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Choi, B. Jeon, Jae-Won Kim, Jeong Hoon Lee, Yang-Jae Im, Hae-Won Lee
말쥐치는 속칭 쥐치 또는 쥐고기로 호칭되고 있으며, 한국수 산통계연보에 1975년부터 단일종으로 분류 표기되어 81,397톤 (M/T)의 어획량이 기록 된 것을 시작으로 그 양이 증가해 1979 년 230,298톤(M/T)으로 최고였고, 1981-1983년까지 17-18만 톤대의 어획수준을 유지하고, 당시 단일종으로 연근해 총생산 량의 약 12%를 차지했다(Park, 1985). 그러나 현재 통계청의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말쥐 치는 단독으로 기록되지 않고 쥐치류로 어획량이 집계·기록되 고 있으며, 정확히 언제부터 말쥐치와 쥐치류의 어획량 기록이 변경되었는지 확인이 불가했으며, 쥐치류 어획량 중 대부분이 말쥐치인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NIFS, 2017).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는 우리나라 전 연안, 홋카이도를 포함한 일 본, 남중국해, 남아프리카에 분포하고 있으며, 분류상으로 복 어목 쥐치과로 우리나라에는 객주리(Aluterus monoceros), 그 물코쥐치(Rudarius ercodes), 쥐치(Stephanolepis cirrhifer)를 포함한 9속 11종이 포함되어 있다(Kim et al., 2005). 쥐치류 의 연간어획량은 1990년 23만톤이었다가, 1991년 6만9천톤으 로 급격히 감소한 후 지속적으로 감소해 1994년에는 4천톤으 로 감소하고, 1997년 1만6천톤으로 다소 증가한 이후 감소추 세이고, 최근 5년간(2014-2018) 평균연간어획량은 2,035톤으 로 1980년 초반에 비해 1/100 수준으로 감소했으며(Fig. 1), 전 체 어획량에 대해 차지 하는 비중 역시 0.2% 수준으로 그 당시 12%에 비해 월등히 어획량이 감소한 실정이다(KOSIS, 2019). Jung and Cha (2013)의 연구에 따르면 쥐치류(말쥐치)의 어획 량이 감소한 이유로 기후변화와 남획을 가정하고 있으며, 특히 1990-1993년의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에 따른 이유를 주요 원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의 성숙과 산란 최정화·전복순·김재원·이정훈·임양재·이해원*
{"title":"Maturation and Spawning of the Filefish Thamnaconus modestus in Coastal Waters of Korea","authors":"J. Choi, B. Jeon, Jae-Won Kim, Jeong Hoon Lee, Yang-Jae Im, Hae-Won Lee","doi":"10.5657/KFAS.2020.0027","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0.0027","url":null,"abstract":"말쥐치는 속칭 쥐치 또는 쥐고기로 호칭되고 있으며, 한국수 산통계연보에 1975년부터 단일종으로 분류 표기되어 81,397톤 (M/T)의 어획량이 기록 된 것을 시작으로 그 양이 증가해 1979 년 230,298톤(M/T)으로 최고였고, 1981-1983년까지 17-18만 톤대의 어획수준을 유지하고, 당시 단일종으로 연근해 총생산 량의 약 12%를 차지했다(Park, 1985). 그러나 현재 통계청의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말쥐 치는 단독으로 기록되지 않고 쥐치류로 어획량이 집계·기록되 고 있으며, 정확히 언제부터 말쥐치와 쥐치류의 어획량 기록이 변경되었는지 확인이 불가했으며, 쥐치류 어획량 중 대부분이 말쥐치인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NIFS, 2017).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는 우리나라 전 연안, 홋카이도를 포함한 일 본, 남중국해, 남아프리카에 분포하고 있으며, 분류상으로 복 어목 쥐치과로 우리나라에는 객주리(Aluterus monoceros), 그 물코쥐치(Rudarius ercodes), 쥐치(Stephanolepis cirrhifer)를 포함한 9속 11종이 포함되어 있다(Kim et al., 2005). 쥐치류 의 연간어획량은 1990년 23만톤이었다가, 1991년 6만9천톤으 로 급격히 감소한 후 지속적으로 감소해 1994년에는 4천톤으 로 감소하고, 1997년 1만6천톤으로 다소 증가한 이후 감소추 세이고, 최근 5년간(2014-2018) 평균연간어획량은 2,035톤으 로 1980년 초반에 비해 1/100 수준으로 감소했으며(Fig. 1), 전 체 어획량에 대해 차지 하는 비중 역시 0.2% 수준으로 그 당시 12%에 비해 월등히 어획량이 감소한 실정이다(KOSIS, 2019). Jung and Cha (2013)의 연구에 따르면 쥐치류(말쥐치)의 어획 량이 감소한 이유로 기후변화와 남획을 가정하고 있으며, 특히 1990-1993년의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에 따른 이유를 주요 원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의 성숙과 산란 최정화·전복순·김재원·이정훈·임양재·이해원*","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10 1","pages":"27-35"},"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4386306","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우리나라의 기능성 원료 개발은 최근 지역의 자원을 활용하 여 고부가가치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으로 집중되고 있다 (Kim and Byun, 2018).