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beom Choi, Dongmin Kim, Yunjin Choi, Seon Bong Kim, Joodong Park, Sung-A Bae, Ki-Il Bae, Suengmok Cho
{"title":"Optimization of Frying Conditions of Laver Pyropia sp. Snack Using 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authors":"Gibeom Choi, Dongmin Kim, Yunjin Choi, Seon Bong Kim, Joodong Park, Sung-A Bae, Ki-Il Bae, Suengmok Cho","doi":"10.5657/KFAS.2020.0834","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0.0834","url":null,"abstract":"","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103 1","pages":"834-841"},"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583937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Hatchability of Fertilized Eggs from Grouper (Subfamily Epinephelinae) Hybrids in Korea: A Mini Review for Selection of Commercially Promising Cross Combinations","authors":"C. Noh","doi":"10.5657/KFAS.2020.0479","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0.0479","url":null,"abstract":"","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64 1","pages":"479-485"},"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999765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농어목(Perciformes) 실고기과(Syngnathidae) 어류는 전세 계적으로 52속 232종이 분포하며(Nelson et al., 2016), 한국에 는 8속 13종이 보고되어 있다. 실고기과 어류는 주둥이가 길게 신출되어 있고, 몸이 비늘 대신 뼈판으로 덮여 있으며, 배지느 러미가 퇴화되어 없고, 수컷이 육아낭 안에 알을 보호하는 독 특한 특징을 가진다. 그 중 실고기과의 Festucalex속은 전세계 적으로 9종[F. cinctus (Ramsay, 1882); F. erythraeus (Gilbert, 1905), F. gibbsi (Dawson, 1977), F. kulbickii (Fricke, 2004), F. prolixus (Dawson, 1984), F. scalaris (Günther, 1870), F. wassi (Dawson, 1977), F. rufus (Allen and Erdmann, 2015), F. armillatus (Prokofiev, 2016)]이 알려져 있지만 한국에는 아직 보고 되지 않았다. Festucalex속 어류는 인도-태평양의 열대 및 온 대해역의 얕은 해역에 서식하며, 최근 새로운 종들이 보고되고 있다(Allen and Erdmann, 2015; Prokofiev, 2016). Festucalex 속 어류는 꼬리 체륜에 갈고리모양의 극이 없으며 주둥이의 위 쪽 가장자리에 융기 부위가 없다는 점이 특징적이다(Dawson, 1986; Paulus, 1999). 본 연구는 2019년 8월 12일 한국 제주도 서귀포시 예래동 앞바다에서 채집된 Festucalex erythraeus 1개 체의 형태 및 분자 분석을 통해 진단형질 등 상세한 정보를 제 공하고자 한다.
石斑鱼(Perciformes)、石斑鱼(Syngnathidae)鱼类在全球分布52属232种(Nelson et al., 2016),韩国报告8属13种。丝鱼和鱼类的嘴长,身体用骨板代替鳞片覆盖,背肢退化,雄性在育儿袋内保护卵,具有特殊的特征。其中,实肉科的Festucalex属在全世界有9种[F]。cinctus (ramsay, 1882);F. erythraeus (Gilbert, 1905), F. gibbsi (Dawson, 1977), F. kulbickii (Fricke, 2004), F. prolixus (Dawson, 1984), F. scalaris (Gunther, 1870), F. wassi (Dawson, 1977), F. rufus (Allen and Erdmann,2015年),F. armillatus (Prokofiev, 2016年)],但尚未在韩国报告。Festucalex属鱼类栖息在印度-太平洋热带及温大水域的浅海区域,最近有新物种报告(Allen and Erdmann, 2015;prokofiev, 2016)。Festucalex属鱼类的特点是尾轮没有钩状极,口的上边缘没有隆起部位(Dawson, 1986;paulus, 1999)。本研究将通过2019年8月12日在韩国济州岛西归浦市艺来洞前海采集的Festucalex erythraeus 1个体的形态及分子分析,提供诊断性状等详细信息。
