首页 > 最新文献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最新文献

英文 中文
Effects of Tinnitus Sound Therapy Depending on Stimulating Sound 刺激声治疗耳鸣的效果
Q3 Medicine Pub Date : 2020-10-31 DOI: 10.21848/asr.200070
Jeeun Yoo, Minseung Ku, Soon-Je Choi, In-Ki Jin
이명은 외부 소리의 자극과 무관하게 머리나 귀에서 대상자 가 무의식적으로 소리를 인식하는 증상을 말한다(Jastreboff, 1990). 이명은 보통 간헐적으로 발생하며 몇 분 내에 사라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까지 이명이 아닌 일시적 귀 울림과 병적 이명을 구별하는 기준은 연구자 및 관점에 따라 다양할 수 있지 만, 몇몇 학자들은 공통적으로 5분 이상 지속되는 이명을 병리학 적인 이명으로 제안했다(Coles, 1984; Dauman & Tyler, 1992). 이명의 유병률은 대상군과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 으로 성인 인구의 약 5~15%에서 지속적인 이명이 발생한다고 보 고하였다(Heller, 2003). 만성 이명은 어느 연령대에서나 발생할 수 있지만 젊은 성인(5%)보다 60세 이후 노인(12%) 인구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Eggermont & Roberts, 2004). 이명은 두통, 집중력 저하, 우울증 등을 동반할 수 있으 며 이러한 이차적인 영향으로 인하여 삶의 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Erlandsson & Hallberg, 2000). 이명의 치료 및 재활은 원인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지 만 원인의 제거로 직접적인 치료가 가능한 일부 체성(somatosensory) 이명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만성 이명은 이명의 관리 (management)를 통한 개선에 초점을 둔다(Kreuzer et al., 2013). 이명의 관리는 지각(perception)과 반응(reaction)의 개선으로 나눌 수 있다. 지각의 측면에서는 이명에 대한 인식을 감소(reduce awareness)시키는 것을 이명 관리의 목표로 한다. 지각은 소리치료(sound therapy)가 대표적으로 사용되는데 보청기 사 용, 음악청취, 차폐(masking), 소리강화(sound enrichment) 등 의 방법으로 이명의 관리가 주로 이루어진다(Henry et al., 2017). 반응의 측면에서는 부정적 반응을 감소(reduce negative response)시키는 것을 이명 관리의 주요한 목표로 한다(Henry et al., 2010). 반응은 교육과 상담으로 이명 관리가 이루어지는데 대표적으로 정보 상담(informational counselling), 자가 관리 교육(self-management skills education),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이명을 관 리한다. 소리를 활용한 이명소리치료 효과를 언급한 최초의 문헌은 Effects of Tinnitus Sound Therapy Depending on Stimulating Sound Jeeun Yoo, Minseung Ku, Soon-Je Choi, In-Ki Jin Department of Speech Pathology and Audiology, Graduate School, Hallym University, Chuncheon, Korea Division of Speech Pathology and Audiology, Research Institute of Audiology and Speech Path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s, Hallym University, Chuncheon, Korea
耳鸣是指与外界声音的刺激无关,对象在头部或耳朵上无意识地认识声音的症状(Jastreboff, 1990)。耳鸣通常是间歇性的,通常在几分钟内消失。到目前为止,根据研究者和观点的不同,区分暂时性耳鸣和病态耳鸣的标准可能是多种多样的,但一些学者提出将持续5分钟以上的耳鸣作为病理学耳鸣(Coles, 1984;dauman & tyler, 1992)。虽然异位性耳鸣的发病率随人群和地区而有所差异,但一般来说,约5%至15%的成年人口会持续发生耳鸣(Heller, 2003)。慢性耳鸣在任何年龄段都有可能发生,但据悉,60岁以后的老人(12%)人口比年轻成年人(5%)发生得更多(Eggermont & Roberts, 2004)。耳鸣会伴有头痛、注意力不集中、忧郁症等症状,这些次要的影响会导致生活质量的下降(Erlandsson & Hallberg, 2000)。虽然耳鸣的治疗和康复可以根据不同的原因进行多种治疗,但除了一些可直接治疗的体性耳鸣(somatosensory)外,大部分慢性耳鸣都注重通过耳鸣管理(management)的改善(Kreuzer et al., 2013)。黎明的管理可分为知觉(perception)和反应(reaction)的改善。在知觉方面,耳鸣管理的目标是减少(reduce awareness)对耳鸣的认识。知觉的代表性应用是声音治疗(sound therapy),主要通过助听器、听音乐、屏蔽(masking)、声音强化(sound enrichment)等方法来管理耳鸣(Henry et al., 2017)。在反应方面,耳鸣管理的主要目标是减少负面反应(Henry et al., 2010)。反应是通过教育和咨询来实现耳鸣管理,其中最具代表性的是使用信息咨询(informational counselling)、自我管理教育(self-management skills education)、认知行为治疗(cognitive behavioral therapy)等方法来管理耳鸣。最早提到耳鸣声音治疗效果的文献是Effects of Tinnitus Sound Therapy Depending on Stimulating Sound Jeeun Yoo, Minseung Ku, Soon-Je Choi, In-Ki Jin Department of Speech Pathology and Audiology;Graduate School, Hallym University, Chuncheon, Korea Division of Speech Pathology and Audiology, Research Institute of Audiology and Speech Path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s, Hallym University;chuncheon, korea
{"title":"Effects of Tinnitus Sound Therapy Depending on Stimulating Sound","authors":"Jeeun Yoo, Minseung Ku, Soon-Je Choi, In-Ki Jin","doi":"10.21848/asr.200070","DOIUrl":"https://doi.org/10.21848/asr.200070","url":null,"abstract":"이명은 외부 소리의 자극과 무관하게 머리나 귀에서 대상자 가 무의식적으로 소리를 인식하는 증상을 말한다(Jastreboff, 1990). 이명은 보통 간헐적으로 발생하며 몇 분 내에 사라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까지 이명이 아닌 일시적 귀 울림과 병적 이명을 구별하는 기준은 연구자 및 관점에 따라 다양할 수 있지 만, 몇몇 학자들은 공통적으로 5분 이상 지속되는 이명을 병리학 적인 이명으로 제안했다(Coles, 1984; Dauman & Tyler, 1992). 이명의 유병률은 대상군과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 으로 성인 인구의 약 5~15%에서 지속적인 이명이 발생한다고 보 고하였다(Heller, 2003). 만성 이명은 어느 연령대에서나 발생할 수 있지만 젊은 성인(5%)보다 60세 이후 노인(12%) 인구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Eggermont & Roberts, 2004). 이명은 두통, 집중력 저하, 우울증 등을 동반할 수 있으 며 이러한 이차적인 영향으로 인하여 삶의 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Erlandsson & Hallberg, 2000). 이명의 치료 및 재활은 원인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지 만 원인의 제거로 직접적인 치료가 가능한 일부 체성(somatosensory) 이명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만성 이명은 이명의 관리 (management)를 통한 개선에 초점을 둔다(Kreuzer et al., 2013). 이명의 관리는 지각(perception)과 반응(reaction)의 개선으로 나눌 수 있다. 지각의 측면에서는 이명에 대한 인식을 감소(reduce awareness)시키는 것을 이명 관리의 목표로 한다. 지각은 소리치료(sound therapy)가 대표적으로 사용되는데 보청기 사 용, 음악청취, 차폐(masking), 소리강화(sound enrichment) 등 의 방법으로 이명의 관리가 주로 이루어진다(Henry et al., 2017). 반응의 측면에서는 부정적 반응을 감소(reduce negative response)시키는 것을 이명 관리의 주요한 목표로 한다(Henry et al., 2010). 반응은 교육과 상담으로 이명 관리가 이루어지는데 대표적으로 정보 상담(informational counselling), 자가 관리 교육(self-management skills education),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이명을 관 리한다. 소리를 활용한 이명소리치료 효과를 언급한 최초의 문헌은 Effects of Tinnitus Sound Therapy Depending on Stimulating Sound Jeeun Yoo, Minseung Ku, Soon-Je Choi, In-Ki Jin Department of Speech Pathology and Audiology, Graduate School, Hallym University, Chuncheon, Korea Division of Speech Pathology and Audiology, Research Institute of Audiology and Speech Path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s, Hallym University, Chuncheon, Korea","PeriodicalId":36841,"journal":{"name":"Audiology and Speech Research","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7189014","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Qualitative Analysis for Major in Speech Therapy and Auditory Rehabilitation and Working Experience in Clinical Field 言语治疗与听觉康复专业的定性分析及临床工作经验
Q3 Medicine Pub Date : 2020-10-31 DOI: 10.21848/asr.200065
Ji Youn Kim, Soo Bok Lee, P. Thak