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한 기능성 효능을 가진 원료의 개발은 주로 육상식물 자원에서 추출 및 분리되어 왔다. 육상동물을 이용한 원료는 최근에 발생한 광우병, 조류독 감, 구제역 등의 발생으로 인한 문제로 그 이용이 매우 제한적 인 상황이다. 이러한 자원수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해양 자원을 이용한 원료개발이 매우 절실한 때이다. 육상자원에 비 해 훨씬 많은 생물을 보유한 해양자원에 대한 고부가가치 소재 의 개발에 관한 연구는 이제까지 상대적으로 덜 진행되어 왔으 나, 육상생물자원의 고갈문제로 인한 수요한계 해결 및 이를 대 체할 수 있는 생물자원으로써 최근 많은 관심 속에 연구가 진행 되고 있다(Oh and Jung, 2015). 해양에 생존하고 있는 30,000 종 이상의 어류를 포함한 해양자원은 다양한 신규 생리활성물 질의 탐색자원으로서 잠재적인 가치를 지니기 때문에 식품산업 뿐만 아니라 화장품 및 의약산업 분야의 자원으로서 그 중요성 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Jung, 2017). 피부는 신체의 외부를 덮고 있는 하나의 막으로 여러 가지 외 부의 자극, 장애, 건조 등의 환경 요소로부터 신체를 보호해 주 는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여 내부 장기와 그 밖의 체내 기 관을 보호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Lim et al., 2012). 진피층의 섬 유아세포는 진피층의 섬유상 단백질인 collagen과 elastin의 발 현을 담당하고 있는데,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진피층에 존재하 는 섬유아세포의 작용과 그 수가 감소하여 collagen과 elastin 등 오만둥이(Styela plicata)에서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의 최적 추출조건 설정 및 주름개선 효능
韩国的功能性原料开发最近集中在利用地区资源开发高附加值材料上(Kim and Byun, 2018)。通过这样的过程,具有功能性功效的原料的开发主要是从陆地植物资源中提取和分离出来的。利用陆地动物的原料是最近发生的疯牛病、鸟类毒感、口蹄疫等,因此其利用非常有限。为了解决这样的资源供需问题,现在迫切需要利用海洋资源开发原料。陆地上的资源相比,更拥有许多生物的高附加值材质对海洋资源的开发研究,关于到目前为止进行了相对较小的、我、田径及界限因生物资源的枯竭问题需要解决,可以架体的生物资源,最近许多关心下研究正在进行(oh and杨格,2015)。包括海洋中生存的30,000种以上鱼类在内的海洋资源,作为多种新型生理活性物质的探索资源,具有潜在价值,不仅在食品产业,而且在化妆品和医药产业领域,其重要性越来越高(Jung, 2017)。皮肤是覆盖身体外部的一层膜,具有保护身体不受各种外部刺激、障碍、干燥等环境因素影响的多种生理功能,起到保护调节内部脏器和体内器官的作用(Lim et al., 2012)。真皮层的岛屿幼儿细胞的蛋白质纤维上collagen和真皮层负责elastin的脚县,随着年龄的增加存在于真皮层纤维细胞的作用及其数量减少,collagen和elastin等傲慢东(styela plicata)中氨基葡萄糖苷斯格利戛纳的最佳提取条件设定及改善皱纹的功效
{"title":"Establishment of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and Wrinkle Improvement Evaluation of Glycosaminoglycans in Styela plicata","authors":"T. A. Neri, B. Choi","doi":"10.5657/KFAS.2020.0717","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0.0717","url":null,"abstract":"우리나라의 기능성 원료 개발은 최근 지역의 자원을 활용하 여 고부가가치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으로 집중되고 있다 (Kim and Byun, 2018).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한 기능성 효능을 가진 원료의 개발은 주로 육상식물 자원에서 추출 및 분리되어 왔다. 육상동물을 이용한 원료는 최근에 발생한 광우병, 조류독 감, 구제역 등의 발생으로 인한 문제로 그 이용이 매우 제한적 인 상황이다. 이러한 자원수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해양 자원을 이용한 원료개발이 매우 절실한 때이다. 육상자원에 비 해 훨씬 많은 생물을 보유한 해양자원에 대한 고부가가치 소재 의 개발에 관한 연구는 이제까지 상대적으로 덜 진행되어 왔으 나, 육상생물자원의 고갈문제로 인한 수요한계 해결 및 이를 대 체할 수 있는 생물자원으로써 최근 많은 관심 속에 연구가 진행 되고 있다(Oh and Jung, 2015). 