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A Review on the Status of Pinnipeds in Korea","authors":"H. Kim, Seulhee Lee, Hawsun Sohn","doi":"10.5657/KFAS.2021.0231","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1.0231","url":null,"abstract":"","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1 1","pages":"231-239"},"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1-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800496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H. Kim, Jeonghoon Han, Sung-Pyo Hur, Kyun-Woo Lee, Young-Ung Choi
{"title":"Annual Reproductive Cycle of the Neon Damselfish Pomacentrus coelestis, in Chuuk Lagoon, Micronesia","authors":"H. Kim, Jeonghoon Han, Sung-Pyo Hur, Kyun-Woo Lee, Young-Ung Choi","doi":"10.5657/KFAS.2021.0180","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1.0180","url":null,"abstract":"","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18 1","pages":"180-187"},"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1-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9085306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어류의 초기생활사 연구는 산란지 선택과 난발생 과정 및 이 후의 자어기, 치어기, 미성어기 등을 거쳐 가면서 종의 특성에 따른 고유형질이 다양하게 나타난다(Park et al., 2005). 또한 종 의 특징을 구명하는 것은 물론 유사종과의 계통 및 분류학적 유 연관계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기초연구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Blaxter, 1974; Balon, 1985; Kim et al., 2014; Ko and Won, 2015). 납자루아과(Acheilognathinae) 어류는 잉어과(Cyprinidae)에 속하는 소형 담수어류로서 전 세계 3속 75종이 분포하 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ang et al., 2014; Nelson et al., 2016).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납자루아과 어류는 3속 16종으로 이중 고 유종이 8종으로 고유화 빈도가 50%에 이르러 종 분화 연구의 귀중한 자료로 보고 있다(Kang et al., 2006; Chae et al., 2019). 이들은 석패과에 속하는 이매패류를 숙주로 하여 산란하는 독 특한 산란습성을 가지고 있어 난 내 발생과 전기자어 시기를 조개 안에서 보냄으로써 높은 생존율을 유지하도록 진화하였 으나 최근 서식환경의 변화로 담수 이매패류가 감소하여 오히 려 산란숙주에 의존하는 납자루아과 어류의 생존전략이 불리 하게 작용하고 있어 최근 개체수 감소 등으로 보존의 필요성 이 높은 분류군으로 보고 있다(Beak and Song, 2005; Kim et al., 2011). 특히 한강납줄개(Rhodeus pseudosericeus), 임실납 자루(Tanakia somjinensis), 묵납자루(T. signifer) 및 큰줄납자 루(Acheilognathus majusculus) 등은 개체수가 점차 감소하여 멸종위기종 2급으로 법적 보호를 받고 있는 실정으로 자원의 보 호와 종 보존을 위해서는 인위적인 증식연구의 필요성이 절실 한 상황이다(NIBR, 2021). 줄납자루(A. yamatsutae)는 Mori (1928)가 압록강에서 채집 된 개체를 신종 보고 후 함경도를 제외한 한반도의 전역에서 분 포하고 있음을 보고하였다(Mori, 1935; Uchida, 1939). 이후 산 란(Song and Kwon, 1989), 발생(Suzuki and Jeon, 1987)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1998년 줄납자루와 형태 적으로 유사하지만 낙동강과 섬진강에만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 진 큰줄납자루가 신종으로 보고되었다(Kim and Yang, 1998). 큰줄납자루(Acheilognathus majusculus)와 줄납자루(Acheilognathus yamatsutae) 잡종의 초기생활사 특징 박재민·유동재·한경호*