언어를 사용한 의사소통은 인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매 우 필요하며, 청각은 언어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의사소통에 필 수적이다. 그리하여 의사소통에 문제가 있는 의사소통장애는 크게 언어치료와 청각재활이라는 두 개의 전문적 영역으로 나 눌 수 있다. 언어재활사는 생애 중 발생할 수 있는 의사소통문 제, 즉 언어와 말에 어려움이 있는 대상자들의 진단 및 재활을 담당하는 전문가를 말하며, 청능사는 난청인의 특성을 고려하 여 청각 기능의 평가와 재활을 담당하는 전문가를 말한다. 언 어치료와 청각재활 분야는 모두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가진 사 람들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재활전문가이고 우리 사 회가 교육, 복지, 재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두 분야의 전문 영역은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언어재활사와 청능사는 언어치료와 청각재활 관련 학위를 취득한 후 자격증 시험에 합격하면 의사소통장애를 가진 사람 들을 돕는 전문가로서 일하게 된다. 언어치료는 1988년 국내에 학과 과정이 개설되었고 1992년부터 민간자격증 형태로 운영되 다가 2012년 장애인복지법에 근거하여 언어재활사 국가자격증 으로 전환되었다(Chang et al., 2018). 청능재활은 우리나라에 1997년 청각학 교육과정이 도입된 이래 1998년 청각학 석사과 정이 개설되었고, 2002년부터 청능사 시험을 실시하고 있다. 언 어재활사와 청능사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 현재 전국에 50개 (Kim et al., 2018)의 언어치료 관련 학과가 있고 6개(2020년 7월 청각학교수협의회 등록 기준)의 청능재활 관련 학과가 운영 중 이다. 청능재활을 운영하는 학과들은 대부분 언어재활사와 청 능사를 동시에 준비하도록 학과를 운영하고 있다. 언어치료청각재활학과 졸업생들은 언어재활사로 종합병원, 개인병원, 복지관, 어린이집 등 보육시설, 특수학교, 교육청 등 의 교육기관, 다문화 가정지원센터, 노인 및 재활병원이나 시설 등에서 근무하거나 청능재활센터, 종합병원이나 개인병원, 연 구소, 클리닉, 보청기 제조사나 인공와우 제조사 등에서 청능 사로 일할 수 있게 된다. 언어치료와 청능재활은 전문화된 직종 으로 다양한 임상 현장에서 일할 기회가 주어지며, 임상 현장 의 여러 요소들이 직무 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언어재활 사 국가자격증 도입 이후 국내에서 언어재활사의 직무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으나, 청능사의 직무와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언어치료와 청능재활 두 개 의 전공을 이수하고 현장에 취업해 있는 언어재활사나 청능사 Qualitative Analysis for Major in Speech Therapy and Auditory Rehabilitation and Working Experience in Clinical Field
使用语言的沟通在人类的社会相互作用中是非常必要的,听觉与语言密切相关,是沟通的必要条件。因此,沟通有问题的沟通障碍可大致分为语言治疗和听觉康复两个专业领域。语言康复师是指一生中可能发生的沟通问题,即,负责对语言和语言有困难的对象进行诊断及康复的专家。听力大师是指,考虑到听力障碍人的特性,负责评价听觉功能和康复的专家。语言治疗和听觉康复领域都是以在沟通上有困难的人为对象提供服务的康复专家,随着我们社会对教育、福利、康复的关心的提高,两个领域的专门领域正在逐渐扩大。语言康复师和听力康复师在获得语言治疗和听觉康复相关学位后,如果通过资格证考试,就将成为帮助有沟通障碍的人的专家。语言治疗于1988年在韩国开设了专业课程,从1992年开始以民间资格证的形式运营,2012年根据残疾人福利法转换为语言康复师国家资格证(Chang et al., 2018)。韩国自1997年引进听觉学教育课程以来,1998年开设了听觉学硕士课程,并从2002年开始实施听力师考试。为了取得语言康复师和听力师资格证,目前在全国有50个(Kim et al., 2018)语言治疗相关学科,有6个(2020年7月听觉学教授协会注册标准)听力康复相关学科正在运营中。运营听力技能活动的学科大部分同时准备语言康复师和听力技能师。语言听觉康复学科毕业生在语言康复治疗公司综合医院、私立医院、福利院、幼儿园等保育设施、特殊学校、教育厅等教育机构,多文化家庭支援中心,老人及康复医院或设施等工作或在厅능재弓中心、综合医院或私人诊所、研究牛、诊所、制造或人工wow助听器制造商等地日青陵公司就可以。语言治疗和听力康复是专业化的职业,可以给人在多样的临床现场工作的机会,临床现场的各种要素会对执行职务产生影响。引进语言康复师国家资格证后,国内对语言康复师的职务进行了研究,但对听力师的职务和压力的研究几乎没有进行。学习语言治疗和听力康复两个专业后在现场就业的语言康复师或听力师Qualitative Analysis for Major in Speech Therapy and Auditory Rehabilitation and Working Experience in Clinical Field
{"title":"Qualitative Analysis for Major in Speech Therapy and Auditory Rehabilitation and Working Experience in Clinical Field","authors":"Ji Youn Kim, Soo Bok Lee, P. Thak","doi":"10.21848/asr.200065","DOIUrl":"https://doi.org/10.21848/asr.200065","url":null,"abstract":"언어를 사용한 의사소통은 인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매 우 필요하며, 청각은 언어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의사소통에 필 수적이다. 그리하여 의사소통에 문제가 있는 의사소통장애는 크게 언어치료와 청각재활이라는 두 개의 전문적 영역으로 나 눌 수 있다. 언어재활사는 생애 중 발생할 수 있는 의사소통문 제, 즉 언어와 말에 어려움이 있는 대상자들의 진단 및 재활을 담당하는 전문가를 말하며, 청능사는 난청인의 특성을 고려하 여 청각 기능의 평가와 재활을 담당하는 전문가를 말한다. 언 어치료와 청각재활 분야는 모두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가진 사 람들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재활전문가이고 우리 사 회가 교육, 복지, 재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두 분야의 전문 영역은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언어재활사와 청능사는 언어치료와 청각재활 관련 학위를 취득한 후 자격증 시험에 합격하면 의사소통장애를 가진 사람 들을 돕는 전문가로서 일하게 된다. 언어치료는 1988년 국내에 학과 과정이 개설되었고 1992년부터 민간자격증 형태로 운영되 다가 2012년 장애인복지법에 근거하여 언어재활사 국가자격증 으로 전환되었다(Chang et al., 2018). 청능재활은 우리나라에 1997년 청각학 교육과정이 도입된 이래 1998년 청각학 석사과 정이 개설되었고, 2002년부터 청능사 시험을 실시하고 있다. 언 어재활사와 청능사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 현재 전국에 50개 (Kim et al., 2018)의 언어치료 관련 학과가 있고 6개(2020년 7월 청각학교수협의회 등록 기준)의 청능재활 관련 학과가 운영 중 이다. 청능재활을 운영하는 학과들은 대부분 언어재활사와 청 능사를 동시에 준비하도록 학과를 운영하고 있다. 언어치료청각재활학과 졸업생들은 언어재활사로 종합병원, 개인병원, 복지관, 어린이집 등 보육시설, 특수학교, 교육청 등 의 교육기관, 다문화 가정지원센터, 노인 및 재활병원이나 시설 등에서 근무하거나 청능재활센터, 종합병원이나 개인병원, 연 구소, 클리닉, 보청기 제조사나 인공와우 제조사 등에서 청능 사로 일할 수 있게 된다. 언어치료와 청능재활은 전문화된 직종 으로 다양한 임상 현장에서 일할 기회가 주어지며, 임상 현장 의 여러 요소들이 직무 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언어재활 사 국가자격증 도입 이후 국내에서 언어재활사의 직무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으나, 청능사의 직무와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언어치료와 청능재활 두 개 의 전공을 이수하고 현장에 취업해 있는 언어재활사나 청능사 Qualitative Analysis for Major in Speech Therapy and Auditory Rehabilitation and Working Experience in Clinical Field","PeriodicalId":36841,"journal":{"name":"Audiology and Speech Research","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9724230","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Cognitive-Communicative Predictors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轻度认知障碍的认知-交际预测因子:系统综述和荟萃分析
Q3 Medicine Pub Date : 2020-10-31 DOI: 10.21848/asr.200056
M. S. Lee
Correspondence: Mi Sook Lee, PhD Department of Audiology & SpeechLanguage Pathology, Hallym University of Graduate Studies, 427 Yeoksam-ro, Gangnam-gu, Seoul 06197, Korea Tel: +82-70-8680-6961 Fax: +82-2-3453-6618 E-mail: mslee2018@hallym.ac.kr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is the preclinical stage and sign of dementia. It is also important for guidance in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neurological dis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literatures on cognitive/communicative and other predictors of MCI patients systematically, and to propose the evidence-based data including effect sizes of them using a meta-analysis method. Fifty-seven researches published since 2010, meeting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were entered into the analysis. They were analyzed in a methodological and content level, and the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by 3 predictors. Predictive values were pooled from cognitive (10 domains), communicative (9 domains), and other (3 domains).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general target population for studies was older adults over the age of 55, and most studies included at least 2 types of predictors. Secondly, average effect sizes of 3 predictors in MCI were all significant. Thirdly, cognitive predictors like memory and general cognition had significant and high-level effect sizes. Fourthly, communicative predictors including comprehension and word fluency had moderate-level effect sizes significantly. Lastly, all demographic and neuropsychological (age, education, depression) predictors had significant and moderate-level effect sizes. Our results provide the evidence-based information to predict MCI. Especially, specific cognitive and communicative predictors may contribute to increase the diagnostic and prognostic accuracy in MCI. This study is also expected to present clinically available data and increase the effect in intervention for MCI.