해양에 생존하고 있는 30,000 종 이상의 어류를 포함한 해양자원은 다양한 신규 생리활성물 질의 탐색자원으로서 잠재적인 가치를 지니기 때문에 식품산업 뿐만 아니라 화장품 및 의약산업 분야의 자원으로서 그 중요성 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Jung, 2017). 피부는 신체의 외부를 덮고 있는 하나의 막으로 여러 가지 외 부의 자극, 장애, 건조 등의 환경 요소로부터 신체를 보호해 주 는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여 내부 장기와 그 밖의 체내 기 관을 보호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Lim et al., 2012). 진피층의 섬 유아세포는 진피층의 섬유상 단백질인 collagen과 elastin의 발 현을 담당하고 있는데,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진피층에 존재하 는 섬유아세포의 작용과 그 수가 감소하여 collagen과 elastin 등 오만둥이(Styela plicata)에서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의 최적 추출조건 설정 및 주름개선 효능","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14 1","pages":"717-724"},"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335947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S. Cho, Dong Wook Kim, H. J. Yu, S. Cho, A. Ryu, Ka Jeong Lee, J. Mok
{"title":"Validation of LC-MS/MS Method for Analysis of Paralytic Shellfish Toxins in Shellfish and Tunicates","authors":"S. Cho, Dong Wook Kim, H. J. Yu, S. Cho, A. Ryu, Ka Jeong Lee, J. Mok","doi":"10.5657/KFAS.2020.0174","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0.0174","url":null,"abstract":"","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24 1","pages":"174-180"},"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964797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Seasoned Laver with Concentrated Cooking Oyster Effluent Using RSM","authors":"S. Kang, Jung Suck Lee, M. Heu, Jin-Soo Kim","doi":"10.5657/KFAS.2020.0156","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0.0156","url":null,"abstract":"","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13 1","pages":"156-164"},"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972877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Y. Choi, J. Choi, Hae-Won Lee, J. Jeong, H. Kim, Do-Gyun Kim, S. Jin, G. Baeck
황돔(Dentex tumifrons)은 농어목(Perciformes) 도미과(Sparidae)에 속하는 온대성 어류로 우리나라 중·남부해, 일본 중부 이남 해역, 동중국해 및 타이완 북부 해역의 대륙붕 연변부에 분포하는 저서정착성어류이다(Chyung, 1977). 황돔의 산란장 은 분포해역과 동일하며, 연중 2회 산란하고, 여름에는 얕은 곳 에 서식하다가 겨울에는 수심이 깊은 곳으로 계절회유를 한다 (Kim et al., 2004). 황돔은 저인망 어업에서 중요한 어획 대상 종으로 수산자원으로써의 가치가 매우 높은 어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황돔 자원을 지속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생태학적 연 구는 반드시 필요하다. 황돔의 생태에 관한 국내 연구로는 식성 (Kim et al., 2012)이 있고, 국외 연구로는 연령과 성장(Oki and Tebeta, 1998), 생식생태(Yoda and Yoneda, 2002; Tominaga et al., 2005; Liao et al., 2009) 등의 연구가 있다. 하지만 이전 연구 대부분은 동중국해와 일본 등에 집중되어 있어 국내 연안해역 에서 출현하는 황돔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우리나라 연근해 어장의 어업환경은 지속적으로 변하고 있으 며, 수산자원의 생태특성 및 자원 또한 변화하고 있어 우리나라 연근해에 서식하는 황돔의 효율적인 자원관리 방안과 신뢰도 높은 자원평가를 하기 위해서는 생태학적인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연안해역에 서식하 는 황돔의 자원 생태학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성비, 산란기, 포란수, 성숙체장(total length, TL) 등의 파라메터를 제공하여 황돔의 성숙과 산란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黄鲷(Dentex tumifrons)是属于鲈鱼(Perciformes)鲷科(Sparidae)的温带性鱼类,分布在韩国中南部海、日本中部以南海域、东中国海及台湾北部海域大陆架延边部,是一种低沉积性鱼类(Chyung, 1977)。