를 이용한 사회적 지 지와 PWI-SF를 이용한 스트레스로 측정되었다. 결과: 조사대상자의 비만 유병률은 29.4%로 남자보다 여자 가 높았다. 남자는 연령과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현재 흡연과 24 g/day 이상의 음주를 하는 경우, 그 리고 고혈압 및 고혈당증 유소견자에서 비만비율이 통계적으 로 유의하게 높았다. 여자의 경우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무직 인 경우에, 그리고 고혈압, 고혈당증, 고콜레스테롤혈증 유소 견자의 경우 정상에 비하여 2배 가량 비만 유병률이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 및 스트레스 수준과 비만 유병률 의 분포에는 남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 < 0.05). 60세 이상 노인(641명, 58.0%)만을 선별하여 추가 분석한 결과 남자에서는 70세 이상에 비하여 60대에서 그리고 음주자 에서 비만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여자에서는 비만이 고혈압 및 고혈당증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으며,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 록 비만율이 낮아지는 경향성을 보였다(P-trend = 0.014). 결론: 노인이 많은 농촌주민의 비만 유병률은 30%에 달할 만큼 높으며, 비만은 사회경제적 수준이나 음주 및 흡연과 같 은 건강행태는 물론 고혈압, 고혈당증, 고콜레스테롤혈증과 같 은 소견과도 연관성을 나타냈다. 60대 이상 노인 여성에서의 사회적 지지 높을수록 비만률이 감소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ABSTRACT","PeriodicalId":432482,"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Obesity","volume":"25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2-03-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784389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2-03-30DOI: 10.7570/KJO.2012.21.1.11
In-joo Song, Chang-Hae Park, W. Uh, J. Yang, Jeongseob Lee, Seung Hwan Lee, H. Ga
연구배경: 대사증후군은 심혈관 질환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이전 연구들에 의하면 낮은 혈중 마그네슘 농도는 고혈 압, 당뇨 및 이상지질혈증의 독립적인 위험요인이다. 그러나 혈중 마그네슘 농도와 대사증후군의 연관성을 살펴본 연구는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고 자 한다.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1년 5월까지 대전 소재의 일개 대학병원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한 한국인 524명을 대상으로 단면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사증후군은 American Heart Association/ National Heart, Lung, Blood institute에서 제시한 진단 지침 을 따랐다. 혈중 마그네슘 농도를 1.8~2.0 mg/dL, 2.1~2.2 mg/dL, 2.3~2.8 mg/dL의 세 집단으로 나누었으며, 혈중 마그 네슘 농도와 대사증후군의 연관성은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혈중 마그네슘 농도가 2.3~2.8 mg/dL인 집단을 기준 으로 대사증후군의 비교위험도는 혈중 마그네슘 농도 1.8-2.0 mg/dL 집단에서 3.78 (95% CI = 1.48~9.69)이었고 혈중 마 그네슘 농도 2.1~2.2 mg/dL 집단에서 1.53 (95% CI = 0.63~3.70)이었다. 또한 대사증후군의 구성요소들 중 복부비만 및 고혈당의 비교위험도는 혈중 마그네슘 농도 1.8~2.0 mg/dL 집단과 2.1~2.2 mg/dL에서 각각 5.48 (95% CI = 2.07~14.47), 2.41 (95% CI = 0.98~5.89)과 3.12 (95% CI = 1.25~7.78), 0.99 (95% CI = 0.40~2.43)이었다. ABSTRACT
研究背景:代谢综合症被认为是心血管疾病的危险因素。以前的研究表明,低血液中的镁浓度是高血压、糖尿病及异常地质血症的独立危险因素。但很少有研究表明血液中的镁浓度和代谢综合症的关联性。因此本研究想了解一下它们之间的关系。方法:从2010年1月开始到2011年5月为止,以访问大田一家大学医院健康增进中心的524名韩国人为对象进行单面研究。代谢综合症遵循American Heart Association/ National Heart, Lung和Blood institute提出的诊断指南。将血液中的镁浓度分为1.8~2.0 mg/dL、2.1~2.2 mg/dL和2.3~2.8 mg/dL三组,采用多逻辑回归分析分析血液中镁浓度与代谢综合症的关联性。结果:以血液中镁浓度为2.3~2.8 mg/dL的人群为标准,代谢综合症的比较危险度为,血液中镁浓度1.8-2.0 mg/dL为3.78 (95% CI = 1.48~9.69),血液中镁浓度2.1~2.2 mg/dL为1.53 (95% CI = 0.63~3.70)。另外,代谢综合症的构成要素中,腹部肥胖及高血糖的比较危险度在血液中镁浓度1.8~2.0 mg/dL组和2.1~2.2 mg/dL组中分别为5.48 (95% CI = 2.07~14.47)、2.41 (95% CI = 0.98~ 7.78)和3.99 (95% CI = 1.25~ 7.43)。abstract