通信:Mi Sook Lee,博士,翰林大学研究生听科学和语言病理学系,427 yeoksamo,首尔江南区,06197,韩国电话:+82-70-8680-6961传真:+82-2-3453-6618 E-mail: mslee2018@hallym.ac.kr轻度认知障碍(MCI)是痴呆症的临床前阶段和症状。对神经系统疾病的预防和干预也具有重要的指导意义。本研究的目的是系统地回顾MCI患者认知/交际及其他预测因素的文献,并采用meta分析方法提出包括效应量在内的循证数据。自2010年以来发表的57项符合纳入和排除标准的研究被纳入分析。在方法和内容水平上对它们进行分析,并通过3个预测因子计算效应量。预测值来自认知(10个领域)、交际(9个领域)和其他(3个领域)。主要研究结果如下:首先,研究的一般目标人群是55岁以上的老年人,大多数研究至少包括2种预测因子。其次,3个预测因子在轻度认知障碍中的平均效应量均显著。第三,认知预测因子如记忆和一般认知具有显著和高水平的效应量。第四,交际预测因子理解能力和语言流畅性具有中等水平的显著效应。最后,所有人口统计学和神经心理学(年龄、教育、抑郁)预测因子都具有显著和中等水平的效应量。我们的研究结果为预测轻度认知损伤提供了循证信息。特别是,特定的认知和交际预测因素可能有助于提高MCI的诊断和预后准确性。本研究也有望提供临床可用的数据,并提高干预MCI的效果。
{"title":"Cognitive-Communicative Predictors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authors":"M. S. Lee","doi":"10.21848/asr.200056","DOIUrl":"https://doi.org/10.21848/asr.200056","url":null,"abstract":"Correspondence: Mi Sook Lee, PhD Department of Audiology & SpeechLanguage Pathology, Hallym University of Graduate Studies, 427 Yeoksam-ro, Gangnam-gu, Seoul 06197, Korea Tel: +82-70-8680-6961 Fax: +82-2-3453-6618 E-mail: mslee2018@hallym.ac.kr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is the preclinical stage and sign of dementia. It is also important for guidance in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neurological dis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literatures on cognitive/communicative and other predictors of MCI patients systematically, and to propose the evidence-based data including effect sizes of them using a meta-analysis method. Fifty-seven researches published since 2010, meeting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were entered into the analysis. They were analyzed in a methodological and content level, and the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by 3 predictors. Predictive values were pooled from cognitive (10 domains), communicative (9 domains), and other (3 domains).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general target population for studies was older adults over the age of 55, and most studies included at least 2 types of predictors. Secondly, average effect sizes of 3 predictors in MCI were all significant. Thirdly, cognitive predictors like memory and general cognition had significant and high-level effect sizes. Fourthly, communicative predictors including comprehension and word fluency had moderate-level effect sizes significantly. Lastly, all demographic and neuropsychological (age, education, depression) predictors had significant and moderate-level effect sizes. Our results provide the evidence-based information to predict MCI. Especially, specific cognitive and communicative predictors may contribute to increase the diagnostic and prognostic accuracy in MCI. This study is also expected to present clinically available data and increase the effect in intervention for MCI.","PeriodicalId":36841,"journal":{"name":"Audiology and Speech Research","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826888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Word-Finding Behaviors of Discourse Production Task in Healthy Elderly Adults 健康老年人话语生成任务的找词行为
Q3 Medicine Pub Date : 2020-10-31 DOI: 10.21848/asr.200064
Hyunjoo Choi
노화로 인한 인지기능 저하는 노인들의 이름대기 능력에 손 상을 주며, 이러한 이름대기 능력의 저하는 노년층을 대상으로 한 언어장애 연구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Kim & Kim, 2009). 노화로 인한 이름대기 능력의 변화는 작업기억(working memory)과 주의력(attention)의 저하, 처리 효율성(processing efficiency)의 감소로 인한 정보 인출의 어려움 등이 원인인 것 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노화로 인한 이름대기의 어려움과 관련된 연구들은 대면이름대기(confrontational naming)나 구어 유창성(verbal fluency) 과제와 같이 단어 인출 능력을 평가한 연 구들이 대부분이다(Bruda, 2010; Kim & Kim, 2009). 이러한 과제 중 사물이나 그림을 보고 해당 사물의 이름을 말하는 대면 이름대기 검사는 가장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Schmitter-Edgecombe et al., 2000), 이러한 과제로 평가한 연구들의 결과는 노 화로 인해 이름대기 능력이 저하된다는 연구와 보존된다는 연 구가 혼재한다(Choi, 2014). 이렇듯 노인들의 대면이름대기 수 행에 관련된 연구 결과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이유는 연구마다 교육년수, 연령에 따른 목표 어휘의 친숙성(familiarity) 등에 차이가 있으며, 이러한 변수들이 이름대기 수행에 영향을 미치 기 때문이다(Schmitter-Edgecombe et al., 2000). 실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표준화된 대면이름대기 검사인 The Boston Naming Test (Kaplan et al., 1983) 수행의 종단연구 결과 노년 층의 경우 10년마다 약 2%씩 이름대기 능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onnor et al., 2004). 그러나 이러한 대면이름대기 검사들은 연령에 따른 정확도가 제한적이며(Mortensen et al., 2006), 고학력자들의 경우 이러한 검사들의 민감도가 낮은 것 으로 알려져 있다(Connor et al., 2004). 다음으로 구어 유창성 검사는 어휘목록(lexicon)과 의미기억에 있는 정보를 전략적으 로 탐색, 인출하는 능력을 알아보는 검사로, 주어진 시간(주로 1분)안에 특정 의미 범주(semantic category)와 특정 음소 (phoneme)로 시작되는 어휘를 산출하게 하는 과제이다(Baldo et al., 2006). 노년층의 구어 유창성 과제 수행 능력은 의미기억 및 인지처리과정의 효율성 저하로 인하여 제한된다고 알려져 있다(Kang et al., 2000). Word-Finding Behaviors of Discourse Production Task in Healthy Elderly Adults
因老化引起的认知功能低下会给老人等待姓名的能力造成损伤,这种等待姓名的能力低下在以老年层为对象的语言障碍研究中占最大比重(Kim & Kim, 2009)。据悉,老化导致等待姓名能力的变化的原因是,工作记忆(working memory)和注意力(attention)的下降、处理效率(processing efficiency)的减少导致信息提取困难等。到目前为止,有关姓名代起困难的研究大部分是评价单词提取能力的研究,如“等待当面姓名(confrontational naming)”或“口语刘长成(verbal fluency)”课题(Bruda, 2010;kim & kim, 2009)。在这些课题中,对事物或图片进行面对面等待检查(Schmitter-Edgecombe et al., 2000)的研究结果显示,由于老化,等待姓名的能力下降的研究和保存的研究混合在一起(Choi, 2014)。老年人面对面等待姓名的研究结果之所以不一致,是因为每个研究在根据教育年数、年龄的目标词汇的熟悉性(familiarity)等方面都有差异,而且这些变数会对等待姓名的执行产生影响(Schmitter-Edgecombe et al., 2000)。实际上,最常用的标准化面对面姓名等待检查“The Boston Naming Test”(Kaplan et al., 1983)的纵向研究结果显示,老年人每10年等待姓名的能力约减少2% (Connor et al., 2004)。然而,这些面对面的检查根据年龄的不同准确度是有限的(Mortensen et al., 2006),高学历者对这些检查的敏感度较低(Connor et al., 2004)。其次,口语的有效性检查是战略性地探索词汇目录(lexicon)和语义记忆中的信息、提取能力的检查,是在指定的时间(主要是1分钟)内,计算以特定语义范畴(semantic category)和特定音素(phoneme)开始的词汇的课题(Baldo et al., 2006)。老年层的口语流利性课题执行能力因语义记忆及认知处理过程的效率低下而受到限制(Kang et al., 2000)。Word-Finding Behaviors of Discourse Production Task in Healthy Elderly Adults
{"title":"Word-Finding Behaviors of Discourse Production Task in Healthy Elderly Adults","authors":"Hyunjoo Choi","doi":"10.21848/asr.200064","DOIUrl":"https://doi.org/10.21848/asr.200064","url":null,"abstract":"노화로 인한 인지기능 저하는 노인들의 이름대기 능력에 손 상을 주며, 이러한 이름대기 능력의 저하는 노년층을 대상으로 한 언어장애 연구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Kim & Kim, 2009). 노화로 인한 이름대기 능력의 변화는 작업기억(working memory)과 주의력(attention)의 저하, 처리 효율성(processing efficiency)의 감소로 인한 정보 인출의 어려움 등이 원인인 것 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노화로 인한 이름대기의 어려움과 관련된 연구들은 대면이름대기(confrontational naming)나 구어 유창성(verbal fluency) 과제와 같이 단어 인출 능력을 평가한 연 구들이 대부분이다(Bruda, 2010; Kim & Kim, 2009). 이러한 과제 중 사물이나 그림을 보고 해당 사물의 이름을 말하는 대면 이름대기 검사는 가장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Schmitter-Edgecombe et al., 2000), 이러한 과제로 평가한 연구들의 결과는 노 화로 인해 이름대기 능력이 저하된다는 연구와 보존된다는 연 구가 혼재한다(Choi, 2014). 이렇듯 노인들의 대면이름대기 수 행에 관련된 연구 결과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이유는 연구마다 교육년수, 연령에 따른 목표 어휘의 친숙성(familiarity) 등에 차이가 있으며, 이러한 변수들이 이름대기 수행에 영향을 미치 기 때문이다(Schmitter-Edgecombe et al., 2000). 실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표준화된 대면이름대기 검사인 The Boston Naming Test (Kaplan et al., 1983) 수행의 종단연구 결과 노년 층의 경우 10년마다 약 2%씩 이름대기 능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onnor et al., 2004). 그러나 이러한 대면이름대기 검사들은 연령에 따른 정확도가 제한적이며(Mortensen et al., 2006), 고학력자들의 경우 이러한 검사들의 민감도가 낮은 것 으로 알려져 있다(Connor et al., 2004). 다음으로 구어 유창성 검사는 어휘목록(lexicon)과 의미기억에 있는 정보를 전략적으 로 탐색, 인출하는 능력을 알아보는 검사로, 주어진 시간(주로 1분)안에 특정 의미 범주(semantic category)와 특정 음소 (phoneme)로 시작되는 어휘를 산출하게 하는 과제이다(Baldo et al., 2006). 노년층의 구어 유창성 과제 수행 능력은 의미기억 및 인지처리과정의 효율성 저하로 인하여 제한된다고 알려져 있다(Kang et al., 2000). Word-Finding Behaviors of Discourse Production Task in Healthy Elderly Adults","PeriodicalId":36841,"journal":{"name":"Audiology and Speech Research","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715251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2