黄鲷的产卵场与分布海域相同,每年产卵2次,夏季栖息在较浅的地方,冬季迁徙到水深较深的地方(Kim et al., 2004)。黄鲷是拖网渔业中重要的捕捞对象,作为水产资源价值很高,为了持续利用黄鲷资源,有必要进行生态学研究。国内对黄鲷生态的研究有食性(Kim et al., 2012);国外的研究有年龄和成长(Oki and Tebeta, 1998);生殖生态(Yoda and Yoneda, 2002;tominaga et al ., 2005;Liao et al., 2009)等。但此前的大部分研究都集中在东中国海和日本等地,因此对在国内沿岸海域出现的黄鲷的生态学研究不足。我国近海渔场的渔业环境,持续在变,水产资源及资源也是变化着的生态特性,所以我国栖息在近海地区的鲷的有效的资源管理方案和可信度较高的资源评价,为了掌握的生态学特性是非常重要的。因此本研究为了提供栖息在我国沿岸海域的黄鲷的资源生态学信息,将提供性比、产卵期、孢子数、成熟体场(total length, TL)等参数,以揭示黄鲷的成熟和产卵特性。
{"title":"Maturation and Spawning of Yellowback Seabream Dentex tumifrons in the Coastal Waters of Korea","authors":"Y. Choi, J. Choi, Hae-Won Lee, J. Jeong, H. Kim, Do-Gyun Kim, S. Jin, G. Baeck","doi":"10.5657/KFAS.2020.0107","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0.0107","url":null,"abstract":"황돔(Dentex tumifrons)은 농어목(Perciformes) 도미과(Sparidae)에 속하는 온대성 어류로 우리나라 중·남부해, 일본 중부 이남 해역, 동중국해 및 타이완 북부 해역의 대륙붕 연변부에 분포하는 저서정착성어류이다(Chyung, 1977). 황돔의 산란장 은 분포해역과 동일하며, 연중 2회 산란하고, 여름에는 얕은 곳 에 서식하다가 겨울에는 수심이 깊은 곳으로 계절회유를 한다 (Kim et al., 2004). 황돔은 저인망 어업에서 중요한 어획 대상 종으로 수산자원으로써의 가치가 매우 높은 어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황돔 자원을 지속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생태학적 연 구는 반드시 필요하다. 황돔의 생태에 관한 국내 연구로는 식성 (Kim et al., 2012)이 있고, 국외 연구로는 연령과 성장(Oki and Tebeta, 1998), 생식생태(Yoda and Yoneda, 2002; Tominaga et al., 2005; Liao et al., 2009) 등의 연구가 있다. 하지만 이전 연구 대부분은 동중국해와 일본 등에 집중되어 있어 국내 연안해역 에서 출현하는 황돔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우리나라 연근해 어장의 어업환경은 지속적으로 변하고 있으 며, 수산자원의 생태특성 및 자원 또한 변화하고 있어 우리나라 연근해에 서식하는 황돔의 효율적인 자원관리 방안과 신뢰도 높은 자원평가를 하기 위해서는 생태학적인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연안해역에 서식하 는 황돔의 자원 생태학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성비, 산란기, 포란수, 성숙체장(total length, TL) 등의 파라메터를 제공하여 황돔의 성숙과 산란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6 1","pages":"107-111"},"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904182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참조기(Larimichthys polyactis)는 농어목(Perciformes) 민어 과(Sciaenidae)에 속하는 해양 저서어류로서 우리나라의 서·남 해, 발해만, 동중국해의 수심 40-200 m의 바닥이 모래나 뻘인 해역에 서식하는 연안 회유성 어류이다(Baik et al., 2004; Eschmeyer et al., 2019). 참조기의 산란기는 3-6월로, 우리 나라 근해에서는 12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제주도 서남부에서 월동 한 후 3-4월부터 황해 연안으로 북상 회유를 시작하여 4월에는 칠산도, 5-6월에는 연평도 근해까지 회유하며 산란을 마친 후, 외해로 이동하여 10월 하순부터 남하하여 11월 이후에는 월동 장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Zhang et al., 1992; Baik et al., 2004; Lee et al., 2013). 참조기는 한국, 중국 등 동북아시 아의 연근해 어업에서 경제적으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 다. 한국의 참조기어장은 전라남도 칠산도, 경기도 연평도 부근 이 가장 대표적인 어장이었다. 특히 전라도의 칠산어장은 조선 시대부터 최대의 참조기어장으로 유명하였으며, 법성포를 중 심으로 굴비 가공업이 발달하였다(Park, 2012). 