鱼类早期生活史研究经过产卵地选择、卵发生过程以及之后的自鱼期、稚鱼期、未成鱼期等,根据物种特性表现出多种固有性状(Park et al., 2005)。不仅可以研究物种的特征,还可以作为研究类似性物种的系统及分类学上的联系的重要基础研究资料使用(Blaxter, 1974;balon, 1985;kim et al ., 2014;ko and won, 2015)。纳扎科(Acheilognathinae)鱼类是鲤鱼科(Cyprinidae)的一种小型淡水鱼类,分布全球3属75种(Chang et al., 2014;nelson et al ., 2016)。栖息在我国的铅子鱼科鱼类有3属16种,其中高乳种有8种,固有化频率高达50%,是物种分化研究的宝贵资料(Kang et al., 2006;chae et al ., 2019)。这些属于惜败和每贝类为宿主,产卵的毒特大产卵习性有我发生和电枢在贝壳里看时机,从而保持较高的生存率进化了,但最近由于栖息环境的变化会减少每贝类的淡水,反散射依赖宿主的铅袋子亚科鱼类的生存战略不利的作用,因此,最近的个体数量减少等原因,保存的必要性高的分类群(Beak and Song, 2005;kim et al ., 2011)。特别是汉江铅链(Rhodeus pseudosericeus)、任实铅柄(Tanakia somjinensis)、墨铅柄(T。signifer和Acheilognathus majusculus等物种的数量逐渐减少,作为2级濒危物种受到法律的保护。为了保护资源和物种保护,迫切需要人为的增殖研究。(NIBR, 2021)“用锉刀(A)。yamatsutae)报告说,Mori(1928年)在鸭绿江采集的个体在新种报告后,正在除咸京道以外的韩半岛全境进行分布(Mori, 1935年;uchida, 1939)。在此之后,Song and Kwon(1989年)、Suzuki and Jeon(1987年)等进行了多种研究,1998年出现了一种新型的大型铅袋(Kim and Yang, 1998年)。大排铅柄(Acheilognathus majusculus)和排铅柄(Acheilognathus yamatsutae)杂种早期生活史特征朴在民、柳同宰、韩庆浩
{"title":"Early Life History Characteristics of an Induced Hybrid Between Acheilognathus majusculus and Acheilognathus yamatsutae","authors":"J. Park, Dong-Jae Yoo, Kyeong-Ho Han","doi":"10.5657/KFAS.2021.0170","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1.0170","url":null,"abstract":"어류의 초기생활사 연구는 산란지 선택과 난발생 과정 및 이 후의 자어기, 치어기, 미성어기 등을 거쳐 가면서 종의 특성에 따른 고유형질이 다양하게 나타난다(Park et al., 2005). 또한 종 의 특징을 구명하는 것은 물론 유사종과의 계통 및 분류학적 유 연관계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기초연구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Blaxter, 1974; Balon, 1985; Kim et al., 2014; Ko and Won, 2015). 납자루아과(Acheilognathinae) 어류는 잉어과(Cyprinidae)에 속하는 소형 담수어류로서 전 세계 3속 75종이 분포하 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ang et al., 2014; Nelson et al., 2016).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납자루아과 어류는 3속 16종으로 이중 고 유종이 8종으로 고유화 빈도가 50%에 이르러 종 분화 연구의 귀중한 자료로 보고 있다(Kang et al., 2006; Chae et al., 2019). 이들은 석패과에 속하는 이매패류를 숙주로 하여 산란하는 독 특한 산란습성을 가지고 있어 난 내 발생과 전기자어 시기를 조개 안에서 보냄으로써 높은 생존율을 유지하도록 진화하였 으나 최근 서식환경의 변화로 담수 이매패류가 감소하여 오히 려 산란숙주에 의존하는 납자루아과 어류의 생존전략이 불리 하게 작용하고 있어 최근 개체수 감소 등으로 보존의 필요성 이 높은 분류군으로 보고 있다(Beak and Song, 2005; Kim et al., 2011). 특히 한강납줄개(Rhodeus pseudosericeus), 임실납 자루(Tanakia somjinensis), 묵납자루(T. signifer) 및 큰줄납자 루(Acheilognathus majusculus) 등은 개체수가 점차 감소하여 멸종위기종 2급으로 법적 보호를 받고 있는 실정으로 자원의 보 호와 종 보존을 위해서는 인위적인 증식연구의 필요성이 절실 한 상황이다(NIBR, 2021). 줄납자루(A. yamatsutae)는 Mori (1928)가 압록강에서 채집 된 개체를 신종 보고 후 함경도를 제외한 한반도의 전역에서 분 포하고 있음을 보고하였다(Mori, 1935; Uchida, 1939). 이후 산 란(Song and Kwon, 1989), 발생(Suzuki and Jeon, 1987)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1998년 줄납자루와 형태 적으로 유사하지만 낙동강과 섬진강에만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 진 큰줄납자루가 신종으로 보고되었다(Kim and Yang, 1998). 큰줄납자루(Acheilognathus majusculus)와 줄납자루(Acheilognathus yamatsutae) 잡종의 초기생활사 특징 박재민·유동재·한경호*","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29 1","pages":"170-179"},"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1-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545642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Inactivation of Human Norovirus GII. 4 on Oyster Crassostrea gigas by Electron Beam Irradiation","authors":"Ji Yoon Kim, E. Jeon, Man-Seok Choi, S. Park","doi":"10.5657/KFAS.2021.0016","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1.0016","url":null,"abstract":"","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7 