{"title":"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Magnesium Levels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authors":"In-joo Song, Chang-Hae Park, W. Uh, J. Yang, Jeongseob Lee, Seung Hwan Lee, H. Ga","doi":"10.7570/KJO.2012.21.1.11","DOIUrl":"https://doi.org/10.7570/KJO.2012.21.1.11","url":null,"abstract":"연구배경: 대사증후군은 심혈관 질환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이전 연구들에 의하면 낮은 혈중 마그네슘 농도는 고혈 압, 당뇨 및 이상지질혈증의 독립적인 위험요인이다. 그러나 혈중 마그네슘 농도와 대사증후군의 연관성을 살펴본 연구는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고 자 한다.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1년 5월까지 대전 소재의 일개 대학병원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한 한국인 524명을 대상으로 단면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사증후군은 American Heart Association/ National Heart, Lung, Blood institute에서 제시한 진단 지침 을 따랐다. 혈중 마그네슘 농도를 1.8~2.0 mg/dL, 2.1~2.2 mg/dL, 2.3~2.8 mg/dL의 세 집단으로 나누었으며, 혈중 마그 네슘 농도와 대사증후군의 연관성은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혈중 마그네슘 농도가 2.3~2.8 mg/dL인 집단을 기준 으로 대사증후군의 비교위험도는 혈중 마그네슘 농도 1.8-2.0 mg/dL 집단에서 3.78 (95% CI = 1.48~9.69)이었고 혈중 마 그네슘 농도 2.1~2.2 mg/dL 집단에서 1.53 (95% CI = 0.63~3.70)이었다. 또한 대사증후군의 구성요소들 중 복부비만 및 고혈당의 비교위험도는 혈중 마그네슘 농도 1.8~2.0 mg/dL 집단과 2.1~2.2 mg/dL에서 각각 5.48 (95% CI = 2.07~14.47), 2.41 (95% CI = 0.98~5.89)과 3.12 (95% CI = 1.25~7.78), 0.99 (95% CI = 0.40~2.43)이었다. ABSTRACT","PeriodicalId":432482,"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Obesity","volume":"142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2-03-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3251831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2-03-01DOI: 10.7570/KJO.2012.21.1.37
Jun Hong Kim, Dong Yeop Lee
Background: Frequent fast food consumption by adolescents is a leading cause of obesity.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finding the predictors of fast food consumption of Korean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Finding the predictors will ultimately provide evidence based strategies needed to effectively lower obesity prevalence, along with focusing on intervention for breakfast skippers. Methods: Multiple regression model was applied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e used the national representative survey data obtained via multistage stratified area probability sampling design from 2,943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consisting of 1,570 males and 1,373 females. Results: From the entire sample, 16.4% was shown to consume fast food more than once a week, and 54.3% was shown to skip breakfast more than once a week.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fter adjusting for control variables, revealed that frequent breakfast skippers used fast food restaurants more frequently ( P < .001). Conclusion: Preventing adolescents from skipping breakfast may reduce their fast food consumption and lead to prevention of obesity.