{"title":"First Reliable Record of the Red Pipefish Festucalex erythraeus (Syngnathidae: Perciformes) from Korea","authors":"Jae-hwan Lee, Jin-Koo Kim","doi":"10.5657/KFAS.2020.0784","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0.0784","url":null,"abstract":"농어목(Perciformes) 실고기과(Syngnathidae) 어류는 전세 계적으로 52속 232종이 분포하며(Nelson et al., 2016), 한국에 는 8속 13종이 보고되어 있다. 실고기과 어류는 주둥이가 길게 신출되어 있고, 몸이 비늘 대신 뼈판으로 덮여 있으며, 배지느 러미가 퇴화되어 없고, 수컷이 육아낭 안에 알을 보호하는 독 특한 특징을 가진다. 그 중 실고기과의 Festucalex속은 전세계 적으로 9종[F. cinctus (Ramsay, 1882); F. erythraeus (Gilbert, 1905), F. gibbsi (Dawson, 1977), F. kulbickii (Fricke, 2004), F. prolixus (Dawson, 1984), F. scalaris (Günther, 1870), F. wassi (Dawson, 1977), F. rufus (Allen and Erdmann, 2015), F. armillatus (Prokofiev, 2016)]이 알려져 있지만 한국에는 아직 보고 되지 않았다. Festucalex속 어류는 인도-태평양의 열대 및 온 대해역의 얕은 해역에 서식하며, 최근 새로운 종들이 보고되고 있다(Allen and Erdmann, 2015; Prokofiev, 2016). Festucalex 속 어류는 꼬리 체륜에 갈고리모양의 극이 없으며 주둥이의 위 쪽 가장자리에 융기 부위가 없다는 점이 특징적이다(Dawson, 1986; Paulus, 1999). 본 연구는 2019년 8월 12일 한국 제주도 서귀포시 예래동 앞바다에서 채집된 Festucalex erythraeus 1개 체의 형태 및 분자 분석을 통해 진단형질 등 상세한 정보를 제 공하고자 한다.","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59 1","pages":"784-789"},"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033351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황성대과(Peristediidae) 어류는 전 세계에 6속 45종이 보고되 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2속 2종[황성대(Peristedion orientale, Temminck and Schlegel, 1843); 별성대(Satyrichthys rieffeli, Kaup, 1859)]이 보고되어 있다(Nelson et al., 2016; MABIK, 2019; Fricke et al., 2020). 황성대과 어류는 전 세계의 온대 및 열대 해역의 50-800 m까지 다양한 수심의 바닥에 서식한다 (Miller and Richard, 2002; Tenda and Kawai, 2012; Kawai, 2013). 황성대과 어류는 몸을 둘러싸는 4열의 골판을 몸의 양쪽 에 가지는 점, 신장된 주둥이를 가지는 점, 양쪽 전안와골이 뒤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점, 가슴지느러미 하단에 2개의 유리 연 조를 가지는 점, 아래턱에 수염을 가지는 점 등의 특징을 가진다 (Kawai, 2013; Nelson et al., 2016). 외부형태학적 특징 및 골격 형태를 기반으로 한 황성대과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결과, 황성 대과 어류는 성대과(Triglidae) 어류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것 으로 밝혀졌으며(Washington et al., 1984; Imamura,1996), 최 근 분자계통학적 연구에서 황성대과의 일부 종이 성대과 내에 위치하는 결과를 보여 두 과 간의 분류학적 위치가 재조명 되고 있다(Portnoy et al., 2017; Smith et al., 2018). 우리나라에서는 Mori (1952)가 황성대를 성대과의 1종으로 기재하였으며, 이후 Chyung (1977)은 Mori (1952)가 성대과로 분류하였던 황성대 를 황성대과로 전과시켰다. 이후 우리나라에서 황성대과에 관 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2019년 5월 5일 우리나라 제주도 근해 244-6 해구에서 국립 수산과학원 시험조사선(탐구 22호)에 의해 황성대과 치어 1개 체가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본 개체는 안상극이 뾰족한 산 모양 을 띠는 점, 후측두극이 매우 길게 발달한 점, 몸통의 흑색소포 형태 등에서 Okiyama (2014)에 기재된 황성대과의 Peristedion sp.와 유사하였으나, 황성대과 자치어의 정보가 부족하여 형태 정보만으로는 종동정이 불가능 하였다. 따라서 mitochondrial DNA COI 영역을 사용한 DNA분석을 수행하였으며 Peristedion liorhynchus로 동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처음 보고되는 P. liorhynchus의 형태학적, 유전학적 특징을 기 한국 제주도 근해에서 출현한 황성대과(Peristediidae) 어류 1미기록종, Peristedion liorhynchus 치어의 형태기재 및 분자동정 장서하·김진구*·유효재