Comparison of Aerodynamic Characteristics During Reading Paragraph Tasks in Normal Male and Female Adults 正常成年男女阅读段落任务的气动特性比较
Q3 Medicine Pub Date : 2020-10-31 DOI: 10.21848/asr.200062
H. Pyo
Ferrand(2012)는 음성장애 환자를 평가할 때 언어재활사 (speech language pathologist, SLP)는 다양한 방법으로 음성 의 음도, 강도, 음질 특징을 평가하고 다양한 상황의 음성산출 방법이나 습관 등을 평가하며 이비인후과 의사는 내시경을 이 용하여 환자의 성대 및 후두를 검사함으로써 후두의 구조적 병 리 혹은 기능의 문제를 발견한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음성장 애 환자의 음성 평가에 있어 주로 SLP는 음성과 음성산출에, 의사는 성대 해부생리의 병리적 측면에 초점을 맞춘다. 이를 위 해 SLP는 음향적 평가, 공기역학적 평가, 성대진동 검사 등의 기기적 평가와 청지각적 평가를 통해 환자의 음성 상태를 확인 하고 음성산출의 정상성 여부를 판단한다. 공기역학적 평가는 발화 시 적절한 호흡지지가 이루어지는 시간과 정도를 파악하여 편안한 음성산출을 어느 정도 유지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시행된다. 발화 시 호흡지지는 음성산출 방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공기역학적 평가는 환자 의 음성 특성뿐 아니라 평소의 음성산출 습관을 파악하는 데 도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음성산출과 관련된 해부생리학적 특징의 단서도 제공한다(Goozée et al., 1998; Schaeffer, 2017). 이 때문에 공기역학적 평가는 음성의 기기적 평가 시 기본적으 로 사용하는 평가방법 중 하나이다. 공기역학적 평가와 같은 기기적 평가를 시행할 때 어떤 과제 를 사용하여 어떤 음성샘플을 분석자료로 사용할 것인가는 Gerratt et al.(2016)이 언급한 것처럼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 는 주제이며, 쉽게 결정할 수 없는 난제 중 하나이다. 특히 기기 를 이용한 평가는 기기가 분석할 수 있는 범위에 맞춰 음성샘 플을 취해야 하므로 평가자가 임의로 음성샘플을 선정할 수 없 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과거에는 대부분의 음성분석기기가 연 장모음 산출을 분석재료로 하였다. 유도하기 쉽고 인접한 음소 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장점 때문에 널리 선호되어왔으나(Gerratt et al., 2016) 일상생활에서 연장모음을 산출할 일이 흔하지 않 은 만큼 항상 일상생활 시 음성사용과의 괴리가 문제점으로 지 적되었다. Maryn & Roy(2012)도 숙련된 청취자로 하여금 39명 의 음성장애 환자의 연장모음과 연속발화에 대한 음성문제의 중증도를 평정하도록 한 결과 같은 화자의 발화여도 연장모음 의 중증도를 연속발화보다 더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평정했다 Comparison of Aerodynamic Characteristics During Reading Paragraph Tasks in Normal Male and Female Adults
Ferrand(2012)是一名语言康复师(英语:speech language pathologist, SLP),在评估语音障碍患者时,可以用多种方法来评估语音的音度、强度、评价音质特征,评价多种情况的声音计算方法或习惯等,耳鼻喉科医生利用内窥镜检查患者的声带及喉,发现喉的结构性病理或功能问题。像这样,在对声音障碍患者的声音评价上,SLP主要是将焦点放在声音和声音的计算上,医生则是将焦点放在声带解剖生理的病理方面。为此,SLP通过音响性评价、空气力学性评价、声带振动检查等机器性评价和听觉性评价,确认患者的声音状态,并判断声音计算是否正常。空气力学评价是为了掌握发火时适当的呼吸支持的时间和程度,来维持舒适的声音产出。发火时呼吸支持对声音计算方法有重要影响,因此空气力学评价不仅对患者的声音特性提供重要信息,还对掌握平时的声音计算习惯提供重要信息,并提供与声音计算相关的解剖生理学特征的线索(Goozee et al., 1998;schaeffer, 2017)。因此,空气力学评价是对声音进行机器评价时基本使用的评价方法之一。在实施空气动力学评估等机械评估时,使用哪些课题,使用哪些声音样本作为分析数据,正如Gerratt et al.(2016)所提到的,仍然是一个有争议的主题,也是一个难以轻易决定的难题。特别是,利用机器进行评价时,应根据机器能够分析的范围,采用声音样本,因此评价者不能任意选择声音样本。在过去,大部分语音分析仪器都是以延长线发出音为分析材料。由于其易于诱导和不受邻近音素的影响而受到广泛的欢迎(Gerratt et al., 2016),在日常生活中计算延长母音的事情并不多见,因此与日常生活中使用声音的背离成为了问题。Maryn & Roy(2012)也让熟练的听众对39名声音障碍患者的延长元音和连续发火的声音问题的严重程度进行了评估,结果将同样说话者的延长元音的严重程度评定为比连续发火问题更严重的Comparison of Aerodynamic Characteristics During Reading ParagraphTasks in Normal Male and Female Adults
{"title":"Comparison of Aerodynamic Characteristics During Reading Paragraph Tasks in Normal Male and Female Adults","authors":"H. Pyo","doi":"10.21848/asr.200062","DOIUrl":"https://doi.org/10.21848/asr.200062","url":null,"abstract":"Ferrand(2012)는 음성장애 환자를 평가할 때 언어재활사 (speech language pathologist, SLP)는 다양한 방법으로 음성 의 음도, 강도, 음질 특징을 평가하고 다양한 상황의 음성산출 방법이나 습관 등을 평가하며 이비인후과 의사는 내시경을 이 용하여 환자의 성대 및 후두를 검사함으로써 후두의 구조적 병 리 혹은 기능의 문제를 발견한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음성장 애 환자의 음성 평가에 있어 주로 SLP는 음성과 음성산출에, 의사는 성대 해부생리의 병리적 측면에 초점을 맞춘다. 이를 위 해 SLP는 음향적 평가, 공기역학적 평가, 성대진동 검사 등의 기기적 평가와 청지각적 평가를 통해 환자의 음성 상태를 확인 하고 음성산출의 정상성 여부를 판단한다. 공기역학적 평가는 발화 시 적절한 호흡지지가 이루어지는 시간과 정도를 파악하여 편안한 음성산출을 어느 정도 유지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시행된다. 발화 시 호흡지지는 음성산출 방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공기역학적 평가는 환자 의 음성 특성뿐 아니라 평소의 음성산출 습관을 파악하는 데 도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음성산출과 관련된 해부생리학적 특징의 단서도 제공한다(Goozée et al., 1998; Schaeffer, 2017). 이 때문에 공기역학적 평가는 음성의 기기적 평가 시 기본적으 로 사용하는 평가방법 중 하나이다. 공기역학적 평가와 같은 기기적 평가를 시행할 때 어떤 과제 를 사용하여 어떤 음성샘플을 분석자료로 사용할 것인가는 Gerratt et al.(2016)이 언급한 것처럼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 는 주제이며, 쉽게 결정할 수 없는 난제 중 하나이다. 특히 기기 를 이용한 평가는 기기가 분석할 수 있는 범위에 맞춰 음성샘 플을 취해야 하므로 평가자가 임의로 음성샘플을 선정할 수 없 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과거에는 대부분의 음성분석기기가 연 장모음 산출을 분석재료로 하였다. 유도하기 쉽고 인접한 음소 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장점 때문에 널리 선호되어왔으나(Gerratt et al., 2016) 일상생활에서 연장모음을 산출할 일이 흔하지 않 은 만큼 항상 일상생활 시 음성사용과의 괴리가 문제점으로 지 적되었다. Maryn & Roy(2012)도 숙련된 청취자로 하여금 39명 의 음성장애 환자의 연장모음과 연속발화에 대한 음성문제의 중증도를 평정하도록 한 결과 같은 화자의 발화여도 연장모음 의 중증도를 연속발화보다 더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평정했다 Comparison of Aerodynamic Characteristics During Reading Paragraph Tasks in Normal Male and Female Adults","PeriodicalId":36841,"journal":{"name":"Audiology and Speech Research","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248624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of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学龄前口吃儿童的气质特征
Q3 Medicine Pub Date : 2020-10-31 DOI: 10.21848/asr.200052
Eun-ae Lee, Seong Hee Choi, Chul-Hee Choi, Kyungjae Lee
말더듬은 선천적 요인, 환경적 요인, 발달적 요인 등의 상호작 용으로 발생하는 다면적인 장애이다(Guitar, 2014; Manning, 2010). 이러한 말더듬의 발생과 진전에 영향을 미치는 선천적인 요인 중의 하나로 기질(temperament)이 제시되었다(Anderson et al., 2003). 기질이란 생의 초기부터 보이는 개인의 특성으로 한 개인의 행동 양식과 정서적 반응을 의미하며, 사회적 상황 에 따라 반응하고 대처하는 기제이다(Rothbart & Derryberry, 1981). 이와 관련하여 Riley & Riley(2000)는 말더듬아동의 진 단에 관한 포괄적인 시각을 포함한 수정된 구성모델(revised component model, RCM)을 제시하였다. 수정된 구성 모델에 따르면 말더듬과 관련있다고 생각되는 요인은 크게 세 가지 구 성요소, 즉 신체적 특질, 기질적 요인, 청자의 반응이며 이러한 다면적 특성이 말더듬 발생 및 발전에 종합적으로 영향을 끼친 다. 특히 기질적 요인으로는 높은 자기 기대와 과도한 민감성이 제시되었으며 대략적으로 40~60%의 아동이 이러한 기질적 요 인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기질적 특성이 관 찰되는 경우에는 임상가는 아동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며 아 동의 경험 등을 같이 이야기하는 접근법을 사용할 수 있다고 제시되었다. 즉 기질적 특성이 말더듬 발생 및 발달에 영향을 끼칠 수 있기에 이를 적절히 파악하고 임상에 효율적으로 적용 할 수 있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말더듬는 사람의 기질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 되었는데 우선 여러 다양한 집단이 말더듬는 사람들이 기질적 특성에서 차이가 있다는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예를 들어 말더듬성인은 일반인과 비교, 민감성, 완벽주의, 불안 등과 같은 기질적인 특성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 으로 인식된다(Fowlie & Cooper, 1978; Sim, 2000; Woods & Williams, 1971). 이러한 고정관념은 일반인뿐만 아니라 언어재 활사, 말더듬아동의 부모, 언어병리학 전공자 등 다양한 집단에 서 공유된다(Fowlie & Cooper, 1978; Sim, 2000; Woods & Williams, 1971). 말더듬아동의 부모는 말더듬아동이 요구가 많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of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Eun-Ae Lee, Seong Hee Choi, Chul-Hee Choi, Kyungjae Lee Jeonggwan Bareum Psychology Communication Center, Graduate School, Daegu Catholic University, Gyeongsan, Korea Department of Audiology and Speech-Language Pathology, Daegu Catholic University, Gyeongsan, Korea