1","pages":"16-22"},"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1-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576253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Optimization of Extraction Process to Increas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argassum serratifolium Extracts","authors":"S. Kim, JiYean Ko, Hyeung‐Rak Kim, Yang-Bong Lee","doi":"10.5657/KFAS.2021.0009","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1.0009","url":null,"abstract":"","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77 12 1","pages":"9-15"},"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1-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6578173","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Diet Composition of the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in the Coastal Waters of the South Sea of Korea","authors":"G. Seong, Do-Gyun Kim, S. Jin, H. Soh, G. Baeck","doi":"10.5657/KFAS.2021.0073","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1.0073","url":null,"abstract":"","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26 1","pages":"73-79"},"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1-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698406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Min Woo Kim, In Seong Yoon, Y. Kim, Jung Suck Lee, M. Heu, Jin-Soo Kim
{"title":"Processing Optimization of Seasoned Salmon Oncorhynchus keta Jerky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authors":"Min Woo Kim, In Seong Yoon, Y. Kim, Jung Suck Lee, M. Heu, Jin-Soo Kim","doi":"10.5657/KFAS.2021.0261","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1.0261","url":null,"abstract":"","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11 1","pages":"261-27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1-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824303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Growth Differences in Edible Caulerpa okamurae (Weber-van Bosse) Thallus Parts with and without Apex Removal","authors":"Jiwon Shin, S. Park, H. Choi","doi":"10.5657/KFAS.2021.0311","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1.0311","url":null,"abstract":"","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7 1","pages":"311-317"},"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1-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709499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Kyung Ryul Kim, K. Nam, Ok-In Choi, K. Park, Byong Seob Kim, Uk Jang, G. Baeck