{"title":"Factors Associated with Consumption of Fast Food by Korean Adolescents - Analysis of 2007 Survey Data from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authors":"Jun Hong Kim, Dong Yeop Lee","doi":"10.7570/KJO.2012.21.1.37","DOIUrl":"https://doi.org/10.7570/KJO.2012.21.1.37","url":null,"abstract":"Background: Frequent fast food consumption by adolescents is a leading cause of obesity.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finding the predictors of fast food consumption of Korean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Finding the predictors will ultimately provide evidence based strategies needed to effectively lower obesity prevalence, along with focusing on intervention for breakfast skippers. Methods: Multiple regression model was applied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e used the national representative survey data obtained via multistage stratified area probability sampling design from 2,943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consisting of 1,570 males and 1,373 females. Results: From the entire sample, 16.4% was shown to consume fast food more than once a week, and 54.3% was shown to skip breakfast more than once a week.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fter adjusting for control variables, revealed that frequent breakfast skippers used fast food restaurants more frequently ( P < .001). Conclusion: Preventing adolescents from skipping breakfast may reduce their fast food consumption and lead to prevention of obesity.","PeriodicalId":432482,"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Obesity","volume":"44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2-03-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589115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Pub Date : 2012-03-01DOI: 10.7570/KJO.2012.21.1.29
S. Hong, Jin Lee, J. Choi, Se Eun Park, E. Rhee, Cheol-Young Park, K. Oh, S. Park, Sun-Woo Kim, Won-Young Lee
Background: Chronic inflammation in adipose tissue is closely associated with metabolic diseases, such as, type 2 diabetes and obesity.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Wnt signaling pathway and fat metabolism in the course of TNF-α-induced inflammation and recovery in 3T3-L1 adipocyte. Methods: We stimulated the fully differentiated 3T3-L1 adipocyte with either TNF-α only or with both TNF-α and AICAR for 24 hrs to induce inflammation. We assessed the alteration of Wnt signaling pathway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fat metabolism with western blot assay and real-time PCR. Results: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IL-6 and MCP-1, was increased by TNF-α treatment in fully differentiated 3T3-L1 adipocyte, and the marked activation of Wnt5a, a noncanonical Wnt ligand, was observed. The expression of PPAR-γ was reduced, and the lipolysis measured by glycerol release, was markedly increased. The activation of AMPK by AICAR inhibited the TNF-α-induced inflammation, reversed the alteration in Wnt signaling pathway, and reversed fat metabolism induced by TNF-α. AMPK activation stimulated the secretion of sFRP5, an anti-inflammatory and anti-Wnt signaling adipokine. Conclusion: The activation of AMPK suppressed noncanonical Wnt signaling pathway and protected the adipoctye from inflammation and lipolysis, induced by TNFα treatment, by sFRP5 stimula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noncanonical Wnt signaling pathway and sFRP may have important roles in metabolic diseases such as, obesity and diabetes.
{"title":"The Effect of AMPK Activation on Wnt and sFRP5 in TNF-α Induced Adipocyte Metabolic Dysfunction in 3T3-L1 Cell","authors":"S. Hong, Jin Lee, J. Choi, Se Eun Park, E. Rhee, Cheol-Young Park, K. Oh, S. Park, Sun-Woo Kim, Won-Young Lee","doi":"10.7570/KJO.2012.21.1.29","DOIUrl":"https://doi.org/10.7570/KJO.2012.21.1.29","url":null,"abstract":"Background: Chronic inflammation in adipose tissue is closely associated with metabolic diseases, such as, type 2 diabetes and obesity.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Wnt signaling pathway and fat metabolism in the course of TNF-α-induced inflammation and recovery in 3T3-L1 adipocyte. Methods: We stimulated the fully differentiated 3T3-L1 adipocyte with either TNF-α only or with both TNF-α and AICAR for 24 hrs to induce inflammation. We assessed the alteration of Wnt signaling pathway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fat metabolism with western blot assay and real-time PCR. Results: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IL-6 and MCP-1, was increased by TNF-α treatment in fully differentiated 3T3-L1 adipocyte, and the marked activation of Wnt5a, a noncanonical Wnt ligand, was observed. The expression of PPAR-γ was reduced, and the lipolysis measured by glycerol release, was markedly increased. The activation of AMPK by AICAR inhibited the TNF-α-induced inflammation, reversed the alteration in Wnt signaling pathway, and reversed fat metabolism induced by TNF-α. AMPK activation stimulated the secretion of sFRP5, an anti-inflammatory and anti-Wnt signaling adipokine. Conclusion: The activation of AMPK suppressed noncanonical Wnt signaling pathway and protected the adipoctye from inflammation and lipolysis, induced by TNFα treatment, by sFRP5 stimula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noncanonical Wnt signaling pathway and sFRP may have important roles in metabolic diseases such as, obesity and diabetes.","PeriodicalId":432482,"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Obesity","volume":"28 1","pages":"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12-03-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12854392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