그러나, 최근에 는 수온상승과 같은 해양환경의 변화, 남획 등으로 제주도 근해 의 추자도 주변과 전라남도 흑산도 부근으로 주 어장이 이동하 고 있다(Park, 2012). 전라남도 영광군 칠산도 주변 연안은 제주 주변해역에서 월동 한 참조기가 산란을 위해 북상하는 길목에 위치하며, 예로부터 참조기의 주 산란장으로 유명한 지역이었다(Park, 2012; Lee et al., 2013). 그러나 최근 간척사업, 영광원전 건립 등으로 유입되 는 담수의 양이 변화하고 주변 환경이 크게 변해 칠산도 주변 연 안의 어획량은 크게 감소하였고 나아가 참조기 산란장 기능이 있는지 의문시 되고 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참조기에 대 한 연구로는 성장(Hwang and Choi, 1980; Kim et al., 2006), 생식생태(Kang et al., 2006; Han et al., 2010; Lim et al., 2010), 전라남도 칠산도 주변 참조기(Larimichthys polyactis) 어란 출현의 첫 보고 장서하·김진구*·유정화
大黄鱼(Larimichthys polyactis)是一种属鲈鱼科(Perciformes)、闽鱼科(Sciaenidae)的海洋底底鱼类,栖息在我国西、南海、渤海湾、东中国海水深40-200米的沙地或泥滩海域,是沿岸洄游性鱼类。(Baik et al., 2004;eschmeyer et al ., 2019)。小黄鱼产卵期为3 - 6月,我国近海在12月至次年2月在济州岛西南部越冬后3 - 4月开始洄游黄海沿岸北上,4月份,山海相连,甚至到5 - 6月份延坪岛近海的洄游产卵后,转移到外海,10月下旬开始南下,11月以后,越冬章达到众所周知的张豫et al。,1992;baik et al ., 2004;lee et al ., 2013)。小黄鱼在韩国,中国等东北亚洲的近海渔业中经济上占很大比重。韩国的参照齿轮场在全罗南道七山岛、京畿道延坪岛附近是最具代表性的渔场。特别是全罗道的七山渔场从朝鲜时代开始就以最大的参照齿轮场而闻名,以法圣浦为中心,干黄花鱼加工业非常发达(Park, 2012)。但是,最近由于水温上升等海洋环境的变化和滥捕等,主要渔场正在向济州岛近海的楸子岛周边和全罗南道黑山岛附近移动(Park, 2012)。全罗南道灵光郡七山岛周边沿岸位于济州周边海域越冬小黄鱼北上产卵的路口,自古以来就以小黄鱼的主要产卵场而闻名(Park, 2012;lee et al ., 2013)。但是最近因开垦事业、灵光核电站建设等流入的淡水量发生了变化,周边环境也发生了很大变化,因此七山岛周边沿岸的捕获量大幅减少,进而受到了是否具有小黄鱼产卵场功能的质疑。迄今为止,我国对小黄鱼的研究有:成长(Hwang and Choi) 1980;Kim et al., 2006),生殖生态(Kang et al., 2006;han et al ., 2010;Lim et al., 2010),全罗南道七山岛周边小黄鱼(Larimichthys polyactis)鱼兰出现的第一个报告,张书夏·金镇九*·刘贞花
{"title":"First Report on the Occurrence of Eggs of the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from Chilsan-do Island, Jeollanam-do, Korea","authors":"Seo-Ha Jang, Jin-Koo Kim, J. Ryu","doi":"10.5657/KFAS.2020.0650","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0.0650","url":null,"abstract":"참조기(Larimichthys polyactis)는 농어목(Perciformes) 민어 과(Sciaenidae)에 속하는 해양 저서어류로서 우리나라의 서·남 해, 발해만, 동중국해의 수심 40-200 m의 바닥이 모래나 뻘인 해역에 서식하는 연안 회유성 어류이다(Baik et al., 2004; Eschmeyer et al., 2019). 참조기의 산란기는 3-6월로, 우리 나라 근해에서는 12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제주도 서남부에서 월동 한 후 3-4월부터 황해 연안으로 북상 회유를 시작하여 4월에는 칠산도, 5-6월에는 연평도 근해까지 회유하며 산란을 마친 후, 외해로 이동하여 10월 하순부터 남하하여 11월 이후에는 월동 장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Zhang et al., 1992; Baik et al., 2004; Lee et al., 2013). 참조기는 한국, 중국 등 동북아시 아의 연근해 어업에서 경제적으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 다. 한국의 참조기어장은 전라남도 칠산도, 경기도 연평도 부근 이 가장 대표적인 어장이었다. 특히 전라도의 칠산어장은 조선 시대부터 최대의 참조기어장으로 유명하였으며, 법성포를 중 심으로 굴비 가공업이 발달하였다(Park, 2012). 그러나, 최근에 는 수온상승과 같은 해양환경의 변화, 남획 등으로 제주도 근해 의 추자도 주변과 전라남도 흑산도 부근으로 주 어장이 이동하 고 있다(Park, 2012). 전라남도 영광군 칠산도 주변 연안은 제주 주변해역에서 월동 한 참조기가 산란을 위해 북상하는 길목에 위치하며, 예로부터 참조기의 주 산란장으로 유명한 지역이었다(Park, 2012; Lee et al., 2013). 