黄城大科(Peristediidae)鱼类在全世界有6属45种,我国有2属2种[Peristedion orientale, Temminck and Schlegel, 1843);Satyrichthys rieffeli, Kaup, 1859)] (Nelson et al., 2016;mabik, 2019;fricke et al ., 2020)。黄城大科鱼类栖息在全世界温带及热带海域50-800米水深的海底(Miller and Richard, 2002;tenda and kawai, 2012;kawai, 2013)。围绕皇城鱼类身体记大过4身体两旁有干劲骨板的分,新疆有嘴的分,双方前伸人安和的进球后,分,胸鳍下方2个玻璃具有延条分,下巴上有胡子的分等具有的特征(kawai, 2013;nelson et al ., 2016)。基于外部形态学特征和骨骼形态的黄成大科系统分类学研究表明,黄成大科鱼类与声带(Triglidae)鱼类有着密切的联系(Washington et al., 1984;Imamura,1996),在最根分子系统的研究中,黄成大科的部分物种位于声带内,重新揭示了两科之间的分类学位置(Portnoy et al., 2017;史密斯et al ., 2018)。在我国,Mori(1952)将黄成大记载为声带科的一种,之后Chyung(1977)将Mori(1952)分类为声带科的黄成大转为黄成大科。此后,我国几乎没有进行过有关皇城大果的研究。2019年5月5日,在我国济州岛近海244-6海口,国立水产科学院试验调查船(探索22号)首次采集到了黄城大瓜鱼苗1个体。本个体类似于Okiyama(2014)记载的黄城大科的Peristedion sp.,里面的眼相克呈尖尖的山状,后颞极很长,身体的黑色小布形态等,但由于黄城大科的信息不足,仅靠形态信息是无法进行物种动态的。因此,使用mitochondrial DNA COI区域进行了DNA分析,并被鉴定为Peristedion liorhynchus。在本研究中,我国首次出现的P. liorhynchus的形态学、遗传学特征是在韩国济州岛近海出现的黄成大科(Peristediidae)鱼类未记录种,Peristedion liorhynchus鱼苗的形态记载及分子动态章书河、金镇九*、有效材
{"title":"Morphological Description and Molecular Identification of Juvenile Peristedion liorhynchus (Peristediidae, Pisces) from Jeju-do Island, Korea","authors":"Seo-Ha Jang, Jin-Koo Kim, H. Yu","doi":"10.5657/KFAS.2020.0794","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0.0794","url":null,"abstract":"황성대과(Peristediidae) 어류는 전 세계에 6속 45종이 보고되 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2속 2종[황성대(Peristedion orientale, Temminck and Schlegel, 1843); 별성대(Satyrichthys rieffeli, Kaup, 1859)]이 보고되어 있다(Nelson et al., 2016; MABIK, 2019; Fricke et al., 2020). 황성대과 어류는 전 세계의 온대 및 열대 해역의 50-800 m까지 다양한 수심의 바닥에 서식한다 (Miller and Richard, 2002; Tenda and Kawai, 2012; Kawai, 2013). 황성대과 어류는 몸을 둘러싸는 4열의 골판을 몸의 양쪽 에 가지는 점, 신장된 주둥이를 가지는 점, 양쪽 전안와골이 뒤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점, 가슴지느러미 하단에 2개의 유리 연 조를 가지는 점, 아래턱에 수염을 가지는 점 등의 특징을 가진다 (Kawai, 2013; Nelson et al., 2016). 외부형태학적 특징 및 골격 형태를 기반으로 한 황성대과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결과, 황성 대과 어류는 성대과(Triglidae) 어류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것 으로 밝혀졌으며(Washington et al., 1984; Imamura,1996), 최 근 분자계통학적 연구에서 황성대과의 일부 종이 성대과 내에 위치하는 결과를 보여 두 과 간의 분류학적 위치가 재조명 되고 있다(Portnoy et al., 2017; Smith et al., 2018). 우리나라에서는 Mori (1952)가 황성대를 성대과의 1종으로 기재하였으며, 이후 Chyung (1977)은 Mori (1952)가 성대과로 분류하였던 황성대 를 황성대과로 전과시켰다. 이후 우리나라에서 황성대과에 관 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2019년 5월 5일 우리나라 제주도 근해 244-6 해구에서 국립 수산과학원 시험조사선(탐구 22호)에 의해 황성대과 치어 1개 체가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본 개체는 안상극이 뾰족한 산 모양 을 띠는 점, 후측두극이 매우 길게 발달한 점, 몸통의 흑색소포 형태 등에서 Okiyama (2014)에 기재된 황성대과의 Peristedion sp.와 유사하였으나, 황성대과 자치어의 정보가 부족하여 형태 정보만으로는 종동정이 불가능 하였다. 따라서 mitochondrial DNA COI 영역을 사용한 DNA분석을 수행하였으며 Peristedion liorhynchus로 동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처음 보고되는 P. liorhynchus의 형태학적, 유전학적 특징을 기 한국 제주도 근해에서 출현한 황성대과(Peristediidae) 어류 1미기록종, Peristedion liorhynchus 치어의 형태기재 및 분자동정 장서하·김진구*·유효재","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9 1","pages":"794-799"},"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146814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Jong-pyo Suh, Y. Yoon, Sung-hyun Kim, Woo-jai Lee, Chi‐Hoon Lee, Young-Don Lee