거제 연안은 쿠로시오 난류의 지류인 대마 난류와 제주 난류 가 통과하여 해양의 기초생산력이 높아 정착성 어종 뿐만 아 니라 회유성 어류가 분포하기에 좋은 환경을 가지고 있다(Lee et al., 2011a). 또한 저질이 사질과 암초지대로 이루어져 있어 다양한 어류들의 은신처, 성육장, 산란장으로 이용되며, 2017 년에는 한국수산자원공단(Korea Fisheries Resources Agency, FIRA)에서 수산자원의 증강을 위해 142개의 인공어초를 투하 하였다(FIRA, 2016). 그러나 최근 제주도와 남해 일부 연안에 서식하는 종이 대마난류의 영향을 받아 출현함으로써 거제 구 조라와 망치 연안 해양환경이 아열대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 로 추정된다. 따라서 효율적인 자원관리를 위해 어류의 군집구 조, 산란생태, 연령구조 연구 등과 같은 기초생태학적 연구가 지 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Kim et al., 2017). 자망 어업은 조업 방법이 단순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어구어법으로 우리나라 어선어업에서 중요도가 매우 높 다. 또한 어구의 구성요소에 따라 저층부터 표·중층까지 연안해 역의 다양한 수층에 서식하는 어류를 어획할 수 있으며, 대상 어 종이 꽂혀서 어획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다른 어구어법에 비해 효율적인 자원관리가 가능한 어구이다(Kim et al., 2018). 멕시 코, 이집트, 일본 등의 나라에서도 자망 어업은 경제적으로 중 경남 거제시 구조라와 망치 연안에서 자망으로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巨济沿岸有黑龙暖流的支流麻暖流和济州暖流通过,海洋基础生产力高,不仅有定性鱼种,还有洄游性鱼类分布的良好环境(Lee et al., 2011a)。2017年,韩国水产资源公团(Korea Fisheries Resources Agency, FIRA)为增强水产资源投放了142个人工鱼草(FIRA, 2016)。但据推测,最近栖息在济州岛和南海部分沿岸的物种受到大麻暖流的影响而出现,导致巨济构造和锤子沿岸海洋环境出现亚热带化。因此,为有效管理资源,应该持续进行基础生态学研究,如鱼类群落结构、产卵生态、年龄结构研究等。(Kim et al., 2017)刺网渔业的作业方法简单,是最常用的渔具语法,在我国渔船渔业中非常重要。另外,根据渔具的构成要素,可以捕捞到从低层到表、中层栖息在沿岸海域多样的水层的鱼类,由于是插着对象鱼种进行捕捞的方式,因此与其他渔具语法相比,是可以进行有效资源管理的渔具(Kim et al., 2018)。在墨西哥、埃及、日本等国家,刺网渔业在经济上也是中庆南巨济市丘海拉和锤头沿岸刺网捕捞的鱼类的种构成及季节变动
{"title":"Seasonal Variations in the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aught by Gill Net in the Coastal Waters off Gujora and Mangchi on Geoje, Gyeongnam, Korea","authors":"Kyung Ryul Kim, K. Nam, Ok-In Choi, K. Park, Byong Seob Kim, Uk Jang, G. Baeck","doi":"10.5657/KFAS.2021.0329","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1.0329","url":null,"abstract":"거제 연안은 쿠로시오 난류의 지류인 대마 난류와 제주 난류 가 통과하여 해양의 기초생산력이 높아 정착성 어종 뿐만 아 니라 회유성 어류가 분포하기에 좋은 환경을 가지고 있다(Lee et al., 2011a). 또한 저질이 사질과 암초지대로 이루어져 있어 다양한 어류들의 은신처, 성육장, 산란장으로 이용되며, 2017 년에는 한국수산자원공단(Korea Fisheries Resources Agency, FIRA)에서 수산자원의 증강을 위해 142개의 인공어초를 투하 하였다(FIRA, 2016). 그러나 최근 제주도와 남해 일부 연안에 서식하는 종이 대마난류의 영향을 받아 출현함으로써 거제 구 조라와 망치 연안 해양환경이 아열대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 로 추정된다. 따라서 효율적인 자원관리를 위해 어류의 군집구 조, 산란생태, 연령구조 연구 등과 같은 기초생태학적 연구가 지 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Kim et al., 2017). 자망 어업은 조업 방법이 단순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어구어법으로 우리나라 어선어업에서 중요도가 매우 높 다. 또한 어구의 구성요소에 따라 저층부터 표·중층까지 연안해 역의 다양한 수층에 서식하는 어류를 어획할 수 있으며, 대상 어 종이 꽂혀서 어획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다른 어구어법에 비해 효율적인 자원관리가 가능한 어구이다(Kim et al., 2018). 멕시 코, 이집트, 일본 등의 나라에서도 자망 어업은 경제적으로 중 경남 거제시 구조라와 망치 연안에서 자망으로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86 1","pages":"329-339"},"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1-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658070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Feeding Habits of the Jack Mackerel Trachurus japonicus in the Southern Sea of the Republic of Korea","authors":"Ye ji Lee, Jeong‐Hoon Lee, Yeonghye Kim","doi":"10.5657/KFAS.2021.0064","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1.0064","url":null,"abstract":"","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277 1","pages":"64-72"},"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1-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540961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