口吃是由先天因素、环境因素、发育因素等相互作用引起的多方面障碍(Guitar, 2014;manning, 2010)。气质(Anderson et al., 2003)被认为是影响口吃发生和进展的先天因素之一。气质是指从人生初期就表现出来的个人特性,是指一个人的行动方式和情绪反应,是根据社会状况做出反应和应对的机制(Rothbart & Derryberry, 1981)。与此相关,Riley & Riley(2000)提出了修正的结构模型(revised component model, RCM),其中包含了对口吃儿童诊断的全面看法。根据修正的构成模型,认为与口吃有关的因素大致有三种构成要素,即身体特质,气质因素,听者的反应,这些多方面的特性综合影响口吃的发生和发展。特别是气质因素被认为是高度的自我期待和过度的敏感,大约40%到60%的儿童具有这种气质因素。有人指出,如果观察到这些气质特征,临床家就需要了解儿童,可以使用一起讲述儿童经历的方法。即强调了基质特性会对口吃的发生及发展产生影响,因此能够适当地把握这一点,并有效地适用于临床。对口吃者气质的研究以多种方式进行,首先报告了不同群体对口吃者气质特性上存在差异的否定性固定观念。例如,口吃者被认为与普通人在气质上有差异,如敏感性、完美主义、不安等(Fowlie & Cooper, 1978;sim, 2000;woods & williams, 1971)。这种固定观念不仅在普通人身上,而且在语言活动者、口吃儿童的父母、语言病理学专业人士等多种群体中都有共享(Fowlie & Cooper, 1978;sim, 2000;woods & williams, 1971)。口吃儿童的父母对口吃儿童的要求很多: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of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Eun-Ae Lee, Seong Hee Choi, Chul-Hee Choi, Kyungjae Lee Jeonggwan Bareum Psychology Communication Center;Graduate School, Daegu Catholic University, Gyeongsan, Korea Department of Audiology and Speech-Language Pathology, Daegu Catholic University, Gyeongsan, Korea
{"title":"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of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authors":"Eun-ae Lee, Seong Hee Choi, Chul-Hee Choi, Kyungjae Lee","doi":"10.21848/asr.200052","DOIUrl":"https://doi.org/10.21848/asr.200052","url":null,"abstract":"말더듬은 선천적 요인, 환경적 요인, 발달적 요인 등의 상호작 용으로 발생하는 다면적인 장애이다(Guitar, 2014; Manning, 2010). 이러한 말더듬의 발생과 진전에 영향을 미치는 선천적인 요인 중의 하나로 기질(temperament)이 제시되었다(Anderson et al., 2003). 기질이란 생의 초기부터 보이는 개인의 특성으로 한 개인의 행동 양식과 정서적 반응을 의미하며, 사회적 상황 에 따라 반응하고 대처하는 기제이다(Rothbart & Derryberry, 1981). 이와 관련하여 Riley & Riley(2000)는 말더듬아동의 진 단에 관한 포괄적인 시각을 포함한 수정된 구성모델(revised component model, RCM)을 제시하였다. 수정된 구성 모델에 따르면 말더듬과 관련있다고 생각되는 요인은 크게 세 가지 구 성요소, 즉 신체적 특질, 기질적 요인, 청자의 반응이며 이러한 다면적 특성이 말더듬 발생 및 발전에 종합적으로 영향을 끼친 다. 특히 기질적 요인으로는 높은 자기 기대와 과도한 민감성이 제시되었으며 대략적으로 40~60%의 아동이 이러한 기질적 요 인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기질적 특성이 관 찰되는 경우에는 임상가는 아동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며 아 동의 경험 등을 같이 이야기하는 접근법을 사용할 수 있다고 제시되었다. 즉 기질적 특성이 말더듬 발생 및 발달에 영향을 끼칠 수 있기에 이를 적절히 파악하고 임상에 효율적으로 적용 할 수 있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말더듬는 사람의 기질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 되었는데 우선 여러 다양한 집단이 말더듬는 사람들이 기질적 특성에서 차이가 있다는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예를 들어 말더듬성인은 일반인과 비교, 민감성, 완벽주의, 불안 등과 같은 기질적인 특성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 으로 인식된다(Fowlie & Cooper, 1978; Sim, 2000; Woods & Williams, 1971). 이러한 고정관념은 일반인뿐만 아니라 언어재 활사, 말더듬아동의 부모, 언어병리학 전공자 등 다양한 집단에 서 공유된다(Fowlie & Cooper, 1978; Sim, 2000; Woods & Williams, 1971). 말더듬아동의 부모는 말더듬아동이 요구가 많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of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Eun-Ae Lee, Seong Hee Choi, Chul-Hee Choi, Kyungjae Lee Jeonggwan Bareum Psychology Communication Center, Graduate School, Daegu Catholic University, Gyeongsan, Korea Department of Audiology and Speech-Language Pathology, Daegu Catholic University, Gyeongsan, Korea","PeriodicalId":36841,"journal":{"name":"Audiology and Speech Research","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6584528","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2
Japanese Listeners’ Judgments of Prolongations: With Focus on the Effect of Phonemic Length Contrast 日语听者对延长音的判断:以音位长度对比为中心
Q3 Medicine Pub Date : 2020-10-05 DOI: 10.21848/asr.200047
Mi-gyu Kang, Inkie Chung, Jin Park
Correspondence: Jin Park, PhD Department of Speech Rehabilitation and Counseling, Speech Rehabilitation Clinic Center,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24 Beomil-ro 579beon-gil, Gangneung 25601, Korea Tel: +82-33-649-7737 Fax: +82-33-649-7669 E-mail: gatorade70@cku.ac.k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1) what the absolute minimal duration of the lengthened Japanese sounds /s/, /ss/, /i/, and /i:/ are that are perceived to be abnormal by native speakers of Japanese; 2) what the relative ratio of a stimulus sound’s original length to its absolute perceptual threshold is; 3) whether differences are observed between short and long fricatives and between short and long vowels; and 4) whether phonemic length contrast affects the perceived abnormality of lengthened speech sounds. Methods: Twelve native speakers of Japanese (2 males, 10 females) listened to the Japanese sounds /s/, /ss/, /i/, and /i:/, each of which was lengthened by 0–400 ms in 20 ms increments. The participants rated whether the sound was normal (0) or abnormal (1). The minimal duration for each lengthened sound to be perceived as abnormal by the participants was calculated by analyzing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s using Youden’s index. Results: The minimal prolongation duration to be perceived as abnormal was 70 ms for /s/, 130 ms for /ss/, 70 ms for /i/, and 170 ms for /i:/. The percentage increases in duration required to be perceived as abnormal were 106% for /s/, 129% for /ss/, 117% for /i/, and 138% for /i:/. Conclusion: Phonemic length contrast affects the minimal prolongation duration and the percentage increase thresholds at which Japanese listeners perceive speech sounds as abnormally long.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further discussed within a diagnostic context of sound prolongation as one of core behaviors of stuttering.
通信:Jin Park,博士,广东天主教大学语言康复诊所中心,语言康复与咨询部,24 Beomil-ro 579beon-gil,江陵25601,韩国电话:+82-33-649-7737传真:+82-33-649-7669 E-mail: gatorade70@cku.ac.kr目的:本研究探讨了1)日语母语者认为/s/, /ss/, /i/和/i:/的绝对最小持续时间是什么;2)刺激音的原始长度与其绝对感知阈值的相对比值是多少;3)长短摩擦音、长短元音之间是否存在差异;4)音位长度对比是否影响对加长语音的感知异常。方法:12名母语为日语的人(男2名,女10名)听日语的/s/、/ss/、/i/、/i:/音,每音以20 ms为单位延长0 ~ 400 ms。参与者对声音是否正常(0)或异常(1)进行评分。通过使用约登指数分析接受者工作特征曲线,计算出参与者认为每个延长声音的最短持续时间。结果:感知异常的最小延长时间为/s/ 70 ms, /ss/ 130 ms, /i/ 70 ms, /i:/ 170 ms。被认为异常的持续时间增加的百分比,/s/为106%,/ss/为129%,/i/为117%,/i:/为138%。结论:音位长度对比影响日语听者认为语音异常长时的最小延长时间和增加阈值百分比。这些结果的意义在作为口吃的核心行为之一的声音延长的诊断背景下进一步讨论。