그러나 최근 간척사업, 영광원전 건립 등으로 유입되 는 담수의 양이 변화하고 주변 환경이 크게 변해 칠산도 주변 연 안의 어획량은 크게 감소하였고 나아가 참조기 산란장 기능이 있는지 의문시 되고 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참조기에 대 한 연구로는 성장(Hwang and Choi, 1980; Kim et al., 2006), 생식생태(Kang et al., 2006; Han et al., 2010; Lim et al., 2010), 전라남도 칠산도 주변 참조기(Larimichthys polyactis) 어란 출현의 첫 보고 장서하·김진구*·유정화","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35 1","pages":"650-655"},"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935280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ri)은 모자반과(Sargassaceae)에 속하는 1년생 갈조류로 국내 연안 및 일본과 중국 연안 에 널리 분포한다. 모자반은 해중림을 형성하여 수산 동물의 서 식지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나 종종 엽체가 기질에서 떨어져나와 다량의 부유성 모자반 띠를 형성한다. 국내에도 전 남 신안, 제주도 연안에 괭생이모자반 부유성 유조가 대량 발생 하여 양식장 피해뿐아니라 해변에 악취와 경관 피해를 유발하 는 등 많은 문제가 발생시켰다(Hwang et al., 2016). 괭생이모 자반은 국내에서 식품으로 소비가 거의 되지 않아 대부분 폐기 되고 있으나 최근 괭생이 모자반의 이용성을 높이기 위해 바이 오 에탄올(Jung et al., 2017), 무기질 공급원(Jun et al., 2011), 항산화 활성(Boo et al., 2020)에 관한 연구 등 다양한 연구가 수 행되었다. 갈조류에는 탄수화물과 회분이 많이 함유되어있고 특히 수용 성 다당인 알긴산과 후코이단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식품첨가 물과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Koo et al., 1995). 알 긴산은 pre-biotic 특성, 자유 라디칼 소거 작용 등 기능성이 보 고되고 있고(Mazumder et al., 2016), 후코이단은 위웨양 보호 작용(Shibata et al., 1999; 2003) 등이 보고되고 있어 해조 유래 기능성 소재로 활용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연안에 서 채취한 괭생이모자반 유조의 활용방안을 검토하기위해 괭생 이모자반의 화학적 조성을 조사하고 또한 알긴산과 후코이단을 추출 정제하여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ri)으로부터 추출한 다당의 이화학적 특성
镐头帽斑(Sargassum horneri)是一种一年生褐藻,属于帽斑(Sargassaceae),广泛分布于国内沿岸及日本和中国沿岸。海藻斑形成海中林,作为水产动物的栖地起着重要作用,但往往叶体脱离基质,形成大量浮游性海藻带。国内也在全南新安、济州岛沿岸发生了大量镐头帽斑浮游性油槽,不仅给养殖场带来了损失,还给海边带来了恶臭和景观损害等诸多问题(Hwang et al., 2016)。镐头帽斑在国内几乎不作为食品消费,因此大部分被废弃,但是最近为了提高镐头帽斑的利用性,进行了乙醇(Jung et al., 2017)、无机物供给源(Jun et al., 2011)、抗氧化活性(Boo et al., 2020)等多种研究。褐藻类含有大量的碳水化合物和灰分,特别是含有大量的水溶性多糖褐藻酸和胡桃丹,被用作食品添加剂和功能性食品材料(Koo et al., 1995)。alginsan的pre-biotic特性、自由拉迪卡尔消减作用等功能正在增强(Mazumder et al., 2016), hoocodan的宇越阳保护作用(Shibata et al., 1999;2003年)等,很有可能被用作海藻由来功能性材料。本研究为了研究在国内沿岸开采的镐头帽斑油的使用方案,调查了镐头帽斑的化学组成,并提取精制褐藻酸和胡科丹,调查了理化特性。从镐头帽斑中提取的多糖的理化特性
{"title":"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saccharides Purified from Brown Alga Sargassum horneri","authors":"J. Koo, Seong-sun Jeong","doi":"10.5657/KFAS.2020.0681","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0.0681","url":null,"abstract":"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ri)은 모자반과(Sargassaceae)에 속하는 1년생 갈조류로 국내 연안 및 일본과 중국 연안 에 널리 분포한다. 모자반은 해중림을 형성하여 수산 동물의 서 식지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나 종종 엽체가 기질에서 떨어져나와 다량의 부유성 모자반 띠를 형성한다. 국내에도 전 남 신안, 제주도 연안에 괭생이모자반 부유성 유조가 대량 발생 하여 양식장 피해뿐아니라 해변에 악취와 경관 피해를 유발하 는 등 많은 문제가 발생시켰다(Hwang et al., 2016). 괭생이모 자반은 국내에서 식품으로 소비가 거의 되지 않아 대부분 폐기 되고 있으나 최근 괭생이 모자반의 이용성을 높이기 위해 바이 오 에탄올(Jung et al., 2017), 무기질 공급원(Jun et al., 2011), 항산화 활성(Boo et al., 2020)에 관한 연구 등 다양한 연구가 수 행되었다. 갈조류에는 탄수화물과 회분이 많이 함유되어있고 특히 수용 성 다당인 알긴산과 후코이단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식품첨가 물과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Koo et al., 1995). 