넙치(Paralichthys olivaceus)는 우리나라에서 광어로도 불리 는 대표적인 해산어 양식어종으로서, 연간 4만여 톤이 생산되 고 있다(KOSIS, 2018). 넙치는 횟감으로 기호도가 매우 높아 국내시장은 물론 일본과 미국 등으로 수출하는 양식어류이다. 국내에서 넙치의 종자생산은 넙치의 수정란이 연중 생산되고 공급됨에 따라 연중 이루어진다. 대부분 넙치의 수정란은 제주 에서 생산된다. 제주도는 화산섬으로 제주섬의 동부지역지질 구조 특성으로 바닷물이 지하로 스며들어 저장된 지하해수 자 원이 풍부하다. 지하해수는 연중 수온 16-18°C, pH 7.4±0.2, 염분농도 33±1.0 psu를 유지하는 항상성과 청정성을 가진다 (Park and Oh, 1996). 넙치 수정란을 생산한 어가는 항공운반 과 차량운반으로 수요어가에 공급한다. 수정란 수송과정에 수 질 변화는 난질, 생존율 및 부화율에 영향을 준다(Garcia and Toledo, 1988). 난질과 폐사율은 종자생산 어가의 경제적 손익 에 직접적인 요소이다. 수정란 수송 시 수질 변화에 노출될 경 우 수정란의 대량 폐사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환경 변화 시 수정란의 생리적 반응 및 폐사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한 환 경 스트레스 인자를 규정하는 것은 어려운 실정이다(Carneiro et al., 2009). 어류의 수정란과 자치어 생산어가는 운반과정에 서 노출되는 수질환경을 관리하여 이들의 생존율을 높이는 것 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수정란과 자치어 운반용기 내 수질환 경 요소 변화는 복합적이고 수용밀도 초과는 수질환경을 악화 시킨다(Paterson et al., 2003; Jia et al., 2020; Vanderzwalmen et al., 2020). 어류의 수정란이나 자치어 운반에 따른 비용과 스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수정란 수송조건에 따른 생존율 및 부화율 조사 서종표·윤영석·김성현·이우재·이치훈·이영돈*
比目鱼(Paralichthys olivaceus)是韩国最具代表性的海产鱼类,每年生产4万多吨(KOSIS, 2018)。比目鱼作为生鱼片材料的喜好度非常高,是出口到国内市场和日本、美国等地的养殖鱼类。在国内,比目鱼的种子生产是随着比目鱼的受精卵在年内生产和供应而在年内完成的。大部分比目鱼的受精卵是在济州生产的。济州岛是火山岛,由于济州岛东部地区的地质结构特性,海水渗入地下储存的地下海水资源非常丰富。地下海水具有恒定性和清净性,全年水温为16-18°C, pH为7.4±0.2,盐浓度为33±1.0 psu (Park and Oh, 1996)。生产比目鱼受精卵的渔家通过航空运输和车辆运输供应给需要的渔家。在受精卵输送过程中,水质的变化会影响卵质、生存率和孵化率(Garcia and Toledo, 1988)。难质和死亡率是种子生产渔家经济盈亏的直接因素。在输送受精卵时,由于水质的变化,还会发生受精卵大量死亡的情况。在这种环境变化中,很难确定影响受精卵生理反应和死亡的特定环境压力因子(Carneiro et al., 2009)。管理鱼类受精卵和自治鱼生产渔在运输过程中暴露的水质环境,提高它们的生存率是非常重要的事情。受精卵和自治鱼运输容器内的水质环境因素变化是复杂的,超过水的密度会恶化水质环境(Paterson et al., 2003;时候,et al ., 2020;vanderzwalmen et al ., 2020)。根据鱼类受精卵或自治鱼运输的费用和比鲆(Paralichthys Olivaceus)受精卵运输条件的生存率及孵化率调查书钟彪、尹永锡、金成贤、李宇宰、李治勋、李永敦*
{"title":"Investigation on the Survival and Hatching Rate of Fertilized Eggs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During Commercial Transport Conditions","authors":"Jong-pyo Suh, Y. Yoon, Sung-hyun Kim, Woo-jai Lee, Chi‐Hoon Lee, Young-Don Lee","doi":"10.5657/KFAS.2020.0486","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0.0486","url":null,"abstract":"넙치(Paralichthys olivaceus)는 우리나라에서 광어로도 불리 는 대표적인 해산어 양식어종으로서, 연간 4만여 톤이 생산되 고 있다(KOSIS, 2018). 넙치는 횟감으로 기호도가 매우 높아 국내시장은 물론 일본과 미국 등으로 수출하는 양식어류이다. 국내에서 넙치의 종자생산은 넙치의 수정란이 연중 생산되고 공급됨에 따라 연중 이루어진다. 대부분 넙치의 수정란은 제주 에서 생산된다. 제주도는 화산섬으로 제주섬의 동부지역지질 구조 특성으로 바닷물이 지하로 스며들어 저장된 지하해수 자 원이 풍부하다. 지하해수는 연중 수온 16-18°C, pH 7.4±0.2, 염분농도 33±1.0 psu를 유지하는 항상성과 청정성을 가진다 (Park and Oh, 1996). 넙치 수정란을 생산한 어가는 항공운반 과 차량운반으로 수요어가에 공급한다. 수정란 수송과정에 수 질 변화는 난질, 생존율 및 부화율에 영향을 준다(Garcia and Toledo, 1988). 난질과 폐사율은 종자생산 어가의 경제적 손익 에 직접적인 요소이다. 수정란 수송 시 수질 변화에 노출될 경 우 수정란의 대량 폐사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환경 변화 시 수정란의 생리적 반응 및 폐사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한 환 경 스트레스 인자를 규정하는 것은 어려운 실정이다(Carneiro et al., 2009). 어류의 수정란과 자치어 생산어가는 운반과정에 서 노출되는 수질환경을 관리하여 이들의 생존율을 높이는 것 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수정란과 자치어 운반용기 내 수질환 경 요소 변화는 복합적이고 수용밀도 초과는 수질환경을 악화 시킨다(Paterson et al., 2003; Jia et al., 2020; Vanderzwalmen et al., 2020). 어류의 수정란이나 자치어 운반에 따른 비용과 스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수정란 수송조건에 따른 생존율 및 부화율 조사 서종표·윤영석·김성현·이우재·이치훈·이영돈*","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54 1","pages":"486-491"},"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609361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G. Han, Jin Choi, S. Byun, H. Lim, H. Kim, Sang‐Min Lee