{"title":"Japanese Listeners’ Judgments of Prolongations: With Focus on the Effect of Phonemic Length Contrast","authors":"Mi-gyu Kang, Inkie Chung, Jin Park","doi":"10.21848/asr.200047","DOIUrl":"https://doi.org/10.21848/asr.200047","url":null,"abstract":"Correspondence: Jin Park, PhD Department of Speech Rehabilitation and Counseling, Speech Rehabilitation Clinic Center,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24 Beomil-ro 579beon-gil, Gangneung 25601, Korea Tel: +82-33-649-7737 Fax: +82-33-649-7669 E-mail: gatorade70@cku.ac.k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1) what the absolute minimal duration of the lengthened Japanese sounds /s/, /ss/, /i/, and /i:/ are that are perceived to be abnormal by native speakers of Japanese; 2) what the relative ratio of a stimulus sound’s original length to its absolute perceptual threshold is; 3) whether differences are observed between short and long fricatives and between short and long vowels; and 4) whether phonemic length contrast affects the perceived abnormality of lengthened speech sounds. Methods: Twelve native speakers of Japanese (2 males, 10 females) listened to the Japanese sounds /s/, /ss/, /i/, and /i:/, each of which was lengthened by 0–400 ms in 20 ms increments. The participants rated whether the sound was normal (0) or abnormal (1). The minimal duration for each lengthened sound to be perceived as abnormal by the participants was calculated by analyzing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s using Youden’s index. Results: The minimal prolongation duration to be perceived as abnormal was 70 ms for /s/, 130 ms for /ss/, 70 ms for /i/, and 170 ms for /i:/. The percentage increases in duration required to be perceived as abnormal were 106% for /s/, 129% for /ss/, 117% for /i/, and 138% for /i:/. Conclusion: Phonemic length contrast affects the minimal prolongation duration and the percentage increase thresholds at which Japanese listeners perceive speech sounds as abnormally long.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further discussed within a diagnostic context of sound prolongation as one of core behaviors of stuttering.","PeriodicalId":36841,"journal":{"name":"Audiology and Speech Research","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10-05","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661731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 Literature Review of Bimodal Fitting 双峰拟合的文献综述
Q3 Medicine Pub Date : 2020-10-05 DOI: 10.21848/asr.200049
Junghwa Bahng, S. Oh
review Inclusion & exclusion criteria Removal of duplicates Full-text review Figure 1. Flowchart of the systematic review of bimodal fitting literature. www.e-asr.org 267 J Bahng & S Oh ASR 최종 19개의 바이모달 적합 관련 논문을 결정하였다(Figure 1). 최종 선정된 19개 논문을 검토하고 바이모달 적합 지침 확 립을 위해 본 연구의 관심 항목인 적합 주제, 적합 방법, 평가 도구, 평가 항목, 결과 등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RESULTS Table 2는 총 19개 바이모달 적합 관련 논문의 내용을 적합 중재, 적합 내용, 검사 방법 및 도구, 결과, 설문지 항목으로 정 리한 결과이다. 19개 문헌 중 바이모달 인공와우 적합 논문은 1개였고 나머지 18개 논문 모두 바이모달 보청기 적합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여, 바이모달 적합 관련 연구가 대부분 보청기 적합 주제로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바이모달 보청기 적 합과 관련된 18개 연구의 주요 중재 내용은 1) 보청기 적합공 식, 2) 보청기 이득조절, 3) 양 귀 간 음량평형, 4) 보청기 주파수 범위, 5) 보청기 주파수 변이 시스템, 6) 바이모달 적합 프로토 콜에 대한 6개의 카테고리로 구분되었다. 한편 바이모달 인공 와우 적합에 대한 1개 논문에서는 인공와우 저주파수 대역의 조절에 따른 바이모달 효과를 포함하고 있었다. 다음에서는 바 이모달 적합과 관련된 19개 문헌의 대략적 내용을 설명하였고 Table 2에서 각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바이모달 적합에서의 보청기 적합공식 바이모달 적합에서 각각 다른 보청기 적합공식의 적용에 따 른 결과를 비교한 연구(Cuda et al., 2019; English et al., 2016; Vroegop et al., 2019)에서는 바이모달 보청기 적합공식인 Adaptive Phonak Digital Bimodal (APDB)과 일반적인 보청기 적합공식인 Desired Sensation Level version 5, National Acoustics Laboratories Non-Linear version 2(NAL-NL2)를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각 보청기 적합공식에 따른 말지각 측 면에서 의미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NAL-NL2와 보청기 자체의 적합공식을 사용한 결과를 비교했을 때에도 말지각에 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보청기 적합공식의 차이가 바이모달 말 지각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적 합공식의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APDB와 NAL-NL2를 다른 적합공식보다 좀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용자는 말지각의 측면보다는 주관적인 소리의 질 등으로 보 청기 적합공식을 선호함을 보여주었다. 바이모달 적합에서의 보청기 이득조절 보청기 이득조절 및 음량평형과 관련된 연구(Ching et al., 2004; Harris & Hay-McCutcheon, 2010; Veugen et al., 2016a, 2016b; Yehudai et al., 2013)를 살펴보면, 압축 채널의 수와 시 간 측면에서 보청기의 자동이득조절(automatic gain control) 조건을 인공와우의 자동이득조절 조건과 매치했을 때 매치하 지 않았을 때보다 말지각에서 향상된 결과를 보여, 보청기와 인공와우 두 개 청각기기 간 자동이득조절 조건을 동일하게 했 을 때 바이모달 결과 향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 다(Veugen et al., 2016b). 또한 바이모달 보청기 적합에서 보청기 의 이득은 실이측정의 목표 이득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 났으나(Ching et al., 2004; Harris & Hay-McCutcheon, 2010; Yehudai et al., 2013), 기능이득 결과에서는 보청기 착용 후 저 주파수 대역에서 다른 주파수 대역보다 이득이 많음을 보였다. 또한 보청기 착용 후 역치 평가가 바이모달 결과가 좋은 사용 자와 그렇지 못한 사용자 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아(Harris & Hay-McCutcheon, 2010) 기능이득만으로 바이모달 보청기 적 합의 최적화를 확인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바이모달 적합에서의 양 귀 간 음량평형 양 귀 간 음량평형 연구와 관련하여 Veugen et al.(2016a)은 광대역 주파수 대역에 근거한 음량평형 방법과 3개 주파수 밴 드로 구분한 주파수 의존적 음량평형 방법을 적용하여 보청기 이득을 조절하고 바이모달 효과를 비교했을 때, 광대역 또는 주파수 의존적 음량평형에 따른 말지각 결과에 차이가 없었다 (Veugen et al., 2016a). Table 2에 보고된 대부분의 연구에서 바이모달 적합 시 인공와우와 보청기의 음량평형을 적용하였 으며, 예를 들어 Ching et al.(2004)의 연구에서는 처음에는 인 공와우만 착용한 상태에서 녹음된 이야기를 듣도록 하고 인공 와우와 비교하여 보청기가 동일한 소리 크기로 들릴 수 있도록 보청기의 이득을 조절하는 음량평형 방법을 제시하였다 바이모달 적합에서의 주파수 범위 바이모달 보청기 적합의 주파수 대역 설정에 따른 효과를 비교 했을 때(Messersmith et al., 2015; Neuman & Svirsky, 2013; Neuman et al., 2019) 대부분의 연구에서 보청기 주파수 대역 설정에 따른 결과의 차이가 없었으며, 바이모달 보청기 적합에 서 광대역 주파수의 우선적 적용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Messersmith et al.(2015)의 연구에서는 전기와 음향 자극 주파수 대 역의 중복을 제한하고 와우 사영역(dead region)을 고려하여 Table 1.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of this study Inclusion criteria Exclusion criteria Studies of bimodal fitting & fitting outcomes Real bimodal us
review Inclusion & exclusion criteria Removal of duplicates Full-text review Figure 1。Flowchart of the systematic review of bimodal fitting literature。www e - asr . org 267 j bahng & s oh asr最终19个巴李某月适合决定了相关论文(figure 1)。最终被选定的19个,研究论文,希望李某月适合扩大立法指南为本研究关注项目的主题适合,适合办法、评估工具,评价项目,分为结果等进行了整理。RESULTS Table 2是将19个双月合格相关论文的内容整理为合格仲裁、合格内容、检查方法及工具、结果、问卷项目的结果。19个文献中,双耳达人工耳蜗适合论文有1个,剩下的18个论文都确认了包括双耳达助听器适合的内容在内,双耳达适合的相关研究大部分都以助听器适合的主题进行。巴李某月助听器的和有关的18个研究的主要内容:1 .仲裁助听器适合球式、利益调节助听器2)3)音量平衡,杨贵4)频率范围,5)助听器助听器变异频率系统、6)李某月适合对球状呼叫过划分为6个类别。另一方面,关于双耳蜗人工耳蜗适合的一篇论文中包含了人工耳蜗低频带调节带来的双耳蜗效果。下面说明了与双模式匹配相关的19个文献的大致内容,在Table 2中可以确认各研究的具体内容。双模式匹配中的助听器匹配公式比较不同助听器匹配公式应用结果的研究(Cuda et al., 2019;english et al ., 2016;Vroegop et al., 2019)将Adaptive Phonak Digital Bimodal (APDB)与Desired Sensation Level version 5 (National Acoustics Laboratories Non-Linear version 2(NAL-NL2)进行了比较。结果,各助听器适合公式的马知觉方面并没有出现有意义的差异。将NAL-NL2和助听器本身的适合公式进行比较时,在马的知觉上也没有差异,因此助听器适合公式的差异对双月底的知觉结果不会产生太大的影响。但是,对积合公式的喜好度进行调查的结果显示,APDB和NAL-NL2比其他适合公式更受欢迎。这样的结果表明,使用者比起语言知觉的一面,更喜欢主观的声音质量等助听器适合公式。双模式匹配中的助听器增益调节助听器增益调节与音量平衡的研究(Ching et al., 2004;哈里森& hay - mccutcheon, 2010;Veugen et al., 2016a, 2016b;Yehudai et al., 2013)在压缩通道的数量和时间方面,助听器的自动增益控制条件与人工耳蜗的自动增益控制条件相匹配时,比不匹配时的马知觉提高了很多。如果将助听器和人工耳蜗两个听觉机器之间的自动增益调节条件保持一致,则显示出双动力结果会对提高产生影响(Veugen et al., 2016b)。另外,在双耳式助听器的适用中,助听器的利益不能达到实测的目标利益(Ching et al., 2004;哈里森& hay - mccutcheon, 2010;Yehudai et al., 2013),功能增益结果显示,使用助听器后,低频带比其他频带受益更多。另外,使用助听器后,阈值评价没有显示出双模式结果好的用户和非双模式的用户之间的差异(Harris & Hay-McCutcheon, 2010),仅从功能上获得利益,在确认双模式助听器的协议优化方面存在一定的局限性。巴姨月球的适合杨贵音量平衡杨贵间音量平衡研究和有关,veugen et al . (2016a)是一项基于宽带频率音量平衡方法和3个频率分为乐队的频率依赖性运用平衡方法助听器音量调节利益,希望李某月效果相比,他们宽带或频率依赖的音量平衡的语感结果没有差异(Veugen et al., 2016a)。在Table 2中报告的大部分研究都采用人工耳蜗和助听器的音量平衡,例如ching et al .(2004)的研究中对起初只穿着wow的状态下听录音的故事,与人工wow作出比较,助听器,以同一声音大小,宝清的利益,使其能够调节音量平衡方法提出了巴李某月球的合适频率范围李某月适合助听器的频率设定带来的效果进行了比较(Messersmith et al., 2015;neuman & svirsky, 2013;Neuman et al., 2019)大部分研究表明,助听器频带的设置结果没有差异,宽带频率的优先应用是适合双波助听器的。Messersmith et al.(2015)的研究限制了电和声音刺激频率带域的重复,并考虑到耳卧射影域(dead region), Table 1。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of this study Inclusion criteria exclusion criteria Studies of bimodal fitting & fitting outcomes Real bimodal users English Studies of not bimodal fittingfitting outcomes Bimodal simulation studies Review papers, abstracts, theses Non English articles