알 긴산은 pre-biotic 특성, 자유 라디칼 소거 작용 등 기능성이 보 고되고 있고(Mazumder et al., 2016), 후코이단은 위웨양 보호 작용(Shibata et al., 1999; 2003) 등이 보고되고 있어 해조 유래 기능성 소재로 활용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연안에 서 채취한 괭생이모자반 유조의 활용방안을 검토하기위해 괭생 이모자반의 화학적 조성을 조사하고 또한 알긴산과 후코이단을 추출 정제하여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ri)으로부터 추출한 다당의 이화학적 특성","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10 1","pages":"681-687"},"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6399062","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title":"Suppression of MCF-7 Human Breast Cancer Cell Proliferation by Globefish Takifugu obscurus Homogenate","authors":"Junghoon Kim, Junghoon Kim","doi":"10.5657/KFAS.2020.0878","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0.0878","url":null,"abstract":"","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19 1","pages":"878-885"},"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833458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김(Pyropia)은 식물분류학상 홍조식물문의 원시홍조강, 김목, 김과에 속하는 해조류로 우리나라에서는 연간 약 15,000만 속 이 생산되고 있다. 김은 미역, 다시마와 함께 대표적인 양식 생 산되는 해조류이며, 우리나라 외에도 일본, 중국 등 일부 아시 아 국가에서 양식되고 있다(Hwang and Park, 2020). 우리나 라에서 김 양식은 1600년대부터 시작되었고(Hwang and Park, 2020), 우리나라와 일본에 양식되고 있는 김의 대부분은 방사 무늬김(Pyropia yezoensis)으로 알려져 있다(Lee et al., 2019). 김은 영양학적으로 열량은 매우 낮으면서 비타민 A와 C, B1, B2 , E와 칼륨과 칼슘, 마그네슘, 인 등의 무기질,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비소화성의 점질성 다당류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필수 아미노산과 불포화지방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Kim et al., 2014; Jung et al., 2016). 김의 일반성분으로 탄수화물은 약 45%, 단백질은 약 40%, 지질성분은 약 1-3% 차지하고 있는 것 으로 알려져 있다(Hwang et al., 2013). 수용성 다당류 중 포피 란(porphyran)은 혈청과 간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추는 작용 이 보고되어 있다(He et al., 2019; Liu et al., 2019). 이러한 다양 한 영양소의 공급원으로 김은 국내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관 심이 고조되어 2019년 기준으로 26,951톤, 약 579,220천불의 수출액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현재 양식장에서 양식되고 있는 방사무늬김의 경우 대부분 일본 품종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2012년부터 해조류 분 야에서도 식물신품종제도(international union for the protection of new varieties of plants, UPOV)가 시행이 되어, 이에 대 비하여 다양한 국산 김 품종의 개발이 이루어졌다(Hwang et al., 2019; Hwang and Park, 2020). 김 품종의 개발을 위한 방 법으로는 선별, 교잡, 그리고 돌연변이 육종 등이 사용되고 있 다. 이 중에서 돌연변이 육종법은 김 엽체나 사상체에 물리적 또 는 화학적 돌연변이원을 처리한 후, 생존한 개체들 중에서 우 수한 특성을 갖는 돌연변이 종을 선별하는 방법이다. 최근 방 사무늬김에 ethyl methanesulfonate (EMS), 또는 감마선을 처 리하여 우수한 성장 특성을 지닌 돌연변이 방사무늬김이 보고 되었다(Lee and Choi, 2018; Park and Choi, 2020; Tran and Choi, 2020). 이 외에도 다양한 신 품종 김 종자들이 개발되어 방사선 돌연변이 방사무늬김(Pyropia yezoensis)의 성분 분석과 항산화 활성