{"title":"Effects of the Dietary Inclusion of Pollock Oil on the Quality of Eggs and Larvae of Walleye Pollock Gadus chalcogrammus","authors":"G. Han, Jin Choi, S. Byun, H. Lim, H. Kim, Sang‐Min Lee","doi":"10.5657/KFAS.2020.0894","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0.0894","url":null,"abstract":"","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71 1","pages":"894-899"},"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2732621","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Jin Choi, G. Han, S. Byun, H. Lim, Chang-Hwan Lee, Da-Yeon Lee, H. Kim
태평양 대구(Gadus macrocephalus)는 한국과 일본 해역 및 오호츠크해, 베링해, 알래스카만과 캘리포니아 연안까지 광범 위하게 분포하고 수심 40-500 m에서 서식하는 대표적인 한해 성 어종이다(Westrheim, 1996; NOAA, 2010). 국내 연근해 어 획량은 1982년에 약 4,500톤으로 가장 높았으나, 1990년대에 약 500톤 이하로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이에 따라 대구의 자원 회복을 위한 다양한 초기 종자생산 기술 개발 연구(Kim et al., 2007; Lee et al., 2007; Gwak, 2010; Choi et al., 2011; Gwak et al., 2012; Shin et al., 2019)가 이루어졌으며, 이를 통한 수정란 및 치어 방류사업을 통해 최근 2019년에는 어획량이 약 1만톤 으로 상승하여 자원이 회복되고 있는 추세이다(KOSIS, 2020). 그러나 보다 안정적이고 건강한 종자를 대량 생산하기 위해서 는 다양한 분야의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초기 자어 의 영양학적 연구가 반드시 수행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난황 흡수 직후 자어의 영양 결핍과 기아는 비정 상적인 소화기관의 발달, 먹이 효율의 감소 및 먹이섭취 활동 의 감소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Heming et al., 1982; Taylor and Freeberg, 1984; Rice et al., 1987; Gisbert et al., 2004). 또한 자어의 입 크기를 고려한 적정 먹이생물의 선택과 이들 먹이생물 내 필수영양소의 함량은 초기 개체발생 단계의 영양 요구량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Hamre, 2016). 대부분의 해산 어 초기 자어의 먹이로서 대량 생산과 영양강화를 통한 영양소 다양한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영양강화가 태평양 대구(Gadus macrocephalus) 자어의 성장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최진·한경식·변순규·임현정·이창환·이다연·김희성*
太平洋鳕鱼(Gadus macrocephalus)广泛分布于韩国和日本海域以及鄂鄂次克海、白林海、阿拉斯加州湾和加利福尼亚沿岸,是栖息在水深40-500米的代表性海南省鱼种(Westrheim, 1996;noaa, 2010)。国内近海捕捞量在1982年最高,约4500吨,但在90年代急剧减少到500吨以下。据此,为恢复大邱资源的多种初期种子生产技术开发研究(Kim et al., 2007;lee et al ., 2007;gwak, 2010;choi et al ., 2011;gwak et al ., 2012;Shin et al., 2019),通过受精卵和鱼苗放流工程,到2019年捕鱼量上升到约1万吨,资源正在恢复(KOSIS, 2020)。但是,为了大量生产更稳定、更健康的种子,有必要进行多种领域的研究,特别是早期紫鱼的营养学研究。一般来说,在吸收卵黄之后,鱼的营养不良和饥饿与异常消化器官的发达、食物效率的降低以及食物摄取活动的减少等有着密切的关系(Heming et al., 1982;concepts and freeberg, 1984;rice et al ., 1987;gisbert et al ., 2004)。另外,考虑到鱼的嘴大小,适当食物生物的选择和这些食物生物内必需营养素的含量在初期个体发生阶段的营养要求量方面非常重要(Hamre, 2016)。作为大部分海产鱼初期鱼种的食物,通过大量生产和强化营养,强化多种营养素的Rotifer (Brachionus plicatilis)营养对太平洋鳕鱼(Gadus macrocephalus)鱼种的成长及脂肪酸组成产生的影响