{"title":"A Literature Review of Bimodal Fitting","authors":"Junghwa Bahng, S. Oh","doi":"10.21848/asr.200049","DOIUrl":"https://doi.org/10.21848/asr.200049","url":null,"abstract":"review Inclusion & exclusion criteria Removal of duplicates Full-text review Figure 1. Flowchart of the systematic review of bimodal fitting literature. www.e-asr.org 267 J Bahng & S Oh ASR 최종 19개의 바이모달 적합 관련 논문을 결정하였다(Figure 1). 최종 선정된 19개 논문을 검토하고 바이모달 적합 지침 확 립을 위해 본 연구의 관심 항목인 적합 주제, 적합 방법, 평가 도구, 평가 항목, 결과 등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RESULTS Table 2는 총 19개 바이모달 적합 관련 논문의 내용을 적합 중재, 적합 내용, 검사 방법 및 도구, 결과, 설문지 항목으로 정 리한 결과이다. 19개 문헌 중 바이모달 인공와우 적합 논문은 1개였고 나머지 18개 논문 모두 바이모달 보청기 적합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여, 바이모달 적합 관련 연구가 대부분 보청기 적합 주제로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바이모달 보청기 적 합과 관련된 18개 연구의 주요 중재 내용은 1) 보청기 적합공 식, 2) 보청기 이득조절, 3) 양 귀 간 음량평형, 4) 보청기 주파수 범위, 5) 보청기 주파수 변이 시스템, 6) 바이모달 적합 프로토 콜에 대한 6개의 카테고리로 구분되었다. 한편 바이모달 인공 와우 적합에 대한 1개 논문에서는 인공와우 저주파수 대역의 조절에 따른 바이모달 효과를 포함하고 있었다. 다음에서는 바 이모달 적합과 관련된 19개 문헌의 대략적 내용을 설명하였고 Table 2에서 각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바이모달 적합에서의 보청기 적합공식 바이모달 적합에서 각각 다른 보청기 적합공식의 적용에 따 른 결과를 비교한 연구(Cuda et al., 2019; English et al., 2016; Vroegop et al., 2019)에서는 바이모달 보청기 적합공식인 Adaptive Phonak Digital Bimodal (APDB)과 일반적인 보청기 적합공식인 Desired Sensation Level version 5, National Acoustics Laboratories Non-Linear version 2(NAL-NL2)를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각 보청기 적합공식에 따른 말지각 측 면에서 의미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NAL-NL2와 보청기 자체의 적합공식을 사용한 결과를 비교했을 때에도 말지각에 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보청기 적합공식의 차이가 바이모달 말 지각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적 합공식의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APDB와 NAL-NL2를 다른 적합공식보다 좀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용자는 말지각의 측면보다는 주관적인 소리의 질 등으로 보 청기 적합공식을 선호함을 보여주었다. 바이모달 적합에서의 보청기 이득조절 보청기 이득조절 및 음량평형과 관련된 연구(Ching et al., 2004; Harris & Hay-McCutcheon, 2010; Veugen et al., 2016a, 2016b; Yehudai et al., 2013)를 살펴보면, 압축 채널의 수와 시 간 측면에서 보청기의 자동이득조절(automatic gain control) 조건을 인공와우의 자동이득조절 조건과 매치했을 때 매치하 지 않았을 때보다 말지각에서 향상된 결과를 보여, 보청기와 인공와우 두 개 청각기기 간 자동이득조절 조건을 동일하게 했 을 때 바이모달 결과 향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 다(Veugen et al., 2016b). 또한 바이모달 보청기 적합에서 보청기 의 이득은 실이측정의 목표 이득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 났으나(Ching et al., 2004; Harris & Hay-McCutcheon, 2010; Yehudai et al., 2013), 기능이득 결과에서는 보청기 착용 후 저 주파수 대역에서 다른 주파수 대역보다 이득이 많음을 보였다. 또한 보청기 착용 후 역치 평가가 바이모달 결과가 좋은 사용 자와 그렇지 못한 사용자 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아(Harris & Hay-McCutcheon, 2010) 기능이득만으로 바이모달 보청기 적 합의 최적화를 확인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바이모달 적합에서의 양 귀 간 음량평형 양 귀 간 음량평형 연구와 관련하여 Veugen et al.(2016a)은 광대역 주파수 대역에 근거한 음량평형 방법과 3개 주파수 밴 드로 구분한 주파수 의존적 음량평형 방법을 적용하여 보청기 이득을 조절하고 바이모달 효과를 비교했을 때, 광대역 또는 주파수 의존적 음량평형에 따른 말지각 결과에 차이가 없었다 (Veugen et al., 2016a). Table 2에 보고된 대부분의 연구에서 바이모달 적합 시 인공와우와 보청기의 음량평형을 적용하였 으며, 예를 들어 Ching et al.(2004)의 연구에서는 처음에는 인 공와우만 착용한 상태에서 녹음된 이야기를 듣도록 하고 인공 와우와 비교하여 보청기가 동일한 소리 크기로 들릴 수 있도록 보청기의 이득을 조절하는 음량평형 방법을 제시하였다 바이모달 적합에서의 주파수 범위 바이모달 보청기 적합의 주파수 대역 설정에 따른 효과를 비교 했을 때(Messersmith et al., 2015; Neuman & Svirsky, 2013; Neuman et al., 2019) 대부분의 연구에서 보청기 주파수 대역 설정에 따른 결과의 차이가 없었으며, 바이모달 보청기 적합에 서 광대역 주파수의 우선적 적용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Messersmith et al.(2015)의 연구에서는 전기와 음향 자극 주파수 대 역의 중복을 제한하고 와우 사영역(dead region)을 고려하여 Table 1.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of this study Inclusion criteria Exclusion criteria Studies of bimodal fitting & fitting outcomes Real bimodal us","PeriodicalId":36841,"journal":{"name":"Audiology and Speech Research","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10-05","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9955469","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Efficacy of Auditory Training Using Video Clips for Older Adults Who Wear Hearing Aids 使用视频片段对佩戴助听器的老年人进行听觉训练的效果
Q3 Medicine Pub Date : 2020-07-31 DOI: 10.21848/asr.200031
Min-Jin Lee, Junghwa Bahng
Correspondence: Junghwa Bahng, PhD Department of Audiology and Speech-Language Pathology, Hallym University of Graduate Studies, 427 Yeoksam-ro, Gangnam-gu, Seoul 06197, Korea Tel: +82-70-8680-6933 Fax: +82-2-3453-6618 E-mail: bahng.jh@gmail.com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raining using the developed videos in terms of speech perception in noise and cognitive ability. Methods: For the training materials, we had 16 video clips edited from new, TV shows, and movies. To evaluate the auditory training effect when using the video clips, a total of 17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of the subjects had worn hearing aids for 1 to 3 months. Among the 17 subjects, ten of them completed eight sessions, 40 minutes per session, of the auditory training, while the other seven subjects did not have any training chance. Sentence recognition in noise tests, cognition tests such as digit span (auditory-only and auditory-visual conditions) attention tests, and subjective satisfaction of hearing aids were evaluated at both preand post-auditory training.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sentence recognition in noise, attention, and subjective hearing aid satisfaction in the auditory training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digit span after the auditory training. In the non-training group, none of the tests’ scores were significantly changed, other than subjective hearing aid satisfac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uditory training with video clip is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speech understanding in noise and subjective satisfaction as well as cognitive ability, attention. However, we did not observe working memory improvement after the training. For future study, we need to examine an effective method for improving cognitive ability, especially working memory.