Pyropia是植物分类学上属于红藻植物门的原始红藻纲、金目、金科的海藻类,在我国每年约生产15000万属。海藻类与海带、海带一起是典型的养殖产物,除韩国外,日本、中国等部分亚洲国家也养殖紫菜(Hwang and Park, 2020)。在我国,紫菜养殖始于1600年(Hwang and Park, 2020年),在韩国和日本养殖的紫菜大部分被称为Pyropia yezoensis (Lee et al., 2019)。金从营养的热量非常低,维生素a、c、b1、b2、e、钾和钙、镁、磷等无机物,具有丰富的膳食纤维,砷火星,并含有大量的分质性多糖,含有必需氨基酸和不饱和脂肪酸多(kim et al ., 2014;杨格et al ., 2016)。紫菜的一般成分,碳水化合物约占45%,蛋白质约占40%,脂质成分约占1-3% (Hwang et al. 2013)。在水溶性多糖中,porphyran有降低血清和肝脏胆固醇含量的作用(He et al., 2019;liu et al ., 2019)。由于各种营养素的供应源,紫菜不仅在国内,在世界范围内的关注度也达到了高潮,以2019年为准,紫菜的出口额达到了26951吨,约579,220千美元。但是,目前养殖场养殖的放射纹紫菜大部分都使用日本品种。从2012年开始,在海藻类的领域也实行了植物新品种制度(international union for the protection of new varieties of plants, UPOV),与此相比,开发了多种国产紫菜品种(Hwang et al., 2019;hwang and park, 2020)。作为开发紫菜品种的方法,正在使用筛选、杂交以及突变育种等。其中突变育种法是在金叶体或四象体上处理物理、化学突变源之后,在生存的个体中筛选具有优秀特性的突变种的方法。最近在芳草花纹上报告了ethyl methanesulfonate (EMS),或者是处理伽马射线,具有优秀成长特性的突变放射纹金(Lee and Choi, 2018;park and choi, 2020;tran and choi, 2020)。除此之外,还开发了多种新品种的紫菜种子,对放射线突变放射线纹紫菜的成分分析和抗氧化活性
{"title":"Amino Acid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utant Pyropia yezoensis","authors":"Jong-il Choi","doi":"10.5657/KFAS.2020.0524","DOIUrl":"https://doi.org/10.5657/KFAS.2020.0524","url":null,"abstract":"김(Pyropia)은 식물분류학상 홍조식물문의 원시홍조강, 김목, 김과에 속하는 해조류로 우리나라에서는 연간 약 15,000만 속 이 생산되고 있다. 김은 미역, 다시마와 함께 대표적인 양식 생 산되는 해조류이며, 우리나라 외에도 일본, 중국 등 일부 아시 아 국가에서 양식되고 있다(Hwang and Park, 2020). 우리나 라에서 김 양식은 1600년대부터 시작되었고(Hwang and Park, 2020), 우리나라와 일본에 양식되고 있는 김의 대부분은 방사 무늬김(Pyropia yezoensis)으로 알려져 있다(Lee et al., 2019). 김은 영양학적으로 열량은 매우 낮으면서 비타민 A와 C, B1, B2 , E와 칼륨과 칼슘, 마그네슘, 인 등의 무기질,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비소화성의 점질성 다당류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필수 아미노산과 불포화지방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Kim et al., 2014; Jung et al., 2016). 김의 일반성분으로 탄수화물은 약 45%, 단백질은 약 40%, 지질성분은 약 1-3% 차지하고 있는 것 으로 알려져 있다(Hwang et al., 2013). 수용성 다당류 중 포피 란(porphyran)은 혈청과 간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추는 작용 이 보고되어 있다(He et al., 2019; Liu et al., 2019). 이러한 다양 한 영양소의 공급원으로 김은 국내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관 심이 고조되어 2019년 기준으로 26,951톤, 약 579,220천불의 수출액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현재 양식장에서 양식되고 있는 방사무늬김의 경우 대부분 일본 품종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2012년부터 해조류 분 야에서도 식물신품종제도(international union for the protection of new varieties of plants, UPOV)가 시행이 되어, 이에 대 비하여 다양한 국산 김 품종의 개발이 이루어졌다(Hwang et al., 2019; Hwang and Park, 2020). 김 품종의 개발을 위한 방 법으로는 선별, 교잡, 그리고 돌연변이 육종 등이 사용되고 있 다. 이 중에서 돌연변이 육종법은 김 엽체나 사상체에 물리적 또 는 화학적 돌연변이원을 처리한 후, 생존한 개체들 중에서 우 수한 특성을 갖는 돌연변이 종을 선별하는 방법이다. 최근 방 사무늬김에 ethyl methanesulfonate (EMS), 또는 감마선을 처 리하여 우수한 성장 특성을 지닌 돌연변이 방사무늬김이 보고 되었다(Lee and Choi, 2018; Park and Choi, 2020; Tran and Choi, 2020). 이 외에도 다양한 신 품종 김 종자들이 개발되어 방사선 돌연변이 방사무늬김(Pyropia yezoensis)의 성분 분석과 항산화 활성","PeriodicalId":1791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volume":"115 1","pages":"524-529"},"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773259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