{"title":"Effect of Different Rotifer Enrichment Products on Survival, Growth,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Larval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authors":"Jin Choi, G. Han, S. Byun, H. Lim, Chang-Hwan Lee, Da-Yeon Lee, H. Kim","doi":"10.5657/KFAS.2020.0530","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0.0530","url":null,"abstract":"태평양 대구(Gadus macrocephalus)는 한국과 일본 해역 및 오호츠크해, 베링해, 알래스카만과 캘리포니아 연안까지 광범 위하게 분포하고 수심 40-500 m에서 서식하는 대표적인 한해 성 어종이다(Westrheim, 1996; NOAA, 2010). 국내 연근해 어 획량은 1982년에 약 4,500톤으로 가장 높았으나, 1990년대에 약 500톤 이하로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이에 따라 대구의 자원 회복을 위한 다양한 초기 종자생산 기술 개발 연구(Kim et al., 2007; Lee et al., 2007; Gwak, 2010; Choi et al., 2011; Gwak et al., 2012; Shin et al., 2019)가 이루어졌으며, 이를 통한 수정란 및 치어 방류사업을 통해 최근 2019년에는 어획량이 약 1만톤 으로 상승하여 자원이 회복되고 있는 추세이다(KOSIS, 2020). 그러나 보다 안정적이고 건강한 종자를 대량 생산하기 위해서 는 다양한 분야의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초기 자어 의 영양학적 연구가 반드시 수행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난황 흡수 직후 자어의 영양 결핍과 기아는 비정 상적인 소화기관의 발달, 먹이 효율의 감소 및 먹이섭취 활동 의 감소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Heming et al., 1982; Taylor and Freeberg, 1984; Rice et al., 1987; Gisbert et al., 2004). 또한 자어의 입 크기를 고려한 적정 먹이생물의 선택과 이들 먹이생물 내 필수영양소의 함량은 초기 개체발생 단계의 영양 요구량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Hamre, 2016). 대부분의 해산 어 초기 자어의 먹이로서 대량 생산과 영양강화를 통한 영양소 다양한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영양강화가 태평양 대구(Gadus macrocephalus) 자어의 성장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최진·한경식·변순규·임현정·이창환·이다연·김희성*","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201 3","pages":"530-537"},"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9144014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Dong-Hoon Lee, Jin-Young Kim, Seong-Ryul Lim, Kwang-Bae Kim, Joo-min Kim, A. M. Hariati, Dongwoo Kim, Jeong-Dae Ki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rude protein levels in diets containing monobasic potassium phosphate (MKP) on water quality and the growth of Japanese eels Anguilla japonica and leafy vegetables in a Hybrid BFT-Aquaponics (HBFT-AP) system. The first experiment (EXP1) was designe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feed itself on leafy vegetable productivity using two diets (CP48 and CP30) with MKP and one commercial eel diet (COM58). The second experiment (EXP2) examined the effects of the three diets on productivity of the fish and leafy vegetables in the HBFT-AP for 6 weeks. After the 6 week feeding trial, the weight gain, feed efficiency, specific growth rate and protein efficiency ratio of fish fed COM58 and CP48 were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CP30 (P<0.05) and the growth of the four leafy vegetables was the highest with fish fed CP48. Water quality was measured six times per week using a portable water quality meter and reagent measurements and showed variance with time for TAN (0.01-0.09 mg/L), NO2-N (0.010-0.064 mg/L), NO3-N (5.52-27.15 mg/L), PO4-P (2.03-5.32 mg/L) and pH (7.86-6.15).