通信:junhwa Bahng,博士,翰林研究生院听科学和语言病理学系,427 yeoksamo,江南区,首尔06197,韩国电话:+82-70-8680-6933传真:+82-2-3453-6618 E-mail: bahng.jh@gmail.com目的:本研究的目的是评估使用开发的视频训练在噪音和认知能力方面的语音感知效果。方法:我们有16个视频剪辑,从新的,电视节目和电影中剪辑。为了评估使用视频片段时的听觉训练效果,共有17名受试者参与了本研究;所有受试者佩戴助听器1至3个月。17名受试者中,10名受试者完成了8次听觉训练,每次40分钟,其他7名受试者没有任何训练机会。在听觉训练前和听觉训练后,对噪声测试中的句子识别、数字广度(听觉和听觉-视觉条件)、注意力测试等认知测试和助听器的主观满意度进行评估。结果:听力训练组在噪声、注意力和主观助听器满意度方面的句子识别均有显著提高。然而,听觉训练后的数字广度没有显著改善。在非训练组中,除了主观助听器满意度外,所有测试的分数都没有显著变化。结论:视频片段听觉训练是提高噪声环境下语音理解能力、主观满意度、认知能力、注意力的有效方法。然而,我们没有观察到训练后工作记忆的改善。在未来的研究中,我们需要寻找一种有效的方法来提高认知能力,特别是工作记忆。
{"title":"Efficacy of Auditory Training Using Video Clips for Older Adults Who Wear Hearing Aids","authors":"Min-Jin Lee, Junghwa Bahng","doi":"10.21848/asr.200031","DOIUrl":"https://doi.org/10.21848/asr.200031","url":null,"abstract":"Correspondence: Junghwa Bahng, PhD Department of Audiology and Speech-Language Pathology, Hallym University of Graduate Studies, 427 Yeoksam-ro, Gangnam-gu, Seoul 06197, Korea Tel: +82-70-8680-6933 Fax: +82-2-3453-6618 E-mail: bahng.jh@gmail.com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raining using the developed videos in terms of speech perception in noise and cognitive ability. Methods: For the training materials, we had 16 video clips edited from new, TV shows, and movies. To evaluate the auditory training effect when using the video clips, a total of 17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of the subjects had worn hearing aids for 1 to 3 months. Among the 17 subjects, ten of them completed eight sessions, 40 minutes per session, of the auditory training, while the other seven subjects did not have any training chance. Sentence recognition in noise tests, cognition tests such as digit span (auditory-only and auditory-visual conditions) attention tests, and subjective satisfaction of hearing aids were evaluated at both preand post-auditory training.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sentence recognition in noise, attention, and subjective hearing aid satisfaction in the auditory training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digit span after the auditory training. In the non-training group, none of the tests’ scores were significantly changed, other than subjective hearing aid satisfac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uditory training with video clip is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speech understanding in noise and subjective satisfaction as well as cognitive ability, attention. However, we did not observe working memory improvement after the training. For future study, we need to examine an effective method for improving cognitive ability, especially working memory.","PeriodicalId":36841,"journal":{"name":"Audiology and Speech Research","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7-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73596475","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2
The Development of Subjective Checklist Measuring Change in Global Cognition 测量全局认知变化的主观检查表的研制
Q3 Medicine Pub Date : 2020-07-31 DOI: 10.21848/asr.200043
Eunkyung Jeong, JungWan Kim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는 인지기능 의 저하가 정상범위를 벗어나지만 아직 치매로 진단할 수 있을 정도로는 심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임상적 진단 기준에 의 하면, MCI 진단에 경미한 기억력 손상부터 일부 초기의 치매 환자들이 포함되어 집단 내에서도 양상과 경과가 이질적이고 중복되어 나타난다(Petersen et al., 2001). MCI에 대한 연구가 깊이 있게 진행되면서 여러 가지 아형들(subtypes)이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는데(Petersen, 2003), 기억장애 유무와 손상받 은 영역의 개수에 따라 기억성(amnestic) MCI (aMCI), 다영역 MCI, 비기억성 단일 영역 MCI로 분류하고 있다. 이 중에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aMCI의 경우 퇴행성 질환의 초기 상태로 간주되며, 시간이 지나면서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 치매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알츠하이머병에 기인한 경도인지장애라는 용 어를 사용하기도 한다(Korea Dementia Association, 2011). aMCI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1) 환자 및 보호자에 의한 주관적 기억장애에 대한 호소가 있고, 2) 신경심리검사상 기억 영역에 서 나타나는 객관적인 인지기능 저하가 있으며, 3) 기억 영역을 제외한 전반적인 인지기능이 정상이고, 4)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정상이고, 5) 치매로 진단되지 않아야만 한다(Petersen, 2004). aMCI의 진단 기준을 사용할 경우 매년 10~15%의 MCI 환자가 치매로 진행하게 되는데, 정상 노인들의 1~2%만이 매년 치매로 진행하는 것에 비하면 매우 높은 수준을 상회한다(Petersen et al., 2001). 대부분의 임상에서 인지장애는 객관적인 인지검사를 통해 평가된다(Galvin et al., 2006). 그러나 한 가지 검사로 여러 아 형을 포함하고 있는 MCI를 진단할 수 있는 신경심리검사 항목 이나 도구는 없고,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 (American Psychiatric Aoociation, 2013)이나 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and Communicative Disorders and Stroke/Alzheimer’s Disease and The Development of Subjective Checklist Measuring Change in Global Cognition
轻度认知障碍(mild cognitive impairment, MCI)是指认知功能的下降超出正常范围,但还没有严重到可以诊断为痴呆的程度。根据临床诊断标准,MCI诊断包括轻度记忆力损伤和一些早期痴呆患者,在群体中也有不同的情况和过程重复(Petersen et al., 2001)。随着对MCI的深入研究,已确认存在多种亚型(subtypes, Petersen, 2003),根据有无记忆障碍和受损区域的数量,分为记忆性(amnestic) MCI (aMCI)、多英域MCI、非记忆性单一区域MCI。其中,正在进行很多研究的aMCI被认为是退行性疾病的初期状态,随着时间的推移很有可能发展成阿尔茨海默病(Alzheimer ' s disease, AD)痴呆症。因此,最近还使用了由阿尔茨海默氏病引起的轻度认知障碍(Korea Dementia Association, 2011)。amci为了诊断1)病人及保护者的主观记忆障碍有号召,对出现在记忆领域2)神经心理检查上的客观认知功能下降,3)记忆领域以外的整体认知功能正常,4)日常生活能力正常,5)必须不被诊断为老年痴呆症(petersen, 2004)。使用aMCI的诊断标准,每年有10%至15%的MCI患者患上痴呆症,与每年只有1%至2%的正常老人患上痴呆症相比,其水平非常高(Petersen et al., 2001)。在大多数临床试验中,认知障碍是通过客观的认知检查来评估的(Galvin et al., 2006)。但是没有神经心理检查项目或工具可以诊断包含多个亚型的MCI,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 (American Psychiatric Aoociation)2013年)、国家物理与通讯Disorders与Stroke/Alzheimer ' s Disease and The Development of Subjective Checklist Measuring Change in Global Cognition
{"title":"The Development of Subjective Checklist Measuring Change in Global Cognition","authors":"Eunkyung Jeong, JungWan Kim","doi":"10.21848/asr.200043","DOIUrl":"https://doi.org/10.21848/asr.200043","url":null,"abstract":"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는 인지기능 의 저하가 정상범위를 벗어나지만 아직 치매로 진단할 수 있을 정도로는 심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임상적 진단 기준에 의 하면, MCI 진단에 경미한 기억력 손상부터 일부 초기의 치매 환자들이 포함되어 집단 내에서도 양상과 경과가 이질적이고 중복되어 나타난다(Petersen et al., 2001). MCI에 대한 연구가 깊이 있게 진행되면서 여러 가지 아형들(subtypes)이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는데(Petersen, 2003), 기억장애 유무와 손상받 은 영역의 개수에 따라 기억성(amnestic) MCI (aMCI), 다영역 MCI, 비기억성 단일 영역 MCI로 분류하고 있다. 이 중에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aMCI의 경우 퇴행성 질환의 초기 상태로 간주되며, 시간이 지나면서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 치매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알츠하이머병에 기인한 경도인지장애라는 용 어를 사용하기도 한다(Korea Dementia Association, 2011). aMCI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1) 환자 및 보호자에 의한 주관적 기억장애에 대한 호소가 있고, 2) 신경심리검사상 기억 영역에 서 나타나는 객관적인 인지기능 저하가 있으며, 3) 기억 영역을 제외한 전반적인 인지기능이 정상이고, 4)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정상이고, 5) 치매로 진단되지 않아야만 한다(Petersen, 2004). aMCI의 진단 기준을 사용할 경우 매년 10~15%의 MCI 환자가 치매로 진행하게 되는데, 정상 노인들의 1~2%만이 매년 치매로 진행하는 것에 비하면 매우 높은 수준을 상회한다(Petersen et al., 2001). 대부분의 임상에서 인지장애는 객관적인 인지검사를 통해 평가된다(Galvin et al., 2006). 그러나 한 가지 검사로 여러 아 형을 포함하고 있는 MCI를 진단할 수 있는 신경심리검사 항목 이나 도구는 없고,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 (American Psychiatric Aoociation, 2013)이나 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and Communicative Disorders and Stroke/Alzheimer’s Disease and The Development of Subjective Checklist Measuring Change in Global Cognition","PeriodicalId":36841,"journal":{"name":"Audiology and Speech Research","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publicationDate":"2020-07-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null,"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83784607","PeriodicalName":null,"FirstCategoryId":null,"ListUrlMain":null,"RegionNum":0,"RegionCategory":"","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EPubDate":null,"PubModel":null,"JCR":null,"JCRName":null,"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期刊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全部 Acc. Chem. Res. ACS Applied Bio Materials ACS Appl. Electron. Mater. ACS Appl. Energy Mater. ACS Appl. Mater. Interfaces ACS Appl. Nano Mater. ACS Appl. Polym. Mater. ACS BIOMATER-SCI ENG ACS Catal. ACS Cent. Sci. ACS Chem. Biol. ACS Chemical Health & Safety ACS Chem. Neurosci. ACS Comb. Sci. ACS Earth Space Chem. ACS Energy Lett. ACS Infect. Dis. ACS Macro Lett. ACS Mater. Lett. ACS Med. Chem. Lett. ACS Nano ACS Omega ACS Photonics ACS Sens. ACS Sustainable Chem. Eng. ACS Synth. Biol. Anal. Chem. BIOCHEMISTRY-US Bioconjugate Chem. BIOMACROMOLECULES Chem. Res. Toxicol. Chem. Rev. Chem. Mater. CRYST GROWTH DES ENERG FUEL Environ. Sci. Technol. Environ. Sci. Technol. Lett. Eur. J. Inorg. Chem. IND ENG CHEM RES Inorg. Chem. J. Agric. Food. Chem. J. Chem. Eng. Data J. Chem. Educ. J. Chem. Inf. Model. J. Chem. Theory Comput. J. Med. Chem. J. Nat. Prod. J PROTEOME RES J. Am. Chem. Soc. LANGMUIR MACROMOLECULES Mol. Pharmaceutics Nano Lett. Org. Lett. ORG PROCESS RES DEV ORGANOMETALLICS J. Org. Chem. J. Phys. Chem. J. Phys. Chem. A J. Phys. Chem. B J. Phys. Chem. C J. Phys. Chem. Lett. Analyst Anal. Methods Biomater. Sci. Catal. Sci. Technol. Chem. Commun. Chem. Soc. Rev. CHEM EDUC RES PRACT CRYSTENGCOMM Dalton Trans. Energy Environ. Sci. ENVIRON SCI-NANO ENVIRON SCI-PROC IMP ENVIRON SCI-WAT RES Faraday Discuss. Food Funct. Green Chem. Inorg. Chem. Front. Integr. Biol. J. Anal. At. Spectrom. J. Mater. Chem. A J. Mater. Chem. B J. Mater. Chem. C Lab Chip Mater. Chem. Front. Mater. Horiz. MEDCHEMCOMM Metallomics Mol. Biosyst. Mol. Syst. Des. Eng. Nanoscale Nanoscale Horiz. Nat. Prod. Rep. New J. Chem. Org. Biomol. Chem. Org. Chem. Front. PHOTOCH PHOTOBIO SCI PCCP Polym. Chem.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0
微信
客服QQ
Book学术公众号 扫码关注我们
反馈
×
意见反馈
请填写您的意见或建议
请填写您的手机或邮箱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现在去查看 取消
×
提示
确定
Book学术官方微信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
文献互助 智能选刊 最新文献 互助须知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Book学术 All rights reserved.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京ICP备2023020795号-1