{"title":"Effects of Crude Protein Levels in Diets Containing MKP on Water Quality and the Growth of Japanese Eels Anguilla japonica and Leafy Vegetables in a Hybrid BFT-Aquaponic System","authors":"Dong-Hoon Lee, Jin-Young Kim, Seong-Ryul Lim, Kwang-Bae Kim, Joo-min Kim, A. M. Hariati, Dongwoo Kim, Jeong-Dae Kim","doi":"10.5657/KFAS.2020.0606","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0.0606","url":null,"abstract":"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rude protein levels in diets containing monobasic potassium phosphate (MKP) on water quality and the growth of Japanese eels Anguilla japonica and leafy vegetables in a Hybrid BFT-Aquaponics (HBFT-AP) system. The first experiment (EXP1) was designe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feed itself on leafy vegetable productivity using two diets (CP48 and CP30) with MKP and one commercial eel diet (COM58). The second experiment (EXP2) examined the effects of the three diets on productivity of the fish and leafy vegetables in the HBFT-AP for 6 weeks. After the 6 week feeding trial, the weight gain, feed efficiency, specific growth rate and protein efficiency ratio of fish fed COM58 and CP48 were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CP30 (P<0.05) and the growth of the four leafy vegetables was the highest with fish fed CP48. Water quality was measured six times per week using a portable water quality meter and reagent measurements and showed variance with time for TAN (0.01-0.09 mg/L), NO2-N (0.010-0.064 mg/L), NO3-N (5.52-27.15 mg/L), PO4-P (2.03-5.32 mg/L) and pH (7.86-6.15).","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1 1","pages":"606-619"},"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926068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농어목(Perciformes) 장갱이과(Stichaeidae) 어류는 전 세계 적으로 35속 71종이 보고되어 있고(Fricke et al., 2020), 국내 에는 14속 24종이 보고되어 있다(MABIK, 2019). 장갱이과 어 류는 북태평양의 차가운 물에 서식하는 냉수성 어종으로, 보통 조간대 또는 수심이 얕은 만의 바위나 해조류 사이에 서식한다 (Mecklenburg et al., 2007). 장갱이과 어류는 체형이 길고 측 편되며 등지느러미가 극조로만 이루어진 종도 있다. 뒷지느러 미 기점은 꼬리지느러미 기점보다 주둥이 끝에 가까우며, 일부 종에서는 배지느러미가 없는 경우도 있다(Soldatov, 1916; Tomoyuki et al., 2012; Nelson, 2016). 장갱이과 어류 중에서 Lumpenopsis 속은 배지느러미가 있고, 머리에 피판(Cirrus)과 체측 측선이 없고, 가슴지느러미가 항문 에 이르지 못하는 점 등에서 다른 속과 잘 구분된다(Follett and Powell, 1988; Posner and Lavenberg, 1999; Hatooka, 2013). 또한, Lumpenus속과 유사하지만, 본 속은 좌우 아가미막이 유 합되어 협부와 분리되어 있다는 점에서 구분된다(Soldatov, 1916). Lumpenopsis 속에는 전 세계적으로 4종(L. clitella, L. hypochroma, L. pavlenkoi, L. triocellata)이 보고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L. clitella (Hastings and Walker, 2003)와 L. hypochroma (Hubbs and Schultz, 1932)는 북동태평양에 분포하 며, L. pavlenkoi (Soldatov, 1916)와 L. triocellata (Matsubara, 1943)는 북서태평양에 분포한다(Hastings and Walker, 2003; Fricke et al., 2020). 그러나, 아직 우리나라에는 이 속의 출현 기록이 전혀 없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동해 최북단인 강원도 고성에서 채집된 장갱이과 어류 1개체를 면밀히 분석한 결과, 형태 특징에 의거 Lumpenopsis pavlenkoi로 동정되었으며, 분자분석 결과도 이 를 잘 지지해 주었다. 따라서, 국내에서 처음 채집된 L. pavlenkoi의 형태 및 분자 특징을 상세히 제공하고, 새로운 국명을 제 안하고자 한다. 한국 강원도 고성에서 채집된 장갱이과 어류 1미기록종 Lumpenopsis pavlenkoi Soldatov, 1916 이혜량·이수정·김진구*
Perciformes、Stichaeidae、35属71种(Fricke et al., 2020)、14属24种(MABIK, 2019)。长坑科鱼类是一种冷水性鱼类,生活在北太平洋的冷水中,通常栖息在潮间带或浅水湾的岩石或海藻类之间(Mecklenburg et al., 2007)。长更科鱼类体型长,侧扁,背鳍极操的种类也有。后肢末端比尾鳍末端更靠近嘴尖,一些物种甚至没有腹鳍(Soldatov, 1916年;tomoyuki et al ., 2012;nelson, 2016)。在肠更科鱼类中,Lumpenopsis属有腹鳍,头部没有皮瓣和体侧线,胸鳍达不到肛门等与其他属有明显区别(Follett and Powell, 1988;posner and lavenberg, 1999;hatooka, 2013)。此外,它与Lumpenus属相似,但它与夹角是分开的,左右鳃膜合在一起(Soldatov, 1916)。Lumpenopsis在全世界有4种(L)。clitella, L. hypochroma, L. pavlenkoi, L. triocellata,其中L. clitella (Hastings and Walker, 2003)和L. hypochroma (Hubbs and Schultz, 1932)分布在东北太平洋,L. pavlenkoi (Soldatov,1916年)和L. triocellata (Matsubara, 1943年)分布于西北太平洋(Hastings and Walker, 2003年;fricke et al ., 2020)。但是,韩国目前还没有出现这一现象的记录。本研究对在韩国东海最北端江原道高城采集的一种长更科鱼类进行了缜密的分析,根据形态特征同情为Lumpenopsis pavlenkoi,分子分析结果也很支持这一研究。因此,将详细提供国内首次采集的L. pavlenkoi的形态及分子特征,并提出新的国名。在韩国江原道高城采集的长更科鱼类未记录种Lumpenopsis pavlenkoi Soldatov, 1916李惠良、李水晶、金镇九
{"title":"First Record of Lumpenopsis pavlenkoi Soldatov, 1916 (Pisces: Stichaeidae) Collected from Gosung, Gangwon Province, Korea","authors":"Hye-Lyang Lee, S. Lee, Jin-Koo Kim","doi":"10.5657/KFAS.2020.0960","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0.0960","url":null,"abstract":"농어목(Perciformes) 장갱이과(Stichaeidae) 어류는 전 세계 적으로 35속 71종이 보고되어 있고(Fricke et al., 2020), 국내 에는 14속 24종이 보고되어 있다(MABIK, 2019). 장갱이과 어 류는 북태평양의 차가운 물에 서식하는 냉수성 어종으로, 보통 조간대 또는 수심이 얕은 만의 바위나 해조류 사이에 서식한다 (Mecklenburg et al., 2007). 장갱이과 어류는 체형이 길고 측 편되며 등지느러미가 극조로만 이루어진 종도 있다. 뒷지느러 미 기점은 꼬리지느러미 기점보다 주둥이 끝에 가까우며, 일부 종에서는 배지느러미가 없는 경우도 있다(Soldatov, 1916; Tomoyuki et al., 2012; Nelson, 2016). 장갱이과 어류 중에서 Lumpenopsis 속은 배지느러미가 있고, 머리에 피판(Cirrus)과 체측 측선이 없고, 가슴지느러미가 항문 에 이르지 못하는 점 등에서 다른 속과 잘 구분된다(Follett and Powell, 1988; Posner and Lavenberg, 1999; Hatooka, 2013). 또한, Lumpenus속과 유사하지만, 본 속은 좌우 아가미막이 유 합되어 협부와 분리되어 있다는 점에서 구분된다(Soldatov, 1916). Lumpenopsis 속에는 전 세계적으로 4종(L. clitella, L. hypochroma, L. pavlenkoi, L. triocellata)이 보고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L. clitella (Hastings and Walker, 2003)와 L. hypochroma (Hubbs and Schultz, 1932)는 북동태평양에 분포하 며, L. pavlenkoi (Soldatov, 1916)와 L. triocellata (Matsubara, 1943)는 북서태평양에 분포한다(Hastings and Walker, 2003; Fricke et al., 2020). 그러나, 아직 우리나라에는 이 속의 출현 기록이 전혀 없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동해 최북단인 강원도 고성에서 채집된 장갱이과 어류 1개체를 면밀히 분석한 결과, 형태 특징에 의거 Lumpenopsis pavlenkoi로 동정되었으며, 분자분석 결과도 이 를 잘 지지해 주었다. 따라서, 국내에서 처음 채집된 L. pavlenkoi의 형태 및 분자 특징을 상세히 제공하고, 새로운 국명을 제 안하고자 한다. 한국 강원도 고성에서 채집된 장갱이과 어류 1미기록종 Lumpenopsis pavlenkoi Soldatov, 1916 이혜량·이수정·김진구*","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23 1","pages":"960-964"},"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446209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Comparison of Antioxidant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from Hizikia fusiformis","authors":"Youn ji Lee, Y. Jeon, Yong-Tae Kim","doi":"10.5657/KFAS.2020.0886","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0.0886","url":null,"abstract":"","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38 1","pages":"886-